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같은 훈련…사후약방문 안 되려면

입력 2014.06.24 (23:42) 수정 2014.06.25 (00: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 전남 장흥에서 제주로 향하는 대형 여객선에서 안전사고 훈련이 진행됐습니다.

이런 실전 훈련들이 진작 이뤄졌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양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 시작 한 시간 반 만에 90도 이상 기울어 버린 세월호.

<녹취> 세월호 선내 방송 : "현재 위치에서 절대 이동하지 마세요. 움직이지 마세요."

이 같은 선내 방송만 믿은 3백여 명은 차가운 바닷속으로 가라앉았습니다.

전남 장흥에서 제주로 향하는 대형 여객선, 화물칸에 불이 나자 곧바로 선내 방송이 나옵니다.

<녹취> "현재 본선 화물실에 화재가 발생하여..."

선장의 지시를 받은 일등 항해사 등이 재빨리 현장에 투입돼 화재를 진압합니다.

그 사이 학생 등 탑승객들은 승무원의 도움을 받아 차례차례 구명조끼를 입습니다.

발로 차도 배에서 떨어지지 않았던 세월호 구명정과 달리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당기자 구명정도 잘 펼쳐집니다.

승객들이 신호탄으로 구조를 요청하자 해경 경비정이 다가와 승객들을 구조합니다.

여객선 화재를 가정한 이번 훈련에는 초등학생과 교사 등 3백여 명이 참여해 초동 대처 능력을 키웠습니다.

<인터뷰> 김승진 (훈련 참가 초등학생) : "실제로 체험해 보니까, 제가 알고 있던 것과는 많이 다른것 같고요. 다른 배에서 화재가 나도 당황하지 않고 잘 대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세월호 참사 이후 처음으로 바다에서 진행된 대형 여객선에 대한 안전사고 훈련,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훈련을 정례화하는 방안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실전같은 훈련…사후약방문 안 되려면
    • 입력 2014-06-24 23:43:19
    • 수정2014-06-25 00:51:03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오늘 전남 장흥에서 제주로 향하는 대형 여객선에서 안전사고 훈련이 진행됐습니다.

이런 실전 훈련들이 진작 이뤄졌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양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 시작 한 시간 반 만에 90도 이상 기울어 버린 세월호.

<녹취> 세월호 선내 방송 : "현재 위치에서 절대 이동하지 마세요. 움직이지 마세요."

이 같은 선내 방송만 믿은 3백여 명은 차가운 바닷속으로 가라앉았습니다.

전남 장흥에서 제주로 향하는 대형 여객선, 화물칸에 불이 나자 곧바로 선내 방송이 나옵니다.

<녹취> "현재 본선 화물실에 화재가 발생하여..."

선장의 지시를 받은 일등 항해사 등이 재빨리 현장에 투입돼 화재를 진압합니다.

그 사이 학생 등 탑승객들은 승무원의 도움을 받아 차례차례 구명조끼를 입습니다.

발로 차도 배에서 떨어지지 않았던 세월호 구명정과 달리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당기자 구명정도 잘 펼쳐집니다.

승객들이 신호탄으로 구조를 요청하자 해경 경비정이 다가와 승객들을 구조합니다.

여객선 화재를 가정한 이번 훈련에는 초등학생과 교사 등 3백여 명이 참여해 초동 대처 능력을 키웠습니다.

<인터뷰> 김승진 (훈련 참가 초등학생) : "실제로 체험해 보니까, 제가 알고 있던 것과는 많이 다른것 같고요. 다른 배에서 화재가 나도 당황하지 않고 잘 대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세월호 참사 이후 처음으로 바다에서 진행된 대형 여객선에 대한 안전사고 훈련,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훈련을 정례화하는 방안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