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북한이 최근 제4차 핵실험 가능성을 거론한 데 대해 중국주재 지재룡 북한대사를 소환하는 등 강력한 경고메시지를 발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중 관계에 밝은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8일 "중국은 북한과 양자 차원에서 접촉할 때마다 북핵을 인정할 수 없다고 계속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안다"며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를 부르는 것을 포함해 최근 (북한에) 갔던 사람들도 (핵실험 반대) 이야기를 많이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 소식통은 "북한의 핵개발과 중장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 두 가지 문제를 핵심으로 반대 메시지를 분명히 전하고 있고 특별히 강조점을 둬 (북한에) 이야기하는 것으로 듣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소식통은 "중국은 기본적으로 시진핑 국가주석을 포함해 자기네는 북핵보유·개발을 결연히 반대한다고 대외적으로 말하고 있는데 그것 자체가 북한에 대한 하나의 압박메시지가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중국 외교부는 지 대사 초치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요청에 즉답을 회피했다.
훙레이(洪磊)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형세하에서 유관 당사국들이 한반도의 평화·안정 수호와 정세 완화를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를 바란다"며 원론적 입장을 되풀이했다.
북중 관계에 밝은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8일 "중국은 북한과 양자 차원에서 접촉할 때마다 북핵을 인정할 수 없다고 계속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안다"며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를 부르는 것을 포함해 최근 (북한에) 갔던 사람들도 (핵실험 반대) 이야기를 많이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 소식통은 "북한의 핵개발과 중장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 두 가지 문제를 핵심으로 반대 메시지를 분명히 전하고 있고 특별히 강조점을 둬 (북한에) 이야기하는 것으로 듣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소식통은 "중국은 기본적으로 시진핑 국가주석을 포함해 자기네는 북핵보유·개발을 결연히 반대한다고 대외적으로 말하고 있는데 그것 자체가 북한에 대한 하나의 압박메시지가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중국 외교부는 지 대사 초치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요청에 즉답을 회피했다.
훙레이(洪磊)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형세하에서 유관 당사국들이 한반도의 평화·안정 수호와 정세 완화를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를 바란다"며 원론적 입장을 되풀이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 “북핵 실험 반대”…지재룡 북 대사 초치한 듯
-
- 입력 2014-04-08 19:00:26
중국 정부가 북한이 최근 제4차 핵실험 가능성을 거론한 데 대해 중국주재 지재룡 북한대사를 소환하는 등 강력한 경고메시지를 발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중 관계에 밝은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8일 "중국은 북한과 양자 차원에서 접촉할 때마다 북핵을 인정할 수 없다고 계속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안다"며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를 부르는 것을 포함해 최근 (북한에) 갔던 사람들도 (핵실험 반대) 이야기를 많이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 소식통은 "북한의 핵개발과 중장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 두 가지 문제를 핵심으로 반대 메시지를 분명히 전하고 있고 특별히 강조점을 둬 (북한에) 이야기하는 것으로 듣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소식통은 "중국은 기본적으로 시진핑 국가주석을 포함해 자기네는 북핵보유·개발을 결연히 반대한다고 대외적으로 말하고 있는데 그것 자체가 북한에 대한 하나의 압박메시지가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중국 외교부는 지 대사 초치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요청에 즉답을 회피했다.
훙레이(洪磊)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형세하에서 유관 당사국들이 한반도의 평화·안정 수호와 정세 완화를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를 바란다"며 원론적 입장을 되풀이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