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은 마마보이로 키워라”…성공 가능성 커
입력 2014.05.12 (02:09)
수정 2014.05.12 (12: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이 들어서도 엄마를 찾는 '마마보이'가 '보통 남자'보다 더 반듯하고 사회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페기 드렉슬러(심리학) 코넬대 의대 교수는 11일 미국 어머니의 날을 맞아 CNN에 '당신의 아들을 마마보이로 키워라'는 제목의 기고를 올렸다.
여성인 드렉슬러 교수가 오랜 연구 끝에 내린 결론은 마마보이는 엄마의 품에서 자라난 탓에 의지력이 부족한 남자로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사회 적응력이 강하고 인내심이 있고 공격성향이 덜 하다는 게 드렉슬러 교수의 말이다.
2010년 영국 리딩대가 어린이 6천명에 대한 69건의 연구사례를 분석한 결과 엄마와 관계가 끈끈한 아이, 특히 남자 아이일수록 성장 과정에서 문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발달 저널도 2011년 보고서에서 모자 관계의 질이 아들의 도덕성과 직결된다고 분석했다.
마마보이는 또한 성인이 되면 남과 시비하지 않고 일을 해내려는 경향이 강하고 대인관계도 더 쉽게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렉슬러 교수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미국 최고의 농구스타인 르브론 제임스의 출세를 마마보이에 대한 기존의 인식이 편견임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소개했다.
그는 편모 밑에서 자란 버락 오바마 대통령처럼 마마보이는 강하고 자주적인 리더가 될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아빠 없는 아들 키우기'의 저자로 유명한 드렉슬러 교수는 편부보다 편모슬하에서 자란 자녀가 탈선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적다는 보고서도 낸 바 있다.
미국에선 남자 청소년의 20%가량이 편모와 살고 있다.
페기 드렉슬러(심리학) 코넬대 의대 교수는 11일 미국 어머니의 날을 맞아 CNN에 '당신의 아들을 마마보이로 키워라'는 제목의 기고를 올렸다.
여성인 드렉슬러 교수가 오랜 연구 끝에 내린 결론은 마마보이는 엄마의 품에서 자라난 탓에 의지력이 부족한 남자로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사회 적응력이 강하고 인내심이 있고 공격성향이 덜 하다는 게 드렉슬러 교수의 말이다.
2010년 영국 리딩대가 어린이 6천명에 대한 69건의 연구사례를 분석한 결과 엄마와 관계가 끈끈한 아이, 특히 남자 아이일수록 성장 과정에서 문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발달 저널도 2011년 보고서에서 모자 관계의 질이 아들의 도덕성과 직결된다고 분석했다.
마마보이는 또한 성인이 되면 남과 시비하지 않고 일을 해내려는 경향이 강하고 대인관계도 더 쉽게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렉슬러 교수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미국 최고의 농구스타인 르브론 제임스의 출세를 마마보이에 대한 기존의 인식이 편견임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소개했다.
그는 편모 밑에서 자란 버락 오바마 대통령처럼 마마보이는 강하고 자주적인 리더가 될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아빠 없는 아들 키우기'의 저자로 유명한 드렉슬러 교수는 편부보다 편모슬하에서 자란 자녀가 탈선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적다는 보고서도 낸 바 있다.
미국에선 남자 청소년의 20%가량이 편모와 살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들은 마마보이로 키워라”…성공 가능성 커
-
- 입력 2014-05-12 02:09:18
- 수정2014-05-12 12:48:02
나이 들어서도 엄마를 찾는 '마마보이'가 '보통 남자'보다 더 반듯하고 사회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페기 드렉슬러(심리학) 코넬대 의대 교수는 11일 미국 어머니의 날을 맞아 CNN에 '당신의 아들을 마마보이로 키워라'는 제목의 기고를 올렸다.
여성인 드렉슬러 교수가 오랜 연구 끝에 내린 결론은 마마보이는 엄마의 품에서 자라난 탓에 의지력이 부족한 남자로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사회 적응력이 강하고 인내심이 있고 공격성향이 덜 하다는 게 드렉슬러 교수의 말이다.
2010년 영국 리딩대가 어린이 6천명에 대한 69건의 연구사례를 분석한 결과 엄마와 관계가 끈끈한 아이, 특히 남자 아이일수록 성장 과정에서 문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발달 저널도 2011년 보고서에서 모자 관계의 질이 아들의 도덕성과 직결된다고 분석했다.
마마보이는 또한 성인이 되면 남과 시비하지 않고 일을 해내려는 경향이 강하고 대인관계도 더 쉽게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렉슬러 교수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미국 최고의 농구스타인 르브론 제임스의 출세를 마마보이에 대한 기존의 인식이 편견임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소개했다.
그는 편모 밑에서 자란 버락 오바마 대통령처럼 마마보이는 강하고 자주적인 리더가 될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아빠 없는 아들 키우기'의 저자로 유명한 드렉슬러 교수는 편부보다 편모슬하에서 자란 자녀가 탈선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적다는 보고서도 낸 바 있다.
미국에선 남자 청소년의 20%가량이 편모와 살고 있다.
페기 드렉슬러(심리학) 코넬대 의대 교수는 11일 미국 어머니의 날을 맞아 CNN에 '당신의 아들을 마마보이로 키워라'는 제목의 기고를 올렸다.
여성인 드렉슬러 교수가 오랜 연구 끝에 내린 결론은 마마보이는 엄마의 품에서 자라난 탓에 의지력이 부족한 남자로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사회 적응력이 강하고 인내심이 있고 공격성향이 덜 하다는 게 드렉슬러 교수의 말이다.
2010년 영국 리딩대가 어린이 6천명에 대한 69건의 연구사례를 분석한 결과 엄마와 관계가 끈끈한 아이, 특히 남자 아이일수록 성장 과정에서 문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발달 저널도 2011년 보고서에서 모자 관계의 질이 아들의 도덕성과 직결된다고 분석했다.
마마보이는 또한 성인이 되면 남과 시비하지 않고 일을 해내려는 경향이 강하고 대인관계도 더 쉽게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렉슬러 교수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미국 최고의 농구스타인 르브론 제임스의 출세를 마마보이에 대한 기존의 인식이 편견임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소개했다.
그는 편모 밑에서 자란 버락 오바마 대통령처럼 마마보이는 강하고 자주적인 리더가 될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아빠 없는 아들 키우기'의 저자로 유명한 드렉슬러 교수는 편부보다 편모슬하에서 자란 자녀가 탈선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적다는 보고서도 낸 바 있다.
미국에선 남자 청소년의 20%가량이 편모와 살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