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시대 ‘성큼’…가전업계 제품 잇단 출시
입력 2014.05.25 (10:08)
수정 2014.05.25 (15: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의 일로 여겨졌던 사물인터넷 시대가 서서히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은 사람, 사물, 공간 등 모든 것(things)을 인터넷(internet)으로 서로 연결해 정보를 생성·수집·공유·활용하는 기술을 뜻한다.
이를 이용하면 퇴근 전 스마트폰으로 집안의 에어컨을 켜 놓거나, 세탁기를 돌려 귀가시간에 맞춰 빨래를 마치고, 에어컨이나 로봇청소기에 달린 카메라로 집안 상황을 점검할 수 있다.
나아가 승용차의 이상 유무나 신체건강 상태까지 수시로 파악해 정비소나 병원 예약도 할 수 있게 된다.
가전업계에서는 '스마트가전'이란 이름으로 이미 3∼4년 전부터 통신 기능을 탑재한 지능형 가전을 선보여왔다.
그러다 올해 들어 TV·냉장고·세탁기·에어컨·오븐·청소기·조명 등 가전에 스마트폰과 웨어러블(착용형) 기기까지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연결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상용화하기 시작했다.
가전업계에 부는 이 같은 새로운 바람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주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초 한국, 미국, 영국 등 세계 11개국에 '삼성 스마트홈'이라는 브랜드로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가전제품군과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각종 가전과 최신 스마트폰인 갤럭시S5, 스마트워치인 기어2를 연결해 원격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삼성전자는 특히 새로운 운영체제(OS) 타이젠을 개발하고, 서버 기반의 개방형 통합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사물인터넷 표준화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는 데 힘을 쏟고 있다.
LG전자는 지난달 말부터 국내에서 '홈챗'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모바일메신저 '라인'에 가전제품을 친구로 등록만 하면 채팅하듯이 일상언어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접근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세탁기 뭐해?'라고 물으면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작동 상태 등을 알려주는 식이다.
LG전자는 홈챗 서비스를 지원하는 냉장고, 세탁기, 광파오븐을 순차적으로 출시하고 이후 북미 등 해외로 출시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동부대우전자는 올 초 리모컨과 실외기에 온도감지 센서를 탑재한 에어컨을 국내 최초로 출시했다.
센서가 본체에만 있는 기존 에어컨이 기기 주변 온도를 기준으로 삼는 것과 달리 사용자 주변 온도와 바깥 온도까지 측정해 최적화된 냉방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동부대우전자는 지난해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을 탑재한 냉장고를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사물인터넷 기술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밖에 리홈쿠첸은 NFC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원거리 통신인 와이파이(wi-fi)를 적용한 전기압력밥솥을 지난 3월 시장에 내놨다.
중소 가전업체인 유라클은 지난주 사물인터넷 개념을 응용한 신개념 한방 의료기기 '리본 스킨 체크'를 출시했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해 피부를 통해 측정한 장기 정보를 PC나 태블릿으로 바로 전송해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업계에서는 사물인터넷이 오랜 기간 성장 정체에 빠진 국내외 가전시장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제공하는 활력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에 따르면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지난해 2천억달러에서 2020년 1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가전업계 한 관계자는 "사물인터넷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면서 주요 가전업체마다 관련 신제품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며 "아직은 프리미엄 제품에 주로 적용되지만 수요가 크게 늘면서 2∼3년 내 대중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은 사람, 사물, 공간 등 모든 것(things)을 인터넷(internet)으로 서로 연결해 정보를 생성·수집·공유·활용하는 기술을 뜻한다.
이를 이용하면 퇴근 전 스마트폰으로 집안의 에어컨을 켜 놓거나, 세탁기를 돌려 귀가시간에 맞춰 빨래를 마치고, 에어컨이나 로봇청소기에 달린 카메라로 집안 상황을 점검할 수 있다.
나아가 승용차의 이상 유무나 신체건강 상태까지 수시로 파악해 정비소나 병원 예약도 할 수 있게 된다.
가전업계에서는 '스마트가전'이란 이름으로 이미 3∼4년 전부터 통신 기능을 탑재한 지능형 가전을 선보여왔다.
그러다 올해 들어 TV·냉장고·세탁기·에어컨·오븐·청소기·조명 등 가전에 스마트폰과 웨어러블(착용형) 기기까지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연결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상용화하기 시작했다.
