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송전탑 농성장 강제철거
입력 2014.06.11 (12:06)
수정 2014.06.11 (13: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사왔던 경남 밀양 송전탑 공사 현장에도 농성장 철거를 위해 오늘 새벽 공권력이 투입되면서 충돌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밀양 현장의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차주하 기자, 현장 상황 어떤가요?
<리포트>
네, 오늘 오전 6시 10분부터 경남 밀양 송전탑 반대 농성장에 대한 행정대집행이 시작됐는데요.
현재까지 농성장 5곳의 움막 8개 중 세 곳, 6개가 철거됐습니다.
그 중 부북면 129번 송전탑 농성장은 수녀 20여 명이 서로 팔짱을 껴 스크럼을 짜 철거를 막았고 일부 주민은 쇠사슬로 몸을 묶는 등 행정대집행에 크게 반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70살 박 모 씨를 비롯해 주민 3명과 수녀 4명 등 7명이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또 공무집행 방해 혐의로 주민 60살 배 모 씨 등 두 명이 연행됐습니다.
경찰과 밀양시는 부북면 장동마을 입구와 129번 송전탑, 127번 송전탑 부지에 설치된 움막을 철거한 후 오후부터 나머지 2개를 철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정대집행에는 경찰 스무 개 중대 2천 명과 밀양시 공무원 200명, 한국전력 인력 250명이 투입됐습니다.
경찰과 밀양시는 송전탑 반대 주민을 한 명씩 격리시키고 LP가스통과 쇠사슬 등을 제거한 뒤 굴착기로 움막을 철거하고 있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인권지킴이 15명을 파견했고 강기정 의원 등 국회의원 66명은 폭력적인 행정대집행을 중단하고 대화를 주문했습니다.
송전탑 밀양구간은 지난해 10월 공사가 재개된 후 현재 공정률 93%로, 송전탑 5개에 대한 공사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한국전력은 전력수요상 더이상 공사를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인 반면 주민들은 초고압송전탑 공사로 건강에 위협을 받을 수 있고 농사를 짓기도 어려워질 것이라며 10년째 반대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남 밀양에서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사왔던 경남 밀양 송전탑 공사 현장에도 농성장 철거를 위해 오늘 새벽 공권력이 투입되면서 충돌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밀양 현장의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차주하 기자, 현장 상황 어떤가요?
<리포트>
네, 오늘 오전 6시 10분부터 경남 밀양 송전탑 반대 농성장에 대한 행정대집행이 시작됐는데요.
현재까지 농성장 5곳의 움막 8개 중 세 곳, 6개가 철거됐습니다.
그 중 부북면 129번 송전탑 농성장은 수녀 20여 명이 서로 팔짱을 껴 스크럼을 짜 철거를 막았고 일부 주민은 쇠사슬로 몸을 묶는 등 행정대집행에 크게 반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70살 박 모 씨를 비롯해 주민 3명과 수녀 4명 등 7명이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또 공무집행 방해 혐의로 주민 60살 배 모 씨 등 두 명이 연행됐습니다.
경찰과 밀양시는 부북면 장동마을 입구와 129번 송전탑, 127번 송전탑 부지에 설치된 움막을 철거한 후 오후부터 나머지 2개를 철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정대집행에는 경찰 스무 개 중대 2천 명과 밀양시 공무원 200명, 한국전력 인력 250명이 투입됐습니다.
경찰과 밀양시는 송전탑 반대 주민을 한 명씩 격리시키고 LP가스통과 쇠사슬 등을 제거한 뒤 굴착기로 움막을 철거하고 있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인권지킴이 15명을 파견했고 강기정 의원 등 국회의원 66명은 폭력적인 행정대집행을 중단하고 대화를 주문했습니다.
송전탑 밀양구간은 지난해 10월 공사가 재개된 후 현재 공정률 93%로, 송전탑 5개에 대한 공사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한국전력은 전력수요상 더이상 공사를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인 반면 주민들은 초고압송전탑 공사로 건강에 위협을 받을 수 있고 농사를 짓기도 어려워질 것이라며 10년째 반대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남 밀양에서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밀양 송전탑 농성장 강제철거
-
- 입력 2014-06-11 12:07:27
- 수정2014-06-11 13:02:57

<앵커 멘트>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사왔던 경남 밀양 송전탑 공사 현장에도 농성장 철거를 위해 오늘 새벽 공권력이 투입되면서 충돌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밀양 현장의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차주하 기자, 현장 상황 어떤가요?
