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가격’에 교복 판매하는 협동조합 결성된다

입력 2014.06.12 (07:47) 수정 2014.06.12 (08: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 브랜드 제품과 품질은 비슷하면서도 가격이 최대 40%가량 싼 교복을 판매하는 협동조합이 전국 최초로 결성된다.

'e착한 학생복' 협동조합은 24일 서울 중랑구 W웨딩홀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e착한 학생복은 4대 교복 브랜드업체와 거래하던 대리점주 70여 명이 모여서 꾸린 협동조합이다.

본사의 부당한 횡포와 교복 가격 인하에 대한 사회적 압력에 '샌드위치' 신세가 된 대리점주들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아예 직접 교복을 생산·판매하게 된 것이다.

백창영 협동조합 이사장은 "교복 가격이 비싸다는 여론이 있어 수년 전부터 본사에 출고가를 낮춰달라고 요청했으나 오히려 출고가를 올리고 그런 요구를 한 대리점주들에게 불이익만 주더라"고 말했다.

e착한 학생복은 협동조합의 이름에 걸맞게 브랜드 업체의 교복과 품질은 비슷하면서도 가격이 최대 40%가량 저렴한 교복을 판매할 계획이다.

100% 국내산 원단을 사용하고 국내 주요 브랜드 업체의 교복을 제작했던 생산업체가 협동조합의 협력업체로 참여하기 때문에 교복 품질에 문제가 없다고 백 이사장은 설명했다.

협력업체로 참여한 공장은 학생 18만 명분의 교복을 생산할 능력을 갖췄다.

또 생산업체와 직거래를 하기에 기존 본사와 총판이 가져갔던 마진을 줄일 수 있어 가격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소비생활연구원이 교복 유통에 따른 가격을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브랜드업체가 대리점에 넘기는 출고가가 평균 15만원이라면 이중 원·부자재비와 임가공비 등 제조원가는 8만원에 불과하다.

본사와 대리점 사이에 총판이 있으면 총판이 판매수수료 명목으로 출고가의 10%가량을 챙긴다.

e착한 학생복은 이 같은 유통 마진을 줄이면 동복 기준으로 교복을 소비자에게 14만∼18만원에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브랜드교복의 전국 평균 가격은 25만원이다.

e착한 학생복은 교복 수선차량을 운영해 연 1회 이상 학교를 직접 찾아가 무상으로 수선해주는 사후관리도 제공하기로 했다.

아울러 도서벽지 위주로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는 교복을 무상으로 줄 계획이다.

백 이사장은 "교복 가격이 비싸진 것은 어른들의 삐뚤어진 욕망 때문"이라며 "협동조합이 출범하면 이 같은 유통구조가 개선되고 소비자들은 교복에 대한 스트레스를 덜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착한 가격’에 교복 판매하는 협동조합 결성된다
    • 입력 2014-06-12 07:47:06
    • 수정2014-06-12 08:24:59
    연합뉴스
기존 브랜드 제품과 품질은 비슷하면서도 가격이 최대 40%가량 싼 교복을 판매하는 협동조합이 전국 최초로 결성된다.

'e착한 학생복' 협동조합은 24일 서울 중랑구 W웨딩홀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e착한 학생복은 4대 교복 브랜드업체와 거래하던 대리점주 70여 명이 모여서 꾸린 협동조합이다.

본사의 부당한 횡포와 교복 가격 인하에 대한 사회적 압력에 '샌드위치' 신세가 된 대리점주들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아예 직접 교복을 생산·판매하게 된 것이다.

백창영 협동조합 이사장은 "교복 가격이 비싸다는 여론이 있어 수년 전부터 본사에 출고가를 낮춰달라고 요청했으나 오히려 출고가를 올리고 그런 요구를 한 대리점주들에게 불이익만 주더라"고 말했다.

e착한 학생복은 협동조합의 이름에 걸맞게 브랜드 업체의 교복과 품질은 비슷하면서도 가격이 최대 40%가량 저렴한 교복을 판매할 계획이다.

100% 국내산 원단을 사용하고 국내 주요 브랜드 업체의 교복을 제작했던 생산업체가 협동조합의 협력업체로 참여하기 때문에 교복 품질에 문제가 없다고 백 이사장은 설명했다.

협력업체로 참여한 공장은 학생 18만 명분의 교복을 생산할 능력을 갖췄다.

또 생산업체와 직거래를 하기에 기존 본사와 총판이 가져갔던 마진을 줄일 수 있어 가격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소비생활연구원이 교복 유통에 따른 가격을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브랜드업체가 대리점에 넘기는 출고가가 평균 15만원이라면 이중 원·부자재비와 임가공비 등 제조원가는 8만원에 불과하다.

본사와 대리점 사이에 총판이 있으면 총판이 판매수수료 명목으로 출고가의 10%가량을 챙긴다.

e착한 학생복은 이 같은 유통 마진을 줄이면 동복 기준으로 교복을 소비자에게 14만∼18만원에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브랜드교복의 전국 평균 가격은 25만원이다.

e착한 학생복은 교복 수선차량을 운영해 연 1회 이상 학교를 직접 찾아가 무상으로 수선해주는 사후관리도 제공하기로 했다.

아울러 도서벽지 위주로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는 교복을 무상으로 줄 계획이다.

백 이사장은 "교복 가격이 비싸진 것은 어른들의 삐뚤어진 욕망 때문"이라며 "협동조합이 출범하면 이 같은 유통구조가 개선되고 소비자들은 교복에 대한 스트레스를 덜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