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지도, 1090여 종 동식물 생명의 터전으로
입력 2014.03.24 (19:22)
수정 2014.03.24 (19: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쓰레기 매립지의 대명사였던 서울 난지도... 월드컵 경기장과 공원으로 조성된 지도 어느덧 10년이 넘었는데요.
이제는 천여 종의 동식물이 살고 있는 명실상부한 생태공원으로 거듭났습니다.
이철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럭에서 쏟아지는 쓰레기, 불도저가 아무리 정리해도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
1970년대 말 부터 1990년대 초까지 서울 지역 모든 쓰레기가 모였던 난지도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이 곳은 공원으로 거듭났습니다.
평일 낮에도 찾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는 서울의 명소 중 하나가 됐습니다.
<인터뷰> 조은정(서울시 양천구) : "너무 쾌적하고 공원이 다른데 비해서 넓고 좋죠. 서울 근교에 이런 데가 없잖아요."
무엇보다 대기 오염도가 주변과 비교해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환경이 개선됐습니다.
그러다 보니 멸종 위기종인 맹꽁이를 비롯해 이 곳에 살고 있는 동식물 개체수가 2000년 430여 종에서 지난해 1090여 종으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쓰레기가 썩으면서 나오는 침출수와 메탄가스 발생량이 11년 만에 절반으로 줄었고 그마저도 이제는 연료로 쓰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찬우(서부공원녹지사업소) : "지역난방공사로 (메탄)가스를 보내게 됩니다. 그 쪽의 설비를 통해서 열을 생산하는거죠."
버려진 땅의 대명사였던 쓰레기 섬 난지도, 이제는 생명의 땅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쓰레기 매립지의 대명사였던 서울 난지도... 월드컵 경기장과 공원으로 조성된 지도 어느덧 10년이 넘었는데요.
이제는 천여 종의 동식물이 살고 있는 명실상부한 생태공원으로 거듭났습니다.
이철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럭에서 쏟아지는 쓰레기, 불도저가 아무리 정리해도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
1970년대 말 부터 1990년대 초까지 서울 지역 모든 쓰레기가 모였던 난지도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이 곳은 공원으로 거듭났습니다.
평일 낮에도 찾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는 서울의 명소 중 하나가 됐습니다.
<인터뷰> 조은정(서울시 양천구) : "너무 쾌적하고 공원이 다른데 비해서 넓고 좋죠. 서울 근교에 이런 데가 없잖아요."
무엇보다 대기 오염도가 주변과 비교해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환경이 개선됐습니다.
그러다 보니 멸종 위기종인 맹꽁이를 비롯해 이 곳에 살고 있는 동식물 개체수가 2000년 430여 종에서 지난해 1090여 종으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쓰레기가 썩으면서 나오는 침출수와 메탄가스 발생량이 11년 만에 절반으로 줄었고 그마저도 이제는 연료로 쓰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찬우(서부공원녹지사업소) : "지역난방공사로 (메탄)가스를 보내게 됩니다. 그 쪽의 설비를 통해서 열을 생산하는거죠."
버려진 땅의 대명사였던 쓰레기 섬 난지도, 이제는 생명의 땅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난지도, 1090여 종 동식물 생명의 터전으로
-
- 입력 2014-03-24 19:25:35
- 수정2014-03-24 19:35:01

<앵커 멘트>
쓰레기 매립지의 대명사였던 서울 난지도... 월드컵 경기장과 공원으로 조성된 지도 어느덧 10년이 넘었는데요.
이제는 천여 종의 동식물이 살고 있는 명실상부한 생태공원으로 거듭났습니다.
이철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럭에서 쏟아지는 쓰레기, 불도저가 아무리 정리해도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
1970년대 말 부터 1990년대 초까지 서울 지역 모든 쓰레기가 모였던 난지도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이 곳은 공원으로 거듭났습니다.
평일 낮에도 찾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는 서울의 명소 중 하나가 됐습니다.
<인터뷰> 조은정(서울시 양천구) : "너무 쾌적하고 공원이 다른데 비해서 넓고 좋죠. 서울 근교에 이런 데가 없잖아요."
무엇보다 대기 오염도가 주변과 비교해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환경이 개선됐습니다.
그러다 보니 멸종 위기종인 맹꽁이를 비롯해 이 곳에 살고 있는 동식물 개체수가 2000년 430여 종에서 지난해 1090여 종으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쓰레기가 썩으면서 나오는 침출수와 메탄가스 발생량이 11년 만에 절반으로 줄었고 그마저도 이제는 연료로 쓰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찬우(서부공원녹지사업소) : "지역난방공사로 (메탄)가스를 보내게 됩니다. 그 쪽의 설비를 통해서 열을 생산하는거죠."
버려진 땅의 대명사였던 쓰레기 섬 난지도, 이제는 생명의 땅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쓰레기 매립지의 대명사였던 서울 난지도... 월드컵 경기장과 공원으로 조성된 지도 어느덧 10년이 넘었는데요.
이제는 천여 종의 동식물이 살고 있는 명실상부한 생태공원으로 거듭났습니다.
이철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럭에서 쏟아지는 쓰레기, 불도저가 아무리 정리해도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
1970년대 말 부터 1990년대 초까지 서울 지역 모든 쓰레기가 모였던 난지도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이 곳은 공원으로 거듭났습니다.
평일 낮에도 찾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는 서울의 명소 중 하나가 됐습니다.
<인터뷰> 조은정(서울시 양천구) : "너무 쾌적하고 공원이 다른데 비해서 넓고 좋죠. 서울 근교에 이런 데가 없잖아요."
무엇보다 대기 오염도가 주변과 비교해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환경이 개선됐습니다.
그러다 보니 멸종 위기종인 맹꽁이를 비롯해 이 곳에 살고 있는 동식물 개체수가 2000년 430여 종에서 지난해 1090여 종으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쓰레기가 썩으면서 나오는 침출수와 메탄가스 발생량이 11년 만에 절반으로 줄었고 그마저도 이제는 연료로 쓰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찬우(서부공원녹지사업소) : "지역난방공사로 (메탄)가스를 보내게 됩니다. 그 쪽의 설비를 통해서 열을 생산하는거죠."
버려진 땅의 대명사였던 쓰레기 섬 난지도, 이제는 생명의 땅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
이철호 기자 manjeok@kbs.co.kr
이철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