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산에 불법 가축매매 시장…방역시설 없어

입력 2014.05.13 (00:10) 수정 2014.05.13 (07: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경기도의 한 야산에 불법 가축 시장을 열어 지난 5년간 100억 원대 거래를 해 온 일당이 붙잡혔습니다.

방역 시설조차 없는 이곳에서는 구제역이나 AI가 돌 때도 장이 열렸습니다.

정연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공터에 철제 우리가 줄지어 있습니다.

식용으로 개가 거래되고 있는데 애완견으로 보이는 작은 개도 보이고 강아지까지 눈에 띕니다.

병에 걸린 듯 주저앉아 입에서 거품을 흘리는 흑염소도 팔립니다.

바로 옆에서는 경매가 한창입니다.

<녹취> "10만! 10만 오천, 11만, 11만 5천~"

낙찰된 개는 잔인하게 끌려 팔려 갑니다.

입소문을 타고 업자들이 모여 들었습니다.

가림막을 쳐서 밖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해 놓고 실제로는 이 안에서 개와, 염소 등을 거래하는 불법 가축 시장이 열렸습니다.

<녹취> 인근 주민 : "(거래 시장 열리고 그러면 왁자지껄 했어요?) 여러 사람들이 가득 차고, 여기 가득 차고 그러니까..."

경찰에 붙잡힌 46살 강 모 씨는 버섯 농원 간판을 걸어 놓고 실제로는 불법 가축 시장을 운영했습니다.

방역 시설도 갖추지 않은 채 구제역이나 AI 등 가축 전염병이 도는 기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장을 열었습니다.

회원제로 운영하면서 단속을 피했는데 지난 5년 동안 거래된 가축 대금만 100억 원에 이릅니다.

<인터뷰> 고영준 (서울 강동경찰서) : "현행법상 가축 시장은 축산업협동조합이 아니면 개설 관리를 못하게끔 돼 있습니다."

경찰은 불법 가축 시장이 더 있다는 정보에 따라 수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연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야산에 불법 가축매매 시장…방역시설 없어
    • 입력 2014-05-13 00:09:43
    • 수정2014-05-13 07:19:00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경기도의 한 야산에 불법 가축 시장을 열어 지난 5년간 100억 원대 거래를 해 온 일당이 붙잡혔습니다.

방역 시설조차 없는 이곳에서는 구제역이나 AI가 돌 때도 장이 열렸습니다.

정연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공터에 철제 우리가 줄지어 있습니다.

식용으로 개가 거래되고 있는데 애완견으로 보이는 작은 개도 보이고 강아지까지 눈에 띕니다.

병에 걸린 듯 주저앉아 입에서 거품을 흘리는 흑염소도 팔립니다.

바로 옆에서는 경매가 한창입니다.

<녹취> "10만! 10만 오천, 11만, 11만 5천~"

낙찰된 개는 잔인하게 끌려 팔려 갑니다.

입소문을 타고 업자들이 모여 들었습니다.

가림막을 쳐서 밖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해 놓고 실제로는 이 안에서 개와, 염소 등을 거래하는 불법 가축 시장이 열렸습니다.

<녹취> 인근 주민 : "(거래 시장 열리고 그러면 왁자지껄 했어요?) 여러 사람들이 가득 차고, 여기 가득 차고 그러니까..."

경찰에 붙잡힌 46살 강 모 씨는 버섯 농원 간판을 걸어 놓고 실제로는 불법 가축 시장을 운영했습니다.

방역 시설도 갖추지 않은 채 구제역이나 AI 등 가축 전염병이 도는 기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장을 열었습니다.

회원제로 운영하면서 단속을 피했는데 지난 5년 동안 거래된 가축 대금만 100억 원에 이릅니다.

<인터뷰> 고영준 (서울 강동경찰서) : "현행법상 가축 시장은 축산업협동조합이 아니면 개설 관리를 못하게끔 돼 있습니다."

경찰은 불법 가축 시장이 더 있다는 정보에 따라 수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연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