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8년간 이끌다 물러난 벤 버냉키 의장의 퇴임후 수입은 얼마나 될까.
그가 미국 연준 의장으로서 받은 연봉은 20만달러, 우리 돈으로 2억원 정도였다고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가 전했다.
연준 의장에서 물러난 그는 지난 3월의 한 주에는 아랍에미리트의 아부다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미국 휴스턴을 넘나들며 강연과 행사에 참석했을 정도로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전세계 유수의 금융회사 등으로부터 적잖은 강연 요청이 들어오고 있지만 정작 버냉키 전 의장은 특정 금융·투자 회사에 '고문' 등의 자격으로 고용되지는 않은 상태다.
버냉키 전 의장이 여전히 '자유인' 신분으로 남은 것은 엄청나게 높은 그의 '몸값'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미 버냉키 전 의장이 올해 강연 등으로 벌어들일 수입이 벌써 수백만달러를 훌쩍 넘었을 것이란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미국의 현 금리·통화 정책이 버냉키 의장 당시 짜여진 것인 만큼 '버냉키의 입'을 통해 정책 배경을 듣는 것은 웬만한 고액을 주고는 들을 수 없은 최고의 강연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특히 내로라하는 금융·투자 회사들로서는 버냉키 전 의장이 주도한 양적완화 정책의 방향, 금리 인상 시기 등을 '출제자의 입'을 통해 듣는 것은 '1급 비밀'을 손에 넣는 것과도 같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각종 금융회사들은 버냉키 전 의장에게 식사 좌담회, 강연 등 한 번 행사에 나올 때마다 '연봉'보다 많은 사례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버냉키의 강연·참석료는 미국 국내의 경우 20만달러 수준이며, 미국 외 아시아 등지에서 열릴 때는 4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최대은행인 JP모건체이스 등은 이미 '버냉키 모시기'를 한 적이 있지만 웬만한 금융회사들은 비용 부담 때문에 엄두도 못내고 있다.
지난 3월 퇴임 직후 처음으로 열린 버냉키 전 의장의 외부 좌담회는 뉴욕 최고의 해산물 전문 레스토랑인 '르 베르나르댕'의 소규모 공간에서 소수만 참석한 가운데 열렸지만 막대한 강연료가 지불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런 몸값 때문에 스위스 최대은행인 UBS는 물론 미국의 대형 금융·투자회사 골드만 삭스도 버냉키 전 의장을 채용하려던 계획을 일단 포기한 상태다.
그가 미국 연준 의장으로서 받은 연봉은 20만달러, 우리 돈으로 2억원 정도였다고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가 전했다.
연준 의장에서 물러난 그는 지난 3월의 한 주에는 아랍에미리트의 아부다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미국 휴스턴을 넘나들며 강연과 행사에 참석했을 정도로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전세계 유수의 금융회사 등으로부터 적잖은 강연 요청이 들어오고 있지만 정작 버냉키 전 의장은 특정 금융·투자 회사에 '고문' 등의 자격으로 고용되지는 않은 상태다.
버냉키 전 의장이 여전히 '자유인' 신분으로 남은 것은 엄청나게 높은 그의 '몸값'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미 버냉키 전 의장이 올해 강연 등으로 벌어들일 수입이 벌써 수백만달러를 훌쩍 넘었을 것이란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미국의 현 금리·통화 정책이 버냉키 의장 당시 짜여진 것인 만큼 '버냉키의 입'을 통해 정책 배경을 듣는 것은 웬만한 고액을 주고는 들을 수 없은 최고의 강연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특히 내로라하는 금융·투자 회사들로서는 버냉키 전 의장이 주도한 양적완화 정책의 방향, 금리 인상 시기 등을 '출제자의 입'을 통해 듣는 것은 '1급 비밀'을 손에 넣는 것과도 같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각종 금융회사들은 버냉키 전 의장에게 식사 좌담회, 강연 등 한 번 행사에 나올 때마다 '연봉'보다 많은 사례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버냉키의 강연·참석료는 미국 국내의 경우 20만달러 수준이며, 미국 외 아시아 등지에서 열릴 때는 4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최대은행인 JP모건체이스 등은 이미 '버냉키 모시기'를 한 적이 있지만 웬만한 금융회사들은 비용 부담 때문에 엄두도 못내고 있다.
지난 3월 퇴임 직후 처음으로 열린 버냉키 전 의장의 외부 좌담회는 뉴욕 최고의 해산물 전문 레스토랑인 '르 베르나르댕'의 소규모 공간에서 소수만 참석한 가운데 열렸지만 막대한 강연료가 지불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런 몸값 때문에 스위스 최대은행인 UBS는 물론 미국의 대형 금융·투자회사 골드만 삭스도 버냉키 전 의장을 채용하려던 계획을 일단 포기한 상태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봉 2억 받던 버냉키 전 연준의장…퇴임 후 수입은?
-
- 입력 2014-05-22 06:20:48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8년간 이끌다 물러난 벤 버냉키 의장의 퇴임후 수입은 얼마나 될까.
그가 미국 연준 의장으로서 받은 연봉은 20만달러, 우리 돈으로 2억원 정도였다고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가 전했다.
연준 의장에서 물러난 그는 지난 3월의 한 주에는 아랍에미리트의 아부다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미국 휴스턴을 넘나들며 강연과 행사에 참석했을 정도로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전세계 유수의 금융회사 등으로부터 적잖은 강연 요청이 들어오고 있지만 정작 버냉키 전 의장은 특정 금융·투자 회사에 '고문' 등의 자격으로 고용되지는 않은 상태다.
버냉키 전 의장이 여전히 '자유인' 신분으로 남은 것은 엄청나게 높은 그의 '몸값'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미 버냉키 전 의장이 올해 강연 등으로 벌어들일 수입이 벌써 수백만달러를 훌쩍 넘었을 것이란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미국의 현 금리·통화 정책이 버냉키 의장 당시 짜여진 것인 만큼 '버냉키의 입'을 통해 정책 배경을 듣는 것은 웬만한 고액을 주고는 들을 수 없은 최고의 강연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특히 내로라하는 금융·투자 회사들로서는 버냉키 전 의장이 주도한 양적완화 정책의 방향, 금리 인상 시기 등을 '출제자의 입'을 통해 듣는 것은 '1급 비밀'을 손에 넣는 것과도 같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각종 금융회사들은 버냉키 전 의장에게 식사 좌담회, 강연 등 한 번 행사에 나올 때마다 '연봉'보다 많은 사례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버냉키의 강연·참석료는 미국 국내의 경우 20만달러 수준이며, 미국 외 아시아 등지에서 열릴 때는 4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최대은행인 JP모건체이스 등은 이미 '버냉키 모시기'를 한 적이 있지만 웬만한 금융회사들은 비용 부담 때문에 엄두도 못내고 있다.
지난 3월 퇴임 직후 처음으로 열린 버냉키 전 의장의 외부 좌담회는 뉴욕 최고의 해산물 전문 레스토랑인 '르 베르나르댕'의 소규모 공간에서 소수만 참석한 가운데 열렸지만 막대한 강연료가 지불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런 몸값 때문에 스위스 최대은행인 UBS는 물론 미국의 대형 금융·투자회사 골드만 삭스도 버냉키 전 의장을 채용하려던 계획을 일단 포기한 상태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