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압절단기로 격실 진입…16구 추가 수습

입력 2014.04.29 (23:37) 수정 2014.04.30 (00: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해저면에 닿아 있어 접근이 어려웠던 세월호의 좌측 부분 선실에 수색팀이 유압 절단기를 사용해 진입에 성공했습니다.

벽에 부딪혔던 수색 작업이 다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구조팀은 오늘 아직까지 진입하지 못했던 세월호 선체 왼쪽, 즉 바닥에 닿아있는 격실들 접근에 집중했습니다.

선체 왼쪽은 가장 수심이 깊고, 장애물이 많아 진입이 어려웠지만, 어젯밤 4층 왼쪽 격실로 들어가는 진입로를 뚫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어 장애물들을 제거하고, 유압식 절단기로 닫힌 격실 출입문들을 열면서 4층 앞쪽 중앙과 중간 부분 왼쪽, 5층 왼쪽 격실들을 차례로 수색해나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오늘 하루에만 16구의 시신을 추가로 수습해 희생자 수가 200명을 넘어섰습니다.

또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64개 격실 중 1차 수색을 마친 격실은 43곳으로 늘었습니다.

<인터뷰> 이춘재(해경 경비안전국장) : "4월 30일 내일까지는 저희들이 아직 한 번도 수색하지 못한 구역을 위주로 수색을 실시해나갈 예정이고."

미 해군 구조함 세이프가드호가 본격적인 구조 지원에 나선 가운데 거센 조류로 투입이 불발됐던 다이빙 벨도 오늘 수색 지원에 재투입됐습니다.

구조당국은 다음달 7일까지 111개 전 객실에 대한 1차 수색을 모두 마친 뒤 15일까지 재수색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압절단기로 격실 진입…16구 추가 수습
    • 입력 2014-04-29 23:38:32
    • 수정2014-04-30 00:51:25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해저면에 닿아 있어 접근이 어려웠던 세월호의 좌측 부분 선실에 수색팀이 유압 절단기를 사용해 진입에 성공했습니다.

벽에 부딪혔던 수색 작업이 다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구조팀은 오늘 아직까지 진입하지 못했던 세월호 선체 왼쪽, 즉 바닥에 닿아있는 격실들 접근에 집중했습니다.

선체 왼쪽은 가장 수심이 깊고, 장애물이 많아 진입이 어려웠지만, 어젯밤 4층 왼쪽 격실로 들어가는 진입로를 뚫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어 장애물들을 제거하고, 유압식 절단기로 닫힌 격실 출입문들을 열면서 4층 앞쪽 중앙과 중간 부분 왼쪽, 5층 왼쪽 격실들을 차례로 수색해나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오늘 하루에만 16구의 시신을 추가로 수습해 희생자 수가 200명을 넘어섰습니다.

또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64개 격실 중 1차 수색을 마친 격실은 43곳으로 늘었습니다.

<인터뷰> 이춘재(해경 경비안전국장) : "4월 30일 내일까지는 저희들이 아직 한 번도 수색하지 못한 구역을 위주로 수색을 실시해나갈 예정이고."

미 해군 구조함 세이프가드호가 본격적인 구조 지원에 나선 가운데 거센 조류로 투입이 불발됐던 다이빙 벨도 오늘 수색 지원에 재투입됐습니다.

구조당국은 다음달 7일까지 111개 전 객실에 대한 1차 수색을 모두 마친 뒤 15일까지 재수색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