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대사 초치 항의…위안부 백서로 대응
입력 2014.06.23 (23:39)
수정 2014.06.24 (00: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일본 정부의 고노 담화 훼손 시도에 정부가 오늘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공식 항의했습니다.
정부는 또 위안부 백서 발간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본의 고노 담화 검증 결과 발표 사흘 만에 정부가 벳쇼 주한 일본 대사를 불러 공식 항의했습니다.
<인터뷰> 조태용(외교부 1차관) : "아베 정부가 고노 담화를 흠집내려하면 할수록 오히려 아베 정부의 신뢰성과 국제적 평판만 상처입게 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알아야 할 것입니다."
특히, 일본이 양국 정부의 협의 내용을 자의적으로 편집해 담화에 흠집을 내려 한 점을 조목조목 지적했습니다.
1993년 고노 담화 발표 전, 일본 측이 먼저 초안을 전달하고 우리의 의견을 요청하고도 이를 정부간 조율로 왜곡한 점, 피해자 증언에 기초해 담화를 내겠다는 당시 일본 측 말과 달리, 증언 청취를 성의 차원의 요식행위처럼 기술한 점 등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고노 담화를 정치적 타협물로 변질시켜 위안부 강제 동원을 부정하려는 저의가 드러났다는 겁니다.
정부는 아울러 위안부 문제 백서를 발간하고, 중국 측과 위안부 자료를 공동 연구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일본의 홍보전에 맞서 국제 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적극 제기하는 등 다각적인 압박에 들어갈 방침입니다.
이달 중 3차 회의를 열 예정이던 한일 정부간의 위안부 문제 국장급 협의는 당분간 연기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일본 정부의 고노 담화 훼손 시도에 정부가 오늘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공식 항의했습니다.
정부는 또 위안부 백서 발간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본의 고노 담화 검증 결과 발표 사흘 만에 정부가 벳쇼 주한 일본 대사를 불러 공식 항의했습니다.
<인터뷰> 조태용(외교부 1차관) : "아베 정부가 고노 담화를 흠집내려하면 할수록 오히려 아베 정부의 신뢰성과 국제적 평판만 상처입게 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알아야 할 것입니다."
특히, 일본이 양국 정부의 협의 내용을 자의적으로 편집해 담화에 흠집을 내려 한 점을 조목조목 지적했습니다.
1993년 고노 담화 발표 전, 일본 측이 먼저 초안을 전달하고 우리의 의견을 요청하고도 이를 정부간 조율로 왜곡한 점, 피해자 증언에 기초해 담화를 내겠다는 당시 일본 측 말과 달리, 증언 청취를 성의 차원의 요식행위처럼 기술한 점 등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고노 담화를 정치적 타협물로 변질시켜 위안부 강제 동원을 부정하려는 저의가 드러났다는 겁니다.
정부는 아울러 위안부 문제 백서를 발간하고, 중국 측과 위안부 자료를 공동 연구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일본의 홍보전에 맞서 국제 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적극 제기하는 등 다각적인 압박에 들어갈 방침입니다.
이달 중 3차 회의를 열 예정이던 한일 정부간의 위안부 문제 국장급 협의는 당분간 연기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 대사 초치 항의…위안부 백서로 대응
-
- 입력 2014-06-23 23:40:43
- 수정2014-06-24 00:32:43

<앵커 멘트>
일본 정부의 고노 담화 훼손 시도에 정부가 오늘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공식 항의했습니다.
정부는 또 위안부 백서 발간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본의 고노 담화 검증 결과 발표 사흘 만에 정부가 벳쇼 주한 일본 대사를 불러 공식 항의했습니다.
<인터뷰> 조태용(외교부 1차관) : "아베 정부가 고노 담화를 흠집내려하면 할수록 오히려 아베 정부의 신뢰성과 국제적 평판만 상처입게 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알아야 할 것입니다."
특히, 일본이 양국 정부의 협의 내용을 자의적으로 편집해 담화에 흠집을 내려 한 점을 조목조목 지적했습니다.
1993년 고노 담화 발표 전, 일본 측이 먼저 초안을 전달하고 우리의 의견을 요청하고도 이를 정부간 조율로 왜곡한 점, 피해자 증언에 기초해 담화를 내겠다는 당시 일본 측 말과 달리, 증언 청취를 성의 차원의 요식행위처럼 기술한 점 등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고노 담화를 정치적 타협물로 변질시켜 위안부 강제 동원을 부정하려는 저의가 드러났다는 겁니다.
정부는 아울러 위안부 문제 백서를 발간하고, 중국 측과 위안부 자료를 공동 연구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일본의 홍보전에 맞서 국제 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적극 제기하는 등 다각적인 압박에 들어갈 방침입니다.
이달 중 3차 회의를 열 예정이던 한일 정부간의 위안부 문제 국장급 협의는 당분간 연기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일본 정부의 고노 담화 훼손 시도에 정부가 오늘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공식 항의했습니다.
정부는 또 위안부 백서 발간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본의 고노 담화 검증 결과 발표 사흘 만에 정부가 벳쇼 주한 일본 대사를 불러 공식 항의했습니다.
<인터뷰> 조태용(외교부 1차관) : "아베 정부가 고노 담화를 흠집내려하면 할수록 오히려 아베 정부의 신뢰성과 국제적 평판만 상처입게 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알아야 할 것입니다."
특히, 일본이 양국 정부의 협의 내용을 자의적으로 편집해 담화에 흠집을 내려 한 점을 조목조목 지적했습니다.
1993년 고노 담화 발표 전, 일본 측이 먼저 초안을 전달하고 우리의 의견을 요청하고도 이를 정부간 조율로 왜곡한 점, 피해자 증언에 기초해 담화를 내겠다는 당시 일본 측 말과 달리, 증언 청취를 성의 차원의 요식행위처럼 기술한 점 등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고노 담화를 정치적 타협물로 변질시켜 위안부 강제 동원을 부정하려는 저의가 드러났다는 겁니다.
정부는 아울러 위안부 문제 백서를 발간하고, 중국 측과 위안부 자료를 공동 연구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일본의 홍보전에 맞서 국제 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적극 제기하는 등 다각적인 압박에 들어갈 방침입니다.
이달 중 3차 회의를 열 예정이던 한일 정부간의 위안부 문제 국장급 협의는 당분간 연기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
이정민 기자 mani@kbs.co.kr
이정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