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일본 양해 얻어야 주일미군 출동 가능”
입력 2014.07.16 (07:17)
수정 2014.07.16 (18: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집단 자위권 행사를 본격화하고 있는 일본 아베 총리가 주일미군 운용에 대한 견해를 내놨습니다.
한반도 유사 상황이 일어나도 일본의 양해가 없으면 주일미군 투입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보도에 박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제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한 아베 총리는 한반도 유사시 주일미군 출동에 대한 질의를 받았습니다.
이 자리에서 아베 총리는 주일미군 기지에서 미국 해병대가 한반도로 출동하려면 일본 정부의 양해를 먼저 얻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주일미군 소속 미 해병대 출동이 미·일 간 사전 협의대상이기 때문에, 일본이 양해하지 않을 경우 미군이 한국을 구하기 위해 달려갈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그동안 한반도 유사시 주일미군은 자동으로 개입하거나 후방지원을 맡는 것으로 인식돼 왔기 때문에 아베 총리의 이 발언은 논란이 예상됩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의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는 내용의 미·일 방위협력지침 개정작업도 본격화됐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미·일 두 나라 정부 관계자들이 어제 도쿄 방위성 청사에서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일 방위협력지침은 일본이 다른 나라의 공격을 받거나 한반도 유사사태가 일어났을 때 미군과 자위대의 역할 분담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문서입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집단 자위권 행사를 본격화하고 있는 일본 아베 총리가 주일미군 운용에 대한 견해를 내놨습니다.
한반도 유사 상황이 일어나도 일본의 양해가 없으면 주일미군 투입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보도에 박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제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한 아베 총리는 한반도 유사시 주일미군 출동에 대한 질의를 받았습니다.
이 자리에서 아베 총리는 주일미군 기지에서 미국 해병대가 한반도로 출동하려면 일본 정부의 양해를 먼저 얻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주일미군 소속 미 해병대 출동이 미·일 간 사전 협의대상이기 때문에, 일본이 양해하지 않을 경우 미군이 한국을 구하기 위해 달려갈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그동안 한반도 유사시 주일미군은 자동으로 개입하거나 후방지원을 맡는 것으로 인식돼 왔기 때문에 아베 총리의 이 발언은 논란이 예상됩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의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는 내용의 미·일 방위협력지침 개정작업도 본격화됐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미·일 두 나라 정부 관계자들이 어제 도쿄 방위성 청사에서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일 방위협력지침은 일본이 다른 나라의 공격을 받거나 한반도 유사사태가 일어났을 때 미군과 자위대의 역할 분담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문서입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베 “일본 양해 얻어야 주일미군 출동 가능”
-
- 입력 2014-07-16 07:19:27
- 수정2014-07-16 18:21:02
<앵커 멘트>
집단 자위권 행사를 본격화하고 있는 일본 아베 총리가 주일미군 운용에 대한 견해를 내놨습니다.
한반도 유사 상황이 일어나도 일본의 양해가 없으면 주일미군 투입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보도에 박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제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한 아베 총리는 한반도 유사시 주일미군 출동에 대한 질의를 받았습니다.
이 자리에서 아베 총리는 주일미군 기지에서 미국 해병대가 한반도로 출동하려면 일본 정부의 양해를 먼저 얻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주일미군 소속 미 해병대 출동이 미·일 간 사전 협의대상이기 때문에, 일본이 양해하지 않을 경우 미군이 한국을 구하기 위해 달려갈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그동안 한반도 유사시 주일미군은 자동으로 개입하거나 후방지원을 맡는 것으로 인식돼 왔기 때문에 아베 총리의 이 발언은 논란이 예상됩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의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는 내용의 미·일 방위협력지침 개정작업도 본격화됐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미·일 두 나라 정부 관계자들이 어제 도쿄 방위성 청사에서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일 방위협력지침은 일본이 다른 나라의 공격을 받거나 한반도 유사사태가 일어났을 때 미군과 자위대의 역할 분담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문서입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집단 자위권 행사를 본격화하고 있는 일본 아베 총리가 주일미군 운용에 대한 견해를 내놨습니다.
한반도 유사 상황이 일어나도 일본의 양해가 없으면 주일미군 투입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보도에 박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제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한 아베 총리는 한반도 유사시 주일미군 출동에 대한 질의를 받았습니다.
이 자리에서 아베 총리는 주일미군 기지에서 미국 해병대가 한반도로 출동하려면 일본 정부의 양해를 먼저 얻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주일미군 소속 미 해병대 출동이 미·일 간 사전 협의대상이기 때문에, 일본이 양해하지 않을 경우 미군이 한국을 구하기 위해 달려갈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그동안 한반도 유사시 주일미군은 자동으로 개입하거나 후방지원을 맡는 것으로 인식돼 왔기 때문에 아베 총리의 이 발언은 논란이 예상됩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의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는 내용의 미·일 방위협력지침 개정작업도 본격화됐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미·일 두 나라 정부 관계자들이 어제 도쿄 방위성 청사에서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일 방위협력지침은 일본이 다른 나라의 공격을 받거나 한반도 유사사태가 일어났을 때 미군과 자위대의 역할 분담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문서입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
박진영 기자 parkjy@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일본 ‘집단 자위권’ 행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