<리포트>
네, 오늘 오전 6시 10분부터 경남 밀양 송전탑 반대 농성장에 대한 행정대집행이 시작됐는데요.
현재까지 농성장 5곳의 움막 8개 중 세 곳, 6개가 철거됐습니다.
그 중 부북면 129번 송전탑 농성장은 수녀 20여 명이 서로 팔짱을 껴 스크럼을 짜 철거를 막았고 일부 주민은 쇠사슬로 몸을 묶는 등 행정대집행에 크게 반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70살 박 모 씨를 비롯해 주민 3명과 수녀 4명 등 7명이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또 공무집행 방해 혐의로 주민 60살 배 모 씨 등 두 명이 연행됐습니다.
경찰과 밀양시는 부북면 장동마을 입구와 129번 송전탑, 127번 송전탑 부지에 설치된 움막을 철거한 후 오후부터 나머지 2개를 철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정대집행에는 경찰 스무 개 중대 2천 명과 밀양시 공무원 200명, 한국전력 인력 250명이 투입됐습니다.
경찰과 밀양시는 송전탑 반대 주민을 한 명씩 격리시키고 LP가스통과 쇠사슬 등을 제거한 뒤 굴착기로 움막을 철거하고 있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인권지킴이 15명을 파견했고 강기정 의원 등 국회의원 66명은 폭력적인 행정대집행을 중단하고 대화를 주문했습니다.
송전탑 밀양구간은 지난해 10월 공사가 재개된 후 현재 공정률 93%로, 송전탑 5개에 대한 공사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한국전력은 전력수요상 더이상 공사를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인 반면 주민들은 초고압송전탑 공사로 건강에 위협을 받을 수 있고 농사를 짓기도 어려워질 것이라며 10년째 반대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남 밀양에서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사왔던 경남 밀양 송전탑 공사 현장에도 농성장 철거를 위해 오늘 새벽 공권력이 투입되면서 충돌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밀양 현장의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차주하 기자, 현장 상황 어떤가요?
<리포트>
네, 오늘 오전 6시 10분부터 경남 밀양 송전탑 반대 농성장에 대한 행정대집행이 시작됐는데요.
현재까지 농성장 5곳의 움막 8개 중 세 곳, 6개가 철거됐습니다.
그 중 부북면 129번 송전탑 농성장은 수녀 20여 명이 서로 팔짱을 껴 스크럼을 짜 철거를 막았고 일부 주민은 쇠사슬로 몸을 묶는 등 행정대집행에 크게 반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70살 박 모 씨를 비롯해 주민 3명과 수녀 4명 등 7명이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또 공무집행 방해 혐의로 주민 60살 배 모 씨 등 두 명이 연행됐습니다.
경찰과 밀양시는 부북면 장동마을 입구와 129번 송전탑, 127번 송전탑 부지에 설치된 움막을 철거한 후 오후부터 나머지 2개를 철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정대집행에는 경찰 스무 개 중대 2천 명과 밀양시 공무원 200명, 한국전력 인력 250명이 투입됐습니다.
경찰과 밀양시는 송전탑 반대 주민을 한 명씩 격리시키고 LP가스통과 쇠사슬 등을 제거한 뒤 굴착기로 움막을 철거하고 있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인권지킴이 15명을 파견했고 강기정 의원 등 국회의원 66명은 폭력적인 행정대집행을 중단하고 대화를 주문했습니다.
송전탑 밀양구간은 지난해 10월 공사가 재개된 후 현재 공정률 93%로, 송전탑 5개에 대한 공사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한국전력은 전력수요상 더이상 공사를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인 반면 주민들은 초고압송전탑 공사로 건강에 위협을 받을 수 있고 농사를 짓기도 어려워질 것이라며 10년째 반대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남 밀양에서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
-
차주하 기자 chask@kbs.co.kr
차주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