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원희룡의 새로운 도전 성공할까
입력 2014.06.11 (11:12)
수정 2014.06.11 (15: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jpg)
'이들의 새로운 정치 실험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이번 6.4 지방선거에 경기, 제주지사로 당선된 새누리당 소장파의 상징 남경필, 원희룡 전 의원이 상대방 후보를 포용하는 연정(聯政)을 시도에 이들의 새로운 정치 실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승자의 잔치'로 불리는 선거 직후 추진되는 이같은 연정안은 국내 정치에서 유례가 없어 추진과정에 전국적인 이목이 집중되는 양상이다.
연정 제안 내용을 보면, 남경필 경기지사 당선인은 정무부지사의 명칭을 사회통합부지사로 바꾸고 야당에 추천을 의뢰했다.
특히 남 당선인은 새누리당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는 노동·환경·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야권의 의견을 반영하는 방안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희룡 제주지사 당선인은 인수위원장 자리에 경쟁자였던 신구범 전 지사에 맡겼고 신 전 지사도 어제(10일) 자리를 수락해 '새 도정준비위원장'에 임명됐다.
원 당선인은 신 전지사에 대해 제주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지사까지 지내 지역 사정을 꿰뚫고 있다는 점을 높이 산 것이다.
남경필, 원희룡 당선인의 이같은 제안에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경기와 제주에서 각각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정책 협의가 우선된다면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 반면, 제주도에서는 "야당의 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새정치연합 경기도당은 어제 남 당선인이 사회통합 부지사직에 야당 인사를 임명하는 방식의 연정을 제안한 것과 관련, "정책협의를 우선으로 하는 연정을 역제안 했다"고 밝혔다.
김태년 경기도당 공동위원장은 "실현 가능한 정책이 뭔지 먼저 논의해야 공동책임으로서 연정에 동의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합의되지 않은 정책은 도 의회의 견제 기능을 충분히 가동할 것"이라며 "부지사직을 포함한 인사 문제는 아주 나중에 논의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제주도당은 새누리당 원 당선인이 경쟁자였던 신구범 후보에게 지사직 인수위원장 제안과 신 후보가 이를 수용한 것에 대해 수용불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제주도당은 어제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제안에 대해 "협치를 가장한 협잡이며, 통합을 빌미로 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인수위원장직을 수용한 신 후보에 대해서는 탈당을 권고했다.
연정과 관련해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지만 정쟁이 난무하는 우리 정치 문화에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데는 이견이 없는 상태다.
김용철 부산대 행정학과 교수는 "일단 경쟁과 비난이 난무하는 우리 정치권에서 신선한 제안으로 판단된다"며 "정책과 의견 등의 다양성을 통해 화합의 정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남경필 캠프 윤완채 부대변인도 "연정은 남 당선인이 고심끝에 내린 결단"이라며 "이번 연정이 성공한다면 정치에 염증을 느끼는 국민들에게 소통과 화합형 정치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관계자는 "대권주자인 남경필, 원희룡 당선인이 향후 정치 행보를 생각해 '스타일 정치'를 하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며 "효과가 과연 있을 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국회 한 보좌관도 "서로 다른 정책과 의견을 가진 정당이 공동으로 국정을 운영하면 결국 정치적 분란만 가중시켜 국민들과 도민들에게 실망만 안겨줄 수 있다"며 " 이는 책임정치 구현에도 맞지 않고 표를 준 유권자에 대한 도리도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용철 교수는 "결국 연정의 성공 여부는 야당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라며 "이제 공은 야당에 넘어간 것으로 야당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연정정치란?]
연정이란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둘 이상의 세력이 협력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김대중 정부 때의 DJP연합을 연정으로 볼 수 있다. 서로 정당이 다르면서 DJ는 대통령을,JP는 국무총리를 맡았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재임중이던 지난 2005년 7월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근혜 대통령에게 '대연정'을 제의했지만 한나라당의 반대로 성사되지는 않았다.
외국에서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해 1월 척 헤이글 전 공화당 상원의원을 민주당 정권의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
독일에서도 지난해 9월 총선 때 우파 진영인 기민-기사당 연합과, 좌파 진영 사민당이 대연정을 꾸리는 등 세계 각국의 정치 현장에서는 그리 낯선 일은 아니다.
