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해경 초동 대응’ 정조준…47분간 뭐했나?
입력 2014.05.12 (21:06)
수정 2014.05.13 (08: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세월호 침몰 당시 해경이 도착했을 때 배 안에는 3백여 명의 승객들이 있었습니다.
해경 도착부터 승객들 생존이 계속 확인되는 시점까지의 47분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습니다.
이 시간 동안 해경이 선내에 진입했더라면 승객 상당수를 구조할 수 있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해경의 소극적인 구조 정황과 관련해 검찰은 본격 수사에 들어갔고, 감사원은 특별감사에 착수했습니다.
해경 초동대처의 문제점,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월호가 침몰하던 지난달 16일, 해경 경비정이 현장에 도착한 9시 반쯤.
세월호는 45도 정도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갑판에는 승객들이 거의 보이지 않지만 아직까진 3, 4, 5층이 다 잠기지 않았습니다.
이 때 바로 해경이 선내 진입을 했다면 승객 3백여 명 가운데 상당수가 구조됐을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
15분 뒤 해경 구조대원이 구명정을 펼치려고 시도할 때쯤에도 배는 60도 정도 기울기로 주변을 잡고 이동할 수 있는 각도였습니다.
하지만, 이때 해경이 가장 먼저 구한 건 선장과 선원들.
그동안 목포해경서장이 승객 퇴선지시를 4차례 했지만 경비정에선 별다른 조치가 없었습니다.
결국 해경 도착 후 47분 만에 배는 뒤집혀 108도까지 기울었고, 이 때까지 배 안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학생의 카카오톡 메시지가 전송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47분 동안 해경이 적극적으로 선체 진입과 '퇴선명령'을 시도했는지가 의문인 상황.
검찰은 본격 수사에 착수했고, 감사원도 특별감사에 들어갔습니다.
<인터뷰> 김석균(해양경찰청장) : "해양경찰은 초동조치 등 논란에 대해 앞으로 감사원 감사, 검찰 수사 등 모든 조사에 적극적으로 응할 것입니다."
해경의 구조 지휘가 적절했는지 수사는 해경 고위 간부로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세월호 침몰 당시 해경이 도착했을 때 배 안에는 3백여 명의 승객들이 있었습니다.
해경 도착부터 승객들 생존이 계속 확인되는 시점까지의 47분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습니다.
이 시간 동안 해경이 선내에 진입했더라면 승객 상당수를 구조할 수 있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해경의 소극적인 구조 정황과 관련해 검찰은 본격 수사에 들어갔고, 감사원은 특별감사에 착수했습니다.
해경 초동대처의 문제점,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월호가 침몰하던 지난달 16일, 해경 경비정이 현장에 도착한 9시 반쯤.
세월호는 45도 정도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갑판에는 승객들이 거의 보이지 않지만 아직까진 3, 4, 5층이 다 잠기지 않았습니다.
이 때 바로 해경이 선내 진입을 했다면 승객 3백여 명 가운데 상당수가 구조됐을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
15분 뒤 해경 구조대원이 구명정을 펼치려고 시도할 때쯤에도 배는 60도 정도 기울기로 주변을 잡고 이동할 수 있는 각도였습니다.
하지만, 이때 해경이 가장 먼저 구한 건 선장과 선원들.
그동안 목포해경서장이 승객 퇴선지시를 4차례 했지만 경비정에선 별다른 조치가 없었습니다.
결국 해경 도착 후 47분 만에 배는 뒤집혀 108도까지 기울었고, 이 때까지 배 안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학생의 카카오톡 메시지가 전송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47분 동안 해경이 적극적으로 선체 진입과 '퇴선명령'을 시도했는지가 의문인 상황.
검찰은 본격 수사에 착수했고, 감사원도 특별감사에 들어갔습니다.
<인터뷰> 김석균(해양경찰청장) : "해양경찰은 초동조치 등 논란에 대해 앞으로 감사원 감사, 검찰 수사 등 모든 조사에 적극적으로 응할 것입니다."
해경의 구조 지휘가 적절했는지 수사는 해경 고위 간부로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해경 초동 대응’ 정조준…47분간 뭐했나?