가전업계에 부는 이 같은 새로운 바람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주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초 한국, 미국, 영국 등 세계 11개국에 '삼성 스마트홈'이라는 브랜드로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가전제품군과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각종 가전과 최신 스마트폰인 갤럭시S5, 스마트워치인 기어2를 연결해 원격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삼성전자는 특히 새로운 운영체제(OS) 타이젠을 개발하고, 서버 기반의 개방형 통합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사물인터넷 표준화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는 데 힘을 쏟고 있다.
LG전자는 지난달 말부터 국내에서 '홈챗'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모바일메신저 '라인'에 가전제품을 친구로 등록만 하면 채팅하듯이 일상언어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접근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세탁기 뭐해?'라고 물으면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작동 상태 등을 알려주는 식이다.
LG전자는 홈챗 서비스를 지원하는 냉장고, 세탁기, 광파오븐을 순차적으로 출시하고 이후 북미 등 해외로 출시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동부대우전자는 올 초 리모컨과 실외기에 온도감지 센서를 탑재한 에어컨을 국내 최초로 출시했다.
센서가 본체에만 있는 기존 에어컨이 기기 주변 온도를 기준으로 삼는 것과 달리 사용자 주변 온도와 바깥 온도까지 측정해 최적화된 냉방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동부대우전자는 지난해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을 탑재한 냉장고를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사물인터넷 기술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밖에 리홈쿠첸은 NFC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원거리 통신인 와이파이(wi-fi)를 적용한 전기압력밥솥을 지난 3월 시장에 내놨다.
중소 가전업체인 유라클은 지난주 사물인터넷 개념을 응용한 신개념 한방 의료기기 '리본 스킨 체크'를 출시했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해 피부를 통해 측정한 장기 정보를 PC나 태블릿으로 바로 전송해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업계에서는 사물인터넷이 오랜 기간 성장 정체에 빠진 국내외 가전시장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제공하는 활력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에 따르면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지난해 2천억달러에서 2020년 1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가전업계 한 관계자는 "사물인터넷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면서 주요 가전업체마다 관련 신제품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며 "아직은 프리미엄 제품에 주로 적용되지만 수요가 크게 늘면서 2∼3년 내 대중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물인터넷 시대 ‘성큼’…가전업계 제품 잇단 출시
-
- 입력 2014-05-25 10:08:35
- 수정2014-05-25 15:25:32
미래의 일로 여겨졌던 사물인터넷 시대가 서서히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은 사람, 사물, 공간 등 모든 것(things)을 인터넷(internet)으로 서로 연결해 정보를 생성·수집·공유·활용하는 기술을 뜻한다.
이를 이용하면 퇴근 전 스마트폰으로 집안의 에어컨을 켜 놓거나, 세탁기를 돌려 귀가시간에 맞춰 빨래를 마치고, 에어컨이나 로봇청소기에 달린 카메라로 집안 상황을 점검할 수 있다.
나아가 승용차의 이상 유무나 신체건강 상태까지 수시로 파악해 정비소나 병원 예약도 할 수 있게 된다.
가전업계에서는 '스마트가전'이란 이름으로 이미 3∼4년 전부터 통신 기능을 탑재한 지능형 가전을 선보여왔다.
그러다 올해 들어 TV·냉장고·세탁기·에어컨·오븐·청소기·조명 등 가전에 스마트폰과 웨어러블(착용형) 기기까지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연결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상용화하기 시작했다.
가전업계에 부는 이 같은 새로운 바람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주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초 한국, 미국, 영국 등 세계 11개국에 '삼성 스마트홈'이라는 브랜드로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가전제품군과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각종 가전과 최신 스마트폰인 갤럭시S5, 스마트워치인 기어2를 연결해 원격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삼성전자는 특히 새로운 운영체제(OS) 타이젠을 개발하고, 서버 기반의 개방형 통합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사물인터넷 표준화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는 데 힘을 쏟고 있다.
LG전자는 지난달 말부터 국내에서 '홈챗'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모바일메신저 '라인'에 가전제품을 친구로 등록만 하면 채팅하듯이 일상언어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접근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세탁기 뭐해?'라고 물으면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작동 상태 등을 알려주는 식이다.
LG전자는 홈챗 서비스를 지원하는 냉장고, 세탁기, 광파오븐을 순차적으로 출시하고 이후 북미 등 해외로 출시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동부대우전자는 올 초 리모컨과 실외기에 온도감지 센서를 탑재한 에어컨을 국내 최초로 출시했다.