이번 6.4 지방선거에 경기, 제주지사로 당선된 새누리당 소장파의 상징 남경필, 원희룡 전 의원이 상대방 후보를 포용하는 연정(聯政)을 시도에 이들의 새로운 정치 실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승자의 잔치'로 불리는 선거 직후 추진되는 이같은 연정안은 국내 정치에서 유례가 없어 추진과정에 전국적인 이목이 집중되는 양상이다.
연정 제안 내용을 보면, 남경필 경기지사 당선인은 정무부지사의 명칭을 사회통합부지사로 바꾸고 야당에 추천을 의뢰했다.
특히 남 당선인은 새누리당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는 노동·환경·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야권의 의견을 반영하는 방안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희룡 제주지사 당선인은 인수위원장 자리에 경쟁자였던 신구범 전 지사에 맡겼고 신 전 지사도 어제(10일) 자리를 수락해 '새 도정준비위원장'에 임명됐다.
원 당선인은 신 전지사에 대해 제주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지사까지 지내 지역 사정을 꿰뚫고 있다는 점을 높이 산 것이다.
남경필, 원희룡 당선인의 이같은 제안에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경기와 제주에서 각각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정책 협의가 우선된다면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 반면, 제주도에서는 "야당의 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새정치연합 경기도당은 어제 남 당선인이 사회통합 부지사직에 야당 인사를 임명하는 방식의 연정을 제안한 것과 관련, "정책협의를 우선으로 하는 연정을 역제안 했다"고 밝혔다.
김태년 경기도당 공동위원장은 "실현 가능한 정책이 뭔지 먼저 논의해야 공동책임으로서 연정에 동의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합의되지 않은 정책은 도 의회의 견제 기능을 충분히 가동할 것"이라며 "부지사직을 포함한 인사 문제는 아주 나중에 논의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제주도당은 새누리당 원 당선인이 경쟁자였던 신구범 후보에게 지사직 인수위원장 제안과 신 후보가 이를 수용한 것에 대해 수용불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제주도당은 어제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제안에 대해 "협치를 가장한 협잡이며, 통합을 빌미로 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인수위원장직을 수용한 신 후보에 대해서는 탈당을 권고했다.
연정과 관련해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지만 정쟁이 난무하는 우리 정치 문화에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데는 이견이 없는 상태다.
김용철 부산대 행정학과 교수는 "일단 경쟁과 비난이 난무하는 우리 정치권에서 신선한 제안으로 판단된다"며 "정책과 의견 등의 다양성을 통해 화합의 정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남경필 캠프 윤완채 부대변인도 "연정은 남 당선인이 고심끝에 내린 결단"이라며 "이번 연정이 성공한다면 정치에 염증을 느끼는 국민들에게 소통과 화합형 정치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관계자는 "대권주자인 남경필, 원희룡 당선인이 향후 정치 행보를 생각해 '스타일 정치'를 하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며 "효과가 과연 있을 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국회 한 보좌관도 "서로 다른 정책과 의견을 가진 정당이 공동으로 국정을 운영하면 결국 정치적 분란만 가중시켜 국민들과 도민들에게 실망만 안겨줄 수 있다"며 " 이는 책임정치 구현에도 맞지 않고 표를 준 유권자에 대한 도리도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용철 교수는 "결국 연정의 성공 여부는 야당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라며 "이제 공은 야당에 넘어간 것으로 야당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연정정치란?]
연정이란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둘 이상의 세력이 협력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김대중 정부 때의 DJP연합을 연정으로 볼 수 있다. 서로 정당이 다르면서 DJ는 대통령을,JP는 국무총리를 맡았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재임중이던 지난 2005년 7월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근혜 대통령에게 '대연정'을 제의했지만 한나라당의 반대로 성사되지는 않았다.
