공연이야, 영화야?…공연계 장르 파괴

입력 2014.03.20 (07:42) 수정 2014.03.20 (08: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표를 구하기도 쉽지 않은 화제의 공연을 가까운 영화관에서 부담없는 가격에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요즘 공연을 촬영해서 영상으로 감상하는 기회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심연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무대 위 대형 스크린에 영국의 화제작인 연극 '워 호스'가 처음 걸렸습니다.

관람료는 만 원.

덕분에 국립극장 1200여 석이 꽉 찼습니다.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다양한 장면에, 공연에서는 볼 수 없는 무대 뒷얘기까지 더했습니다.

특히 영화와는 달리 인물의 클로즈업은 가급적 피해 무대만의 '현장성'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최은희(경기 남양주시) : "연극의 그 같이 소통하는 느낌이 스크린으로 온 느낌이었어요."

지난해 말 런던에서 48시간 만에 매진된 랑랑의 연주 실황.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등 해외에서는 이미 2006년부터 공연을 영상화하고 있습니다.

공연 콘텐츠를 이처럼 스크린으로 옮기는 작업은 국내에서도 최근 본격 시도되고 있습니다.

예술의 전당은 자체 기획 공연 등을 영상화해 전국 영화관에서 상영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고학찬(예술의전당 사장) : "문화가 전국으로 확산이 되어서 많은 사람이 문화를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그 방법이 바로 '공연의 영상화'입니다."

공연이 스크린과 만나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관객에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연이야, 영화야?…공연계 장르 파괴
    • 입력 2014-03-20 07:47:14
    • 수정2014-03-20 08:16:47
    뉴스광장
<앵커 멘트>

표를 구하기도 쉽지 않은 화제의 공연을 가까운 영화관에서 부담없는 가격에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요즘 공연을 촬영해서 영상으로 감상하는 기회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심연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무대 위 대형 스크린에 영국의 화제작인 연극 '워 호스'가 처음 걸렸습니다.

관람료는 만 원.

덕분에 국립극장 1200여 석이 꽉 찼습니다.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다양한 장면에, 공연에서는 볼 수 없는 무대 뒷얘기까지 더했습니다.

특히 영화와는 달리 인물의 클로즈업은 가급적 피해 무대만의 '현장성'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최은희(경기 남양주시) : "연극의 그 같이 소통하는 느낌이 스크린으로 온 느낌이었어요."

지난해 말 런던에서 48시간 만에 매진된 랑랑의 연주 실황.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등 해외에서는 이미 2006년부터 공연을 영상화하고 있습니다.

공연 콘텐츠를 이처럼 스크린으로 옮기는 작업은 국내에서도 최근 본격 시도되고 있습니다.

예술의 전당은 자체 기획 공연 등을 영상화해 전국 영화관에서 상영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고학찬(예술의전당 사장) : "문화가 전국으로 확산이 되어서 많은 사람이 문화를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그 방법이 바로 '공연의 영상화'입니다."

공연이 스크린과 만나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관객에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