센서가 본체에만 있는 기존 에어컨이 기기 주변 온도를 기준으로 삼는 것과 달리 사용자 주변 온도와 바깥 온도까지 측정해 최적화된 냉방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동부대우전자는 지난해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을 탑재한 냉장고를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사물인터넷 기술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밖에 리홈쿠첸은 NFC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원거리 통신인 와이파이(wi-fi)를 적용한 전기압력밥솥을 지난 3월 시장에 내놨다.
중소 가전업체인 유라클은 지난주 사물인터넷 개념을 응용한 신개념 한방 의료기기 '리본 스킨 체크'를 출시했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해 피부를 통해 측정한 장기 정보를 PC나 태블릿으로 바로 전송해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업계에서는 사물인터넷이 오랜 기간 성장 정체에 빠진 국내외 가전시장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제공하는 활력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에 따르면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지난해 2천억달러에서 2020년 1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가전업계 한 관계자는 "사물인터넷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면서 주요 가전업체마다 관련 신제품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며 "아직은 프리미엄 제품에 주로 적용되지만 수요가 크게 늘면서 2∼3년 내 대중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은 사람, 사물, 공간 등 모든 것(things)을 인터넷(internet)으로 서로 연결해 정보를 생성·수집·공유·활용하는 기술을 뜻한다.
이를 이용하면 퇴근 전 스마트폰으로 집안의 에어컨을 켜 놓거나, 세탁기를 돌려 귀가시간에 맞춰 빨래를 마치고, 에어컨이나 로봇청소기에 달린 카메라로 집안 상황을 점검할 수 있다.
나아가 승용차의 이상 유무나 신체건강 상태까지 수시로 파악해 정비소나 병원 예약도 할 수 있게 된다.
가전업계에서는 '스마트가전'이란 이름으로 이미 3∼4년 전부터 통신 기능을 탑재한 지능형 가전을 선보여왔다.
그러다 올해 들어 TV·냉장고·세탁기·에어컨·오븐·청소기·조명 등 가전에 스마트폰과 웨어러블(착용형) 기기까지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연결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상용화하기 시작했다.
가전업계에 부는 이 같은 새로운 바람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주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초 한국, 미국, 영국 등 세계 11개국에 '삼성 스마트홈'이라는 브랜드로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가전제품군과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각종 가전과 최신 스마트폰인 갤럭시S5, 스마트워치인 기어2를 연결해 원격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삼성전자는 특히 새로운 운영체제(OS) 타이젠을 개발하고, 서버 기반의 개방형 통합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사물인터넷 표준화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는 데 힘을 쏟고 있다.
LG전자는 지난달 말부터 국내에서 '홈챗'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모바일메신저 '라인'에 가전제품을 친구로 등록만 하면 채팅하듯이 일상언어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접근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세탁기 뭐해?'라고 물으면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작동 상태 등을 알려주는 식이다.
LG전자는 홈챗 서비스를 지원하는 냉장고, 세탁기, 광파오븐을 순차적으로 출시하고 이후 북미 등 해외로 출시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동부대우전자는 올 초 리모컨과 실외기에 온도감지 센서를 탑재한 에어컨을 국내 최초로 출시했다.
센서가 본체에만 있는 기존 에어컨이 기기 주변 온도를 기준으로 삼는 것과 달리 사용자 주변 온도와 바깥 온도까지 측정해 최적화된 냉방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동부대우전자는 지난해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을 탑재한 냉장고를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사물인터넷 기술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밖에 리홈쿠첸은 NFC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원거리 통신인 와이파이(wi-fi)를 적용한 전기압력밥솥을 지난 3월 시장에 내놨다.
중소 가전업체인 유라클은 지난주 사물인터넷 개념을 응용한 신개념 한방 의료기기 '리본 스킨 체크'를 출시했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해 피부를 통해 측정한 장기 정보를 PC나 태블릿으로 바로 전송해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업계에서는 사물인터넷이 오랜 기간 성장 정체에 빠진 국내외 가전시장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제공하는 활력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에 따르면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지난해 2천억달러에서 2020년 1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가전업계 한 관계자는 "사물인터넷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면서 주요 가전업체마다 관련 신제품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며 "아직은 프리미엄 제품에 주로 적용되지만 수요가 크게 늘면서 2∼3년 내 대중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