외국에서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해 1월 척 헤이글 전 공화당 상원의원을 민주당 정권의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
독일에서도 지난해 9월 총선 때 우파 진영인 기민-기사당 연합과, 좌파 진영 사민당이 대연정을 꾸리는 등 세계 각국의 정치 현장에서는 그리 낯선 일은 아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경필·원희룡의 새로운 도전 성공할까
-
- 입력 2014-06-11 11:12:52
- 수정2014-06-11 15:19:34
.jpg)
'이들의 새로운 정치 실험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이번 6.4 지방선거에 경기, 제주지사로 당선된 새누리당 소장파의 상징 남경필, 원희룡 전 의원이 상대방 후보를 포용하는 연정(聯政)을 시도에 이들의 새로운 정치 실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승자의 잔치'로 불리는 선거 직후 추진되는 이같은 연정안은 국내 정치에서 유례가 없어 추진과정에 전국적인 이목이 집중되는 양상이다.
연정 제안 내용을 보면, 남경필 경기지사 당선인은 정무부지사의 명칭을 사회통합부지사로 바꾸고 야당에 추천을 의뢰했다.
특히 남 당선인은 새누리당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는 노동·환경·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야권의 의견을 반영하는 방안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희룡 제주지사 당선인은 인수위원장 자리에 경쟁자였던 신구범 전 지사에 맡겼고 신 전 지사도 어제(10일) 자리를 수락해 '새 도정준비위원장'에 임명됐다.
원 당선인은 신 전지사에 대해 제주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지사까지 지내 지역 사정을 꿰뚫고 있다는 점을 높이 산 것이다.
남경필, 원희룡 당선인의 이같은 제안에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경기와 제주에서 각각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정책 협의가 우선된다면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 반면, 제주도에서는 "야당의 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새정치연합 경기도당은 어제 남 당선인이 사회통합 부지사직에 야당 인사를 임명하는 방식의 연정을 제안한 것과 관련, "정책협의를 우선으로 하는 연정을 역제안 했다"고 밝혔다.
김태년 경기도당 공동위원장은 "실현 가능한 정책이 뭔지 먼저 논의해야 공동책임으로서 연정에 동의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합의되지 않은 정책은 도 의회의 견제 기능을 충분히 가동할 것"이라며 "부지사직을 포함한 인사 문제는 아주 나중에 논의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제주도당은 새누리당 원 당선인이 경쟁자였던 신구범 후보에게 지사직 인수위원장 제안과 신 후보가 이를 수용한 것에 대해 수용불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제주도당은 어제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제안에 대해 "협치를 가장한 협잡이며, 통합을 빌미로 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인수위원장직을 수용한 신 후보에 대해서는 탈당을 권고했다.
연정과 관련해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지만 정쟁이 난무하는 우리 정치 문화에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데는 이견이 없는 상태다.
김용철 부산대 행정학과 교수는 "일단 경쟁과 비난이 난무하는 우리 정치권에서 신선한 제안으로 판단된다"며 "정책과 의견 등의 다양성을 통해 화합의 정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남경필 캠프 윤완채 부대변인도 "연정은 남 당선인이 고심끝에 내린 결단"이라며 "이번 연정이 성공한다면 정치에 염증을 느끼는 국민들에게 소통과 화합형 정치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관계자는 "대권주자인 남경필, 원희룡 당선인이 향후 정치 행보를 생각해 '스타일 정치'를 하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며 "효과가 과연 있을 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국회 한 보좌관도 "서로 다른 정책과 의견을 가진 정당이 공동으로 국정을 운영하면 결국 정치적 분란만 가중시켜 국민들과 도민들에게 실망만 안겨줄 수 있다"며 " 이는 책임정치 구현에도 맞지 않고 표를 준 유권자에 대한 도리도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용철 교수는 "결국 연정의 성공 여부는 야당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라며 "이제 공은 야당에 넘어간 것으로 야당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연정정치란?]
연정이란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둘 이상의 세력이 협력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김대중 정부 때의 DJP연합을 연정으로 볼 수 있다. 서로 정당이 다르면서 DJ는 대통령을,JP는 국무총리를 맡았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재임중이던 지난 2005년 7월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근혜 대통령에게 '대연정'을 제의했지만 한나라당의 반대로 성사되지는 않았다.
외국에서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해 1월 척 헤이글 전 공화당 상원의원을 민주당 정권의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
독일에서도 지난해 9월 총선 때 우파 진영인 기민-기사당 연합과, 좌파 진영 사민당이 대연정을 꾸리는 등 세계 각국의 정치 현장에서는 그리 낯선 일은 아니다.
