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알츠하이머, ‘REST’ 단백질과 관련 있다”

입력 2014.03.20 (16: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가 'REST'라고 불리는 단백질과 관련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하버드대학 브루스 얜크너 교수 연구팀은 이날 네이처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태아의 뇌에서 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REST 단백질이 노인의 뉴런(신경세포)을 노화와 관련된 스트레스로부터 지켜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조사결과 73∼106세 건강한 노년층의 뇌에서는 이 단백질이 많이 발견됐지만 알츠하이머나 다른 종류의 치매를 앓는 이의 뇌 주요부분에서는 이 단백질이 급격히 고갈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단백질의 감소가 뇌기능을 저하시킨 원인인지, 아니면 뇌기능 저하로 인한 결과인지는 아직 단언할 수 없다며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알츠하이머 관련 권위자인 MIT대학 피코어연구소 리후에이 차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왜 어떤 사람은 다른 이보다 알츠하이머에 더 취약한 지를 설명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하버드대 “알츠하이머, ‘REST’ 단백질과 관련 있다”
    • 입력 2014-03-20 16:36:23
    연합뉴스
알츠하이머가 'REST'라고 불리는 단백질과 관련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하버드대학 브루스 얜크너 교수 연구팀은 이날 네이처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태아의 뇌에서 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REST 단백질이 노인의 뉴런(신경세포)을 노화와 관련된 스트레스로부터 지켜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조사결과 73∼106세 건강한 노년층의 뇌에서는 이 단백질이 많이 발견됐지만 알츠하이머나 다른 종류의 치매를 앓는 이의 뇌 주요부분에서는 이 단백질이 급격히 고갈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단백질의 감소가 뇌기능을 저하시킨 원인인지, 아니면 뇌기능 저하로 인한 결과인지는 아직 단언할 수 없다며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알츠하이머 관련 권위자인 MIT대학 피코어연구소 리후에이 차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왜 어떤 사람은 다른 이보다 알츠하이머에 더 취약한 지를 설명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