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베이징 공항의 혼잡을 해결하고자 중국이 140억 달러(14조 3천억 원)를 들여 짓는 신공항이 2018년 개항한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심에서 남쪽으로 46㎞ 지점에 들어서는 신공항은 1차로 활주로 4개를 갖춰 현재의 공항과 비슷한 규모의 승객을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 활주로 3개를 추가할 계획이다.
베이징 공항은 지난해 8천370만명의 승객이 이용, 이용객 수가 미국 애틀랜타 하츠필드 잭슨 국제공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중국 정부의 환경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까지 연간 1억4천200만 명이 베이징을 통해 여행할 것으로 전망됐다.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 역시 2012년에서 2023년 사이 중국의 항공 승객이 네 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신공항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고 WSJ은 지적했다.
중국 영공은 80% 이상 군이 통제해 민간이 이용할 수 있는 항로는 제한적이어서 기상 상황이 좋지 않거나 군 훈련이 있으면 오랫동안 지연되는 일이 잦다.
모건 스탠리의 수송 분석가 에드워드 수는 "당국이 영공 규제를 완화하지 않거나 운항관리의 효율성을 높이지 않으면 신공항은 그렇게 유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심에서 남쪽으로 46㎞ 지점에 들어서는 신공항은 1차로 활주로 4개를 갖춰 현재의 공항과 비슷한 규모의 승객을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 활주로 3개를 추가할 계획이다.
베이징 공항은 지난해 8천370만명의 승객이 이용, 이용객 수가 미국 애틀랜타 하츠필드 잭슨 국제공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중국 정부의 환경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까지 연간 1억4천200만 명이 베이징을 통해 여행할 것으로 전망됐다.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 역시 2012년에서 2023년 사이 중국의 항공 승객이 네 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신공항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고 WSJ은 지적했다.
중국 영공은 80% 이상 군이 통제해 민간이 이용할 수 있는 항로는 제한적이어서 기상 상황이 좋지 않거나 군 훈련이 있으면 오랫동안 지연되는 일이 잦다.
모건 스탠리의 수송 분석가 에드워드 수는 "당국이 영공 규제를 완화하지 않거나 운항관리의 효율성을 높이지 않으면 신공항은 그렇게 유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WSJ “14조원 투입 베이징 신공항 2018년 개항”
-
- 입력 2014-05-14 14:08:26
세계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베이징 공항의 혼잡을 해결하고자 중국이 140억 달러(14조 3천억 원)를 들여 짓는 신공항이 2018년 개항한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심에서 남쪽으로 46㎞ 지점에 들어서는 신공항은 1차로 활주로 4개를 갖춰 현재의 공항과 비슷한 규모의 승객을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 활주로 3개를 추가할 계획이다.
베이징 공항은 지난해 8천370만명의 승객이 이용, 이용객 수가 미국 애틀랜타 하츠필드 잭슨 국제공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중국 정부의 환경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까지 연간 1억4천200만 명이 베이징을 통해 여행할 것으로 전망됐다.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 역시 2012년에서 2023년 사이 중국의 항공 승객이 네 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신공항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고 WSJ은 지적했다.
중국 영공은 80% 이상 군이 통제해 민간이 이용할 수 있는 항로는 제한적이어서 기상 상황이 좋지 않거나 군 훈련이 있으면 오랫동안 지연되는 일이 잦다.
모건 스탠리의 수송 분석가 에드워드 수는 "당국이 영공 규제를 완화하지 않거나 운항관리의 효율성을 높이지 않으면 신공항은 그렇게 유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