이번 6.4 지방선거에 경기, 제주지사로 당선된 새누리당 소장파의 상징 남경필, 원희룡 전 의원이 상대방 후보를 포용하는 연정(聯政)을 시도에 이들의 새로운 정치 실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승자의 잔치'로 불리는 선거 직후 추진되는 이같은 연정안은 국내 정치에서 유례가 없어 추진과정에 전국적인 이목이 집중되는 양상이다.
연정 제안 내용을 보면, 남경필 경기지사 당선인은 정무부지사의 명칭을 사회통합부지사로 바꾸고 야당에 추천을 의뢰했다.
특히 남 당선인은 새누리당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는 노동·환경·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야권의 의견을 반영하는 방안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희룡 제주지사 당선인은 인수위원장 자리에 경쟁자였던 신구범 전 지사에 맡겼고 신 전 지사도 어제(10일) 자리를 수락해 '새 도정준비위원장'에 임명됐다.
원 당선인은 신 전지사에 대해 제주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지사까지 지내 지역 사정을 꿰뚫고 있다는 점을 높이 산 것이다.
남경필, 원희룡 당선인의 이같은 제안에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경기와 제주에서 각각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정책 협의가 우선된다면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 반면, 제주도에서는 "야당의 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새정치연합 경기도당은 어제 남 당선인이 사회통합 부지사직에 야당 인사를 임명하는 방식의 연정을 제안한 것과 관련, "정책협의를 우선으로 하는 연정을 역제안 했다"고 밝혔다.
김태년 경기도당 공동위원장은 "실현 가능한 정책이 뭔지 먼저 논의해야 공동책임으로서 연정에 동의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합의되지 않은 정책은 도 의회의 견제 기능을 충분히 가동할 것"이라며 "부지사직을 포함한 인사 문제는 아주 나중에 논의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제주도당은 새누리당 원 당선인이 경쟁자였던 신구범 후보에게 지사직 인수위원장 제안과 신 후보가 이를 수용한 것에 대해 수용불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제주도당은 어제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제안에 대해 "협치를 가장한 협잡이며, 통합을 빌미로 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인수위원장직을 수용한 신 후보에 대해서는 탈당을 권고했다.
연정과 관련해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지만 정쟁이 난무하는 우리 정치 문화에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데는 이견이 없는 상태다.
김용철 부산대 행정학과 교수는 "일단 경쟁과 비난이 난무하는 우리 정치권에서 신선한 제안으로 판단된다"며 "정책과 의견 등의 다양성을 통해 화합의 정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남경필 캠프 윤완채 부대변인도 "연정은 남 당선인이 고심끝에 내린 결단"이라며 "이번 연정이 성공한다면 정치에 염증을 느끼는 국민들에게 소통과 화합형 정치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관계자는 "대권주자인 남경필, 원희룡 당선인이 향후 정치 행보를 생각해 '스타일 정치'를 하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며 "효과가 과연 있을 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국회 한 보좌관도 "서로 다른 정책과 의견을 가진 정당이 공동으로 국정을 운영하면 결국 정치적 분란만 가중시켜 국민들과 도민들에게 실망만 안겨줄 수 있다"며 " 이는 책임정치 구현에도 맞지 않고 표를 준 유권자에 대한 도리도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용철 교수는 "결국 연정의 성공 여부는 야당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라며 "이제 공은 야당에 넘어간 것으로 야당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연정정치란?]
연정이란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둘 이상의 세력이 협력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김대중 정부 때의 DJP연합을 연정으로 볼 수 있다. 서로 정당이 다르면서 DJ는 대통령을,JP는 국무총리를 맡았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재임중이던 지난 2005년 7월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근혜 대통령에게 '대연정'을 제의했지만 한나라당의 반대로 성사되지는 않았다.
외국에서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해 1월 척 헤이글 전 공화당 상원의원을 민주당 정권의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
독일에서도 지난해 9월 총선 때 우파 진영인 기민-기사당 연합과, 좌파 진영 사민당이 대연정을 꾸리는 등 세계 각국의 정치 현장에서는 그리 낯선 일은 아니다.
-
-
사정원 기자 jwsa@kbs.co.kr
사정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