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 팽목항…카네이션 대신 노랑리본만 나부껴
입력 2014.05.08 (15:53)
수정 2014.05.08 (16: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버이날인 8일 실종자 가족들이 힘겨운 기다림을 이어가는 진도 팽목항에는 '카네이션'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른 아침 잠에서 깬 한 어머니가 노란 꽃길처럼 노란색 리본이 줄지어 걸린 팽목항 등대 길을 묵묵히 걸었다.
육지에서 사고해역 쪽으로 거센 바람이 불어와 노랑리본이 하늘로 올라갈 듯 펄럭이며 휘날렸다.
이 어머니는 바닷바람을 막아서며 바다를 잠시 바라보더니 울음을 왈칵 쏟아냈다.
'희망'의 상징 노랑리본은 이 어머니 품에서 더 이상 바람에 나부끼지 않고 차분히 안겼다.
그러나 어머니는 이제는 '희망'에서 '기다림'의 의미로 자리를 내준 노란 리본 사이로 얼굴을 파묻고 흐느꼈다.
아들을 차가운 바닷속에서 찾지 못한 한 부모는 어버이날 카네이션은 받지 못한 채 오히려 아들에게 선물을 했다.
부모는 어버이 날로 갓 열일곱이 되는 아들이 좋아하는 축구화에 얼굴을 묻고 더이상 나오지 않을때까지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아이를 잃은 이 부모가 어버이날 누릴 수 있는 유일한 호사였다.
이날 팽목항에서는 누구도 감히 실종자 가족에게 카네이션을 내밀지도, 자식들에게 받은 카네이션을 가슴에 달지도 못했다.
'내리사랑'의 의미를 하루라도 깨달으라는 어버이날, 감사의 말 한 마디 전하지 못하고 갑자기 떠난 어린 자식은 '마지막으로 손 한 번이라도 잡아보자'는 부모의 마음을 알지 못하는 지 아직도 소식이 없다.
실종자 가족 식당에서는 4인 한 가족이 고요한 침묵속에서 식사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모 사이 텅빈 한 자리, 아직까지 돌아오지 못한 아이의 자리는 비어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카네이션 꽃 하나 가슴에 달아줄 수 없는 아이가 생각났는지 몇 술 못 뜨고 식탁에서 일어났다.
이들을 도우면서 자식 생각이 더 간절해진다는 50대 자원봉사자 여성은 이날 다시 마음을 가다듬기 위해 그동안 패용한 빛바랜 노랑리본을 떼고 새 것을 가슴에 달았다.
100여 년 전 한 소녀가 곁에 없는 어머니를 떠올리며 달았다는 '나는 아직도 어머니를 사랑합니다'란 꽃말의 흰 카네이션.
100여 년 후 진도 팽목항에 '내 아이를 사랑합니다'는 꽃말의 '노랑리본꽃'이 그 때 카네이션처럼 피어나고 있다.
이른 아침 잠에서 깬 한 어머니가 노란 꽃길처럼 노란색 리본이 줄지어 걸린 팽목항 등대 길을 묵묵히 걸었다.
육지에서 사고해역 쪽으로 거센 바람이 불어와 노랑리본이 하늘로 올라갈 듯 펄럭이며 휘날렸다.
이 어머니는 바닷바람을 막아서며 바다를 잠시 바라보더니 울음을 왈칵 쏟아냈다.
'희망'의 상징 노랑리본은 이 어머니 품에서 더 이상 바람에 나부끼지 않고 차분히 안겼다.
그러나 어머니는 이제는 '희망'에서 '기다림'의 의미로 자리를 내준 노란 리본 사이로 얼굴을 파묻고 흐느꼈다.
아들을 차가운 바닷속에서 찾지 못한 한 부모는 어버이날 카네이션은 받지 못한 채 오히려 아들에게 선물을 했다.
부모는 어버이 날로 갓 열일곱이 되는 아들이 좋아하는 축구화에 얼굴을 묻고 더이상 나오지 않을때까지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아이를 잃은 이 부모가 어버이날 누릴 수 있는 유일한 호사였다.
이날 팽목항에서는 누구도 감히 실종자 가족에게 카네이션을 내밀지도, 자식들에게 받은 카네이션을 가슴에 달지도 못했다.
