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로만 투여할 수 있는 당뇨병 치료용 인슐린을 먹는 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일본 고베(神戶)학원대학 연구팀이 개발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24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덴마크 제약회사 노보노디스크와 협력, `세포막투과성펩타이드'(CPP)로 불리는 특수 단백질과 인슐린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위를 통과해 장에서 인슐린이 흡수되도록 했다.
CPP가 소장 점막과 접촉하면 점막 세포에 달라붙게 되며, 이때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인슐린이 CPP의 작용으로 점막 내부로 흡수돼 혈관 안으로 들어가 혈당치를 떨어뜨린다.
쥐에 인슐린과 CPP를 혼합해 먹인 결과 혈당치가 떨어졌다.
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간염 등의 치료에 쓰이는 인터페론 베타 등 주사를 사용해야 하는 바이오 약품에도 적용된다.
연구팀은 2년 내에 임상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덴마크 제약회사 노보노디스크와 협력, `세포막투과성펩타이드'(CPP)로 불리는 특수 단백질과 인슐린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위를 통과해 장에서 인슐린이 흡수되도록 했다.
CPP가 소장 점막과 접촉하면 점막 세포에 달라붙게 되며, 이때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인슐린이 CPP의 작용으로 점막 내부로 흡수돼 혈관 안으로 들어가 혈당치를 떨어뜨린다.
쥐에 인슐린과 CPP를 혼합해 먹인 결과 혈당치가 떨어졌다.
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간염 등의 치료에 쓰이는 인터페론 베타 등 주사를 사용해야 하는 바이오 약품에도 적용된다.
연구팀은 2년 내에 임상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 연구팀, 당뇨병 치료용 ‘먹는 인슐린 약’ 기술 개발
-
- 입력 2014-06-24 13:30:27
주사로만 투여할 수 있는 당뇨병 치료용 인슐린을 먹는 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일본 고베(神戶)학원대학 연구팀이 개발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24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덴마크 제약회사 노보노디스크와 협력, `세포막투과성펩타이드'(CPP)로 불리는 특수 단백질과 인슐린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위를 통과해 장에서 인슐린이 흡수되도록 했다.
CPP가 소장 점막과 접촉하면 점막 세포에 달라붙게 되며, 이때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인슐린이 CPP의 작용으로 점막 내부로 흡수돼 혈관 안으로 들어가 혈당치를 떨어뜨린다.
쥐에 인슐린과 CPP를 혼합해 먹인 결과 혈당치가 떨어졌다.
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간염 등의 치료에 쓰이는 인터페론 베타 등 주사를 사용해야 하는 바이오 약품에도 적용된다.
연구팀은 2년 내에 임상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