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발전 배출 이산화탄소로 작물 성장 촉진한다
입력 2014.04.08 (06:13)
수정 2014.04.08 (19: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작물 성장 촉진이나 고부가치제품 생산에 재활용하는 길이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한국남부발전의 하동화력발전소 8호기에 '연소후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 플랜트'를 설치하고 준공식을 열었다.
정부는 10MW짜리 시험 설비인 이 플랜트로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연간 7만t의 순도 높은 이산화탄소를 모아 재활용할 계획이다.
예컨대 비닐하우스에 이산화탄소를 공급, 작물 성장 기간을 줄이거나 신재생에너지의 원료로 쓰는 것이다.
또 남부발전 하동화력본부의 미세조류 배양 실증연구단지에서 이산화탄소와 온배수로 미세조류를 배양해 화장품, 의약품, 화학제품 등의 원료를 얻는 방안을 연구한다.
화력발전소에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 플랜트를 설치한 것은 세계에서 처음이라고 산업부는 밝혔다.
정부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SS)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2010년부터 작년까지 1천128억원을 투자했다. 2019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총 2조3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앞으로 이번 플랜트 사업 성과를 검증하고 100~300MW급 설비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한국남부발전의 하동화력발전소 8호기에 '연소후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 플랜트'를 설치하고 준공식을 열었다.
정부는 10MW짜리 시험 설비인 이 플랜트로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연간 7만t의 순도 높은 이산화탄소를 모아 재활용할 계획이다.
예컨대 비닐하우스에 이산화탄소를 공급, 작물 성장 기간을 줄이거나 신재생에너지의 원료로 쓰는 것이다.
또 남부발전 하동화력본부의 미세조류 배양 실증연구단지에서 이산화탄소와 온배수로 미세조류를 배양해 화장품, 의약품, 화학제품 등의 원료를 얻는 방안을 연구한다.
화력발전소에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 플랜트를 설치한 것은 세계에서 처음이라고 산업부는 밝혔다.
정부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SS)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2010년부터 작년까지 1천128억원을 투자했다. 2019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총 2조3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앞으로 이번 플랜트 사업 성과를 검증하고 100~300MW급 설비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력발전 배출 이산화탄소로 작물 성장 촉진한다
-
- 입력 2014-04-08 06:13:38
- 수정2014-04-08 19:10:57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작물 성장 촉진이나 고부가치제품 생산에 재활용하는 길이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한국남부발전의 하동화력발전소 8호기에 '연소후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 플랜트'를 설치하고 준공식을 열었다.
정부는 10MW짜리 시험 설비인 이 플랜트로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연간 7만t의 순도 높은 이산화탄소를 모아 재활용할 계획이다.
예컨대 비닐하우스에 이산화탄소를 공급, 작물 성장 기간을 줄이거나 신재생에너지의 원료로 쓰는 것이다.
또 남부발전 하동화력본부의 미세조류 배양 실증연구단지에서 이산화탄소와 온배수로 미세조류를 배양해 화장품, 의약품, 화학제품 등의 원료를 얻는 방안을 연구한다.
화력발전소에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 플랜트를 설치한 것은 세계에서 처음이라고 산업부는 밝혔다.
정부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SS)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2010년부터 작년까지 1천128억원을 투자했다. 2019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총 2조3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앞으로 이번 플랜트 사업 성과를 검증하고 100~300MW급 설비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한국남부발전의 하동화력발전소 8호기에 '연소후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 플랜트'를 설치하고 준공식을 열었다.
정부는 10MW짜리 시험 설비인 이 플랜트로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연간 7만t의 순도 높은 이산화탄소를 모아 재활용할 계획이다.
예컨대 비닐하우스에 이산화탄소를 공급, 작물 성장 기간을 줄이거나 신재생에너지의 원료로 쓰는 것이다.
또 남부발전 하동화력본부의 미세조류 배양 실증연구단지에서 이산화탄소와 온배수로 미세조류를 배양해 화장품, 의약품, 화학제품 등의 원료를 얻는 방안을 연구한다.
화력발전소에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 플랜트를 설치한 것은 세계에서 처음이라고 산업부는 밝혔다.
정부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SS)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2010년부터 작년까지 1천128억원을 투자했다. 2019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총 2조3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앞으로 이번 플랜트 사업 성과를 검증하고 100~300MW급 설비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