'내리사랑'의 의미를 하루라도 깨달으라는 어버이날, 감사의 말 한 마디 전하지 못하고 갑자기 떠난 어린 자식은 '마지막으로 손 한 번이라도 잡아보자'는 부모의 마음을 알지 못하는 지 아직도 소식이 없다.
실종자 가족 식당에서는 4인 한 가족이 고요한 침묵속에서 식사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모 사이 텅빈 한 자리, 아직까지 돌아오지 못한 아이의 자리는 비어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카네이션 꽃 하나 가슴에 달아줄 수 없는 아이가 생각났는지 몇 술 못 뜨고 식탁에서 일어났다.
이들을 도우면서 자식 생각이 더 간절해진다는 50대 자원봉사자 여성은 이날 다시 마음을 가다듬기 위해 그동안 패용한 빛바랜 노랑리본을 떼고 새 것을 가슴에 달았다.
100여 년 전 한 소녀가 곁에 없는 어머니를 떠올리며 달았다는 '나는 아직도 어머니를 사랑합니다'란 꽃말의 흰 카네이션.
100여 년 후 진도 팽목항에 '내 아이를 사랑합니다'는 꽃말의 '노랑리본꽃'이 그 때 카네이션처럼 피어나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버이날 팽목항…카네이션 대신 노랑리본만 나부껴
-
- 입력 2014-05-08 15:53:19
- 수정2014-05-08 16:25:22
어버이날인 8일 실종자 가족들이 힘겨운 기다림을 이어가는 진도 팽목항에는 '카네이션'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른 아침 잠에서 깬 한 어머니가 노란 꽃길처럼 노란색 리본이 줄지어 걸린 팽목항 등대 길을 묵묵히 걸었다.
육지에서 사고해역 쪽으로 거센 바람이 불어와 노랑리본이 하늘로 올라갈 듯 펄럭이며 휘날렸다.
이 어머니는 바닷바람을 막아서며 바다를 잠시 바라보더니 울음을 왈칵 쏟아냈다.
'희망'의 상징 노랑리본은 이 어머니 품에서 더 이상 바람에 나부끼지 않고 차분히 안겼다.
그러나 어머니는 이제는 '희망'에서 '기다림'의 의미로 자리를 내준 노란 리본 사이로 얼굴을 파묻고 흐느꼈다.
아들을 차가운 바닷속에서 찾지 못한 한 부모는 어버이날 카네이션은 받지 못한 채 오히려 아들에게 선물을 했다.
부모는 어버이 날로 갓 열일곱이 되는 아들이 좋아하는 축구화에 얼굴을 묻고 더이상 나오지 않을때까지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아이를 잃은 이 부모가 어버이날 누릴 수 있는 유일한 호사였다.
이날 팽목항에서는 누구도 감히 실종자 가족에게 카네이션을 내밀지도, 자식들에게 받은 카네이션을 가슴에 달지도 못했다.
'내리사랑'의 의미를 하루라도 깨달으라는 어버이날, 감사의 말 한 마디 전하지 못하고 갑자기 떠난 어린 자식은 '마지막으로 손 한 번이라도 잡아보자'는 부모의 마음을 알지 못하는 지 아직도 소식이 없다.
실종자 가족 식당에서는 4인 한 가족이 고요한 침묵속에서 식사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모 사이 텅빈 한 자리, 아직까지 돌아오지 못한 아이의 자리는 비어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카네이션 꽃 하나 가슴에 달아줄 수 없는 아이가 생각났는지 몇 술 못 뜨고 식탁에서 일어났다.
이들을 도우면서 자식 생각이 더 간절해진다는 50대 자원봉사자 여성은 이날 다시 마음을 가다듬기 위해 그동안 패용한 빛바랜 노랑리본을 떼고 새 것을 가슴에 달았다.
100여 년 전 한 소녀가 곁에 없는 어머니를 떠올리며 달았다는 '나는 아직도 어머니를 사랑합니다'란 꽃말의 흰 카네이션.
100여 년 후 진도 팽목항에 '내 아이를 사랑합니다'는 꽃말의 '노랑리본꽃'이 그 때 카네이션처럼 피어나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세월호 ‘침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