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년 역사 지킨 서울 고목들…갖가지 사연

입력 2014.04.05 (21:29) 수정 2014.04.07 (10: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600백년 역사를 지닌 서울에도 그 세월만큼이나 수백년 자리를 지킨 노목들이 있습니다.

갖가지 역사와 사연을 지닌 서울의 고목들 이철호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나이가 들수록 껍질이 더 하얗게 변한다는 흰 소나무, 백송.

10년에 겨우 50센티미터만 자라 백년만 넘어도 귀한 대접을 받는 데 이 백송의 추정 나이는 6백살입니다.

나무는 한 자리에서 갑신정변의 주역 홍영식의 사가가 최초의 서양식 병원 광혜원으로 바뀌고, 한성고등학교, 다시 헌법재판소로 변해 온 역사를 묵묵히 지켜봤습니다.

호젓한 정동길의 회화나무, 둘레만 5미터, 500년 넘게 이 자리를 지켰습니다.

이 나무를 배려해 바로 옆 캐나다 대사관도 한 발 비켜서 들어섰습니다.

<인터뷰> 조재원(충남 천안시) : "사람들을 많이 보면서 오랜 시간 있었으니까 모든 걸 다 알고 있을 것 같은 그런 느낌이 들어요."

성균관 문묘 안의 웅장한 은행나무. 역시 5백년이 넘은 고목입니다.

원래는 암나무였는데 열매의 악취가 심해 유생들의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빌었더니 냄새가 없는 수나무로 바뀌었다는 전설을 갖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처럼 수 백년의 역사를 간직한 고목들에 얽힌 이야기를 세밀화 작업과 함께 모았습니다.

<인터뷰> 이장희(작가) : "(서울을) 600년 고도라고 이야기 하는데 사실상 많은 모습이 남아 있지 않거든요. 그나마 나무가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 주는..."

쉰 두 그루의 늙은 나무에 얽힌 이야기를 정리한 전자책은 곧 무료로 공개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00년 역사 지킨 서울 고목들…갖가지 사연
    • 입력 2014-04-05 21:31:18
    • 수정2014-04-07 10:11:53
    뉴스 9
<앵커 멘트>

600백년 역사를 지닌 서울에도 그 세월만큼이나 수백년 자리를 지킨 노목들이 있습니다.

갖가지 역사와 사연을 지닌 서울의 고목들 이철호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나이가 들수록 껍질이 더 하얗게 변한다는 흰 소나무, 백송.

10년에 겨우 50센티미터만 자라 백년만 넘어도 귀한 대접을 받는 데 이 백송의 추정 나이는 6백살입니다.

나무는 한 자리에서 갑신정변의 주역 홍영식의 사가가 최초의 서양식 병원 광혜원으로 바뀌고, 한성고등학교, 다시 헌법재판소로 변해 온 역사를 묵묵히 지켜봤습니다.

호젓한 정동길의 회화나무, 둘레만 5미터, 500년 넘게 이 자리를 지켰습니다.

이 나무를 배려해 바로 옆 캐나다 대사관도 한 발 비켜서 들어섰습니다.

<인터뷰> 조재원(충남 천안시) : "사람들을 많이 보면서 오랜 시간 있었으니까 모든 걸 다 알고 있을 것 같은 그런 느낌이 들어요."

성균관 문묘 안의 웅장한 은행나무. 역시 5백년이 넘은 고목입니다.

원래는 암나무였는데 열매의 악취가 심해 유생들의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빌었더니 냄새가 없는 수나무로 바뀌었다는 전설을 갖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처럼 수 백년의 역사를 간직한 고목들에 얽힌 이야기를 세밀화 작업과 함께 모았습니다.

<인터뷰> 이장희(작가) : "(서울을) 600년 고도라고 이야기 하는데 사실상 많은 모습이 남아 있지 않거든요. 그나마 나무가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 주는..."

쉰 두 그루의 늙은 나무에 얽힌 이야기를 정리한 전자책은 곧 무료로 공개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