-
- 입력 2014-05-12 21:07:17
- 수정2014-05-13 08:00:22

<앵커 멘트>
세월호 침몰 당시 해경이 도착했을 때 배 안에는 3백여 명의 승객들이 있었습니다.
해경 도착부터 승객들 생존이 계속 확인되는 시점까지의 47분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습니다.
이 시간 동안 해경이 선내에 진입했더라면 승객 상당수를 구조할 수 있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해경의 소극적인 구조 정황과 관련해 검찰은 본격 수사에 들어갔고, 감사원은 특별감사에 착수했습니다.
해경 초동대처의 문제점,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월호가 침몰하던 지난달 16일, 해경 경비정이 현장에 도착한 9시 반쯤.
세월호는 45도 정도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갑판에는 승객들이 거의 보이지 않지만 아직까진 3, 4, 5층이 다 잠기지 않았습니다.
이 때 바로 해경이 선내 진입을 했다면 승객 3백여 명 가운데 상당수가 구조됐을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
15분 뒤 해경 구조대원이 구명정을 펼치려고 시도할 때쯤에도 배는 60도 정도 기울기로 주변을 잡고 이동할 수 있는 각도였습니다.
하지만, 이때 해경이 가장 먼저 구한 건 선장과 선원들.
그동안 목포해경서장이 승객 퇴선지시를 4차례 했지만 경비정에선 별다른 조치가 없었습니다.
결국 해경 도착 후 47분 만에 배는 뒤집혀 108도까지 기울었고, 이 때까지 배 안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학생의 카카오톡 메시지가 전송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47분 동안 해경이 적극적으로 선체 진입과 '퇴선명령'을 시도했는지가 의문인 상황.
검찰은 본격 수사에 착수했고, 감사원도 특별감사에 들어갔습니다.
<인터뷰> 김석균(해양경찰청장) : "해양경찰은 초동조치 등 논란에 대해 앞으로 감사원 감사, 검찰 수사 등 모든 조사에 적극적으로 응할 것입니다."
해경의 구조 지휘가 적절했는지 수사는 해경 고위 간부로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세월호 침몰 당시 해경이 도착했을 때 배 안에는 3백여 명의 승객들이 있었습니다.
해경 도착부터 승객들 생존이 계속 확인되는 시점까지의 47분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습니다.
이 시간 동안 해경이 선내에 진입했더라면 승객 상당수를 구조할 수 있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해경의 소극적인 구조 정황과 관련해 검찰은 본격 수사에 들어갔고, 감사원은 특별감사에 착수했습니다.
해경 초동대처의 문제점,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월호가 침몰하던 지난달 16일, 해경 경비정이 현장에 도착한 9시 반쯤.
세월호는 45도 정도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갑판에는 승객들이 거의 보이지 않지만 아직까진 3, 4, 5층이 다 잠기지 않았습니다.
이 때 바로 해경이 선내 진입을 했다면 승객 3백여 명 가운데 상당수가 구조됐을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
15분 뒤 해경 구조대원이 구명정을 펼치려고 시도할 때쯤에도 배는 60도 정도 기울기로 주변을 잡고 이동할 수 있는 각도였습니다.
하지만, 이때 해경이 가장 먼저 구한 건 선장과 선원들.
그동안 목포해경서장이 승객 퇴선지시를 4차례 했지만 경비정에선 별다른 조치가 없었습니다.
결국 해경 도착 후 47분 만에 배는 뒤집혀 108도까지 기울었고, 이 때까지 배 안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학생의 카카오톡 메시지가 전송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47분 동안 해경이 적극적으로 선체 진입과 '퇴선명령'을 시도했는지가 의문인 상황.
검찰은 본격 수사에 착수했고, 감사원도 특별감사에 들어갔습니다.
<인터뷰> 김석균(해양경찰청장) : "해양경찰은 초동조치 등 논란에 대해 앞으로 감사원 감사, 검찰 수사 등 모든 조사에 적극적으로 응할 것입니다."
해경의 구조 지휘가 적절했는지 수사는 해경 고위 간부로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세월호 ‘침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