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터키간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 이후, 터키에 대한 수출이 수입보다 더 큰 폭으로 늘어났다.
한국무역협회는 오늘(29일),‘대(對) 터키 수출, 한-터키 FTA로 순풍에 돛 달다' 라는 보고서를 통해, "한·터키 FTA가 발효된 작년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양국 교역액은 61억9천4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35.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한국의 대(對) 터키 수출액은 55억6천만달러로 38.0% 늘었다. 이에 비해 수입액은 6억3천400만달러로 14.9% 증가했다.
대 터키 수출은 석유화학(107.1%), 전기전자(28.2%), 자동차부품(25.8%), 기계류(25.3%), 섬유(18.5%) 등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석유화학 제품은 터키 측의 관세 6.5%가 FTA 발효 즉시 철폐된 덕을 봤다. 자동차부품 수요는 터키 현지의 한국 완성차 공장 증설로 확대됐다. 섬유·의류산업이 발달한 터키에 합성섬유, 직물 등 원부자재를 팔 길도 넓어졌다.
터키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은 2012년 2.39%에서 2013년 2.42%, 2014년 1∼2월 2.84%로 커졌다.
한국무역협회는 오늘(29일),‘대(對) 터키 수출, 한-터키 FTA로 순풍에 돛 달다' 라는 보고서를 통해, "한·터키 FTA가 발효된 작년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양국 교역액은 61억9천4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35.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한국의 대(對) 터키 수출액은 55억6천만달러로 38.0% 늘었다. 이에 비해 수입액은 6억3천400만달러로 14.9% 증가했다.
대 터키 수출은 석유화학(107.1%), 전기전자(28.2%), 자동차부품(25.8%), 기계류(25.3%), 섬유(18.5%) 등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석유화학 제품은 터키 측의 관세 6.5%가 FTA 발효 즉시 철폐된 덕을 봤다. 자동차부품 수요는 터키 현지의 한국 완성차 공장 증설로 확대됐다. 섬유·의류산업이 발달한 터키에 합성섬유, 직물 등 원부자재를 팔 길도 넓어졌다.
터키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은 2012년 2.39%에서 2013년 2.42%, 2014년 1∼2월 2.84%로 커졌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터키 FTA 발효 1년…수출 38% 늘어
-
- 입력 2014-04-29 11:42:35
우리나라와 터키간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 이후, 터키에 대한 수출이 수입보다 더 큰 폭으로 늘어났다.
한국무역협회는 오늘(29일),‘대(對) 터키 수출, 한-터키 FTA로 순풍에 돛 달다' 라는 보고서를 통해, "한·터키 FTA가 발효된 작년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양국 교역액은 61억9천4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35.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한국의 대(對) 터키 수출액은 55억6천만달러로 38.0% 늘었다. 이에 비해 수입액은 6억3천400만달러로 14.9% 증가했다.
대 터키 수출은 석유화학(107.1%), 전기전자(28.2%), 자동차부품(25.8%), 기계류(25.3%), 섬유(18.5%) 등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석유화학 제품은 터키 측의 관세 6.5%가 FTA 발효 즉시 철폐된 덕을 봤다. 자동차부품 수요는 터키 현지의 한국 완성차 공장 증설로 확대됐다. 섬유·의류산업이 발달한 터키에 합성섬유, 직물 등 원부자재를 팔 길도 넓어졌다.
터키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은 2012년 2.39%에서 2013년 2.42%, 2014년 1∼2월 2.84%로 커졌다.
-
-
이재설 기자 record@kbs.co.kr
이재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