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기후 변화로 미국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국가 기념물이 사라지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 일간지 USA 투데이는 워싱턴 컬럼비아특별구(DC)에 본부를 둔 비영리 단체 '걱정하는 과학자 모임'(UCS)의 발표를 인용해 해수면 상승, 해안 침식, 홍수·폭우·산불 증가로 수려한 자연경관과 역사·문화 명소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전했다.
UCS는 훼손 위험에 처한 '국가 지정 기념물'(National Landmarks) 중 30곳을 추렸다.
국가 지정 기념물은 미국 정부가 역사적으로 보존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해 나라 유산으로 지정한 약 2천500 곳이다.
이 중에는 뉴욕의 상징인 자유의 여신상, 영국이 미국에 건설한 최초의 식민지인 버지니아주 제임스타운, 달 착륙선 아폴로 11호를 쏘아 올린 플로리다주 미국 항공우주국(NASA) 케네디 우주센터가 포함돼 있다.
또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해터러스 곶 등대를 비롯한 다수의 국립공원, 스페인·영국 식민 통치 기구가 있던 곳 등 미국의 발자취를 추적할 수 있는 여러 장소가 기후 변화의 직격탄을 맞았다고 UCS는 소개했다.
제임스타운은 2100년께 수면 아래로 사라질 위험에 노출됐고, 거듭된 폭풍에 따른 복구 지연으로 케네디 우주센터 발사대 지지 기반은 흔들리고 있다.
USA 투데이는 이런 명소들이 사라지면 경제 타격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동부와 남동부, 캘리포니아주, 알래스카주, 하와이주에 분포한 국립공원과 역사 유적지를 찾는 수백만 관광객이 창출하는 1년 경제효과만 270억 달러에 달한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후로 미국 동북부 지역에는 폭우가, 남동부 지역에는 홍수가 빈발하고 있다.
수년째 가뭄이 이어지는 서부와 남서부에서는 산불로 목초지가 말라 죽는 등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됐다.
미국 일간지 USA 투데이는 워싱턴 컬럼비아특별구(DC)에 본부를 둔 비영리 단체 '걱정하는 과학자 모임'(UCS)의 발표를 인용해 해수면 상승, 해안 침식, 홍수·폭우·산불 증가로 수려한 자연경관과 역사·문화 명소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전했다.
UCS는 훼손 위험에 처한 '국가 지정 기념물'(National Landmarks) 중 30곳을 추렸다.
국가 지정 기념물은 미국 정부가 역사적으로 보존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해 나라 유산으로 지정한 약 2천500 곳이다.
이 중에는 뉴욕의 상징인 자유의 여신상, 영국이 미국에 건설한 최초의 식민지인 버지니아주 제임스타운, 달 착륙선 아폴로 11호를 쏘아 올린 플로리다주 미국 항공우주국(NASA) 케네디 우주센터가 포함돼 있다.
또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해터러스 곶 등대를 비롯한 다수의 국립공원, 스페인·영국 식민 통치 기구가 있던 곳 등 미국의 발자취를 추적할 수 있는 여러 장소가 기후 변화의 직격탄을 맞았다고 UCS는 소개했다.
제임스타운은 2100년께 수면 아래로 사라질 위험에 노출됐고, 거듭된 폭풍에 따른 복구 지연으로 케네디 우주센터 발사대 지지 기반은 흔들리고 있다.
USA 투데이는 이런 명소들이 사라지면 경제 타격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동부와 남동부, 캘리포니아주, 알래스카주, 하와이주에 분포한 국립공원과 역사 유적지를 찾는 수백만 관광객이 창출하는 1년 경제효과만 270억 달러에 달한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후로 미국 동북부 지역에는 폭우가, 남동부 지역에는 홍수가 빈발하고 있다.
수년째 가뭄이 이어지는 서부와 남서부에서는 산불로 목초지가 말라 죽는 등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과학자들 “기후 변화로 미국 기념물 사라진다”
-
- 입력 2014-05-21 02:11:28
급격한 기후 변화로 미국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국가 기념물이 사라지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 일간지 USA 투데이는 워싱턴 컬럼비아특별구(DC)에 본부를 둔 비영리 단체 '걱정하는 과학자 모임'(UCS)의 발표를 인용해 해수면 상승, 해안 침식, 홍수·폭우·산불 증가로 수려한 자연경관과 역사·문화 명소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전했다.
UCS는 훼손 위험에 처한 '국가 지정 기념물'(National Landmarks) 중 30곳을 추렸다.
국가 지정 기념물은 미국 정부가 역사적으로 보존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해 나라 유산으로 지정한 약 2천500 곳이다.
이 중에는 뉴욕의 상징인 자유의 여신상, 영국이 미국에 건설한 최초의 식민지인 버지니아주 제임스타운, 달 착륙선 아폴로 11호를 쏘아 올린 플로리다주 미국 항공우주국(NASA) 케네디 우주센터가 포함돼 있다.
또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해터러스 곶 등대를 비롯한 다수의 국립공원, 스페인·영국 식민 통치 기구가 있던 곳 등 미국의 발자취를 추적할 수 있는 여러 장소가 기후 변화의 직격탄을 맞았다고 UCS는 소개했다.
제임스타운은 2100년께 수면 아래로 사라질 위험에 노출됐고, 거듭된 폭풍에 따른 복구 지연으로 케네디 우주센터 발사대 지지 기반은 흔들리고 있다.
USA 투데이는 이런 명소들이 사라지면 경제 타격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동부와 남동부, 캘리포니아주, 알래스카주, 하와이주에 분포한 국립공원과 역사 유적지를 찾는 수백만 관광객이 창출하는 1년 경제효과만 270억 달러에 달한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후로 미국 동북부 지역에는 폭우가, 남동부 지역에는 홍수가 빈발하고 있다.
수년째 가뭄이 이어지는 서부와 남서부에서는 산불로 목초지가 말라 죽는 등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됐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