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꺼짐’ 현상 세계 곳곳서 잇따라…공포 확산
입력 2014.07.21 (12:30)
수정 2014.07.21 (13: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갑자기 땅이 내려앉는 현상, 이른바 '싱크 홀'이 낯설지 않은데요.
도로나 주택을 한순간에 집어삼키는 이 땅 꺼짐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잇따라, 공포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김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집 한 쪽이 완전히 무너져 내렸습니다.
수영장은 땅 밑으로 꺼졌고 살림살이는 구덩이 속으로 빨려들어갔습니다.
<인터뷰> 아이비(피해자) : "문 두드리는 소리 같은게 나서 부모님께 알렸는데 방 한곳 전체가 구덩이에 빠졌더라고요"
러시아에서는 지름 90여 미터의 세계 최대 '싱크홀'이 발견됐습니다.
깊이를 가늠할 수 없어 과학자들이 긴급 조사에 나섰습니다.
이같은 '땅꺼짐 현상'이 지구촌 곳곳에서 이어져 두려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심에서는 작은 규모라도 큰 인명피해가 날 수 있습니다.
급기야 미 우주항공국은 레이더와 위성을 활용한 위험 지역 예측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마노 초프라(센트럴플로리다대학 공학 교수) : "어떤 지역에서 물 수위가 급격히 줄면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는 뜻이고 '싱크홀'일 수 있는 겁니다"
그러나 도로와 건물로 뒤덮인 도시에서는 예측도,대비도 힘든 상황, 땅꺼짐 현상을 무분별한 개발에 대한 '지구의 경고장'이라 부르는 이윱니다.
<인터뷰> 돈 반 뉘엔하이스(휴스턴대학 지질학 교수) : "지하수를 파고 산업용, 가정용, 기업용으로 물을 사용하면서 취약 지역이 만들어집니다"
세계 각국은 땅꺼짐 위험 지역 분포도를 만들고 지반 강화를 위한 연구 예산을 늘리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영입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갑자기 땅이 내려앉는 현상, 이른바 '싱크 홀'이 낯설지 않은데요.
도로나 주택을 한순간에 집어삼키는 이 땅 꺼짐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잇따라, 공포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김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집 한 쪽이 완전히 무너져 내렸습니다.
수영장은 땅 밑으로 꺼졌고 살림살이는 구덩이 속으로 빨려들어갔습니다.
<인터뷰> 아이비(피해자) : "문 두드리는 소리 같은게 나서 부모님께 알렸는데 방 한곳 전체가 구덩이에 빠졌더라고요"
러시아에서는 지름 90여 미터의 세계 최대 '싱크홀'이 발견됐습니다.
깊이를 가늠할 수 없어 과학자들이 긴급 조사에 나섰습니다.
이같은 '땅꺼짐 현상'이 지구촌 곳곳에서 이어져 두려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심에서는 작은 규모라도 큰 인명피해가 날 수 있습니다.
급기야 미 우주항공국은 레이더와 위성을 활용한 위험 지역 예측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마노 초프라(센트럴플로리다대학 공학 교수) : "어떤 지역에서 물 수위가 급격히 줄면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는 뜻이고 '싱크홀'일 수 있는 겁니다"
그러나 도로와 건물로 뒤덮인 도시에서는 예측도,대비도 힘든 상황, 땅꺼짐 현상을 무분별한 개발에 대한 '지구의 경고장'이라 부르는 이윱니다.
<인터뷰> 돈 반 뉘엔하이스(휴스턴대학 지질학 교수) : "지하수를 파고 산업용, 가정용, 기업용으로 물을 사용하면서 취약 지역이 만들어집니다"
세계 각국은 땅꺼짐 위험 지역 분포도를 만들고 지반 강화를 위한 연구 예산을 늘리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땅 꺼짐’ 현상 세계 곳곳서 잇따라…공포 확산
-
- 입력 2014-07-21 12:31:24
- 수정2014-07-21 13:00:56
<앵커 멘트>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갑자기 땅이 내려앉는 현상, 이른바 '싱크 홀'이 낯설지 않은데요.
도로나 주택을 한순간에 집어삼키는 이 땅 꺼짐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잇따라, 공포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김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집 한 쪽이 완전히 무너져 내렸습니다.
수영장은 땅 밑으로 꺼졌고 살림살이는 구덩이 속으로 빨려들어갔습니다.
<인터뷰> 아이비(피해자) : "문 두드리는 소리 같은게 나서 부모님께 알렸는데 방 한곳 전체가 구덩이에 빠졌더라고요"
러시아에서는 지름 90여 미터의 세계 최대 '싱크홀'이 발견됐습니다.
깊이를 가늠할 수 없어 과학자들이 긴급 조사에 나섰습니다.
이같은 '땅꺼짐 현상'이 지구촌 곳곳에서 이어져 두려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심에서는 작은 규모라도 큰 인명피해가 날 수 있습니다.
급기야 미 우주항공국은 레이더와 위성을 활용한 위험 지역 예측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마노 초프라(센트럴플로리다대학 공학 교수) : "어떤 지역에서 물 수위가 급격히 줄면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는 뜻이고 '싱크홀'일 수 있는 겁니다"
그러나 도로와 건물로 뒤덮인 도시에서는 예측도,대비도 힘든 상황, 땅꺼짐 현상을 무분별한 개발에 대한 '지구의 경고장'이라 부르는 이윱니다.
<인터뷰> 돈 반 뉘엔하이스(휴스턴대학 지질학 교수) : "지하수를 파고 산업용, 가정용, 기업용으로 물을 사용하면서 취약 지역이 만들어집니다"
세계 각국은 땅꺼짐 위험 지역 분포도를 만들고 지반 강화를 위한 연구 예산을 늘리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영입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갑자기 땅이 내려앉는 현상, 이른바 '싱크 홀'이 낯설지 않은데요.
도로나 주택을 한순간에 집어삼키는 이 땅 꺼짐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잇따라, 공포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김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집 한 쪽이 완전히 무너져 내렸습니다.
수영장은 땅 밑으로 꺼졌고 살림살이는 구덩이 속으로 빨려들어갔습니다.
<인터뷰> 아이비(피해자) : "문 두드리는 소리 같은게 나서 부모님께 알렸는데 방 한곳 전체가 구덩이에 빠졌더라고요"
러시아에서는 지름 90여 미터의 세계 최대 '싱크홀'이 발견됐습니다.
깊이를 가늠할 수 없어 과학자들이 긴급 조사에 나섰습니다.
이같은 '땅꺼짐 현상'이 지구촌 곳곳에서 이어져 두려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심에서는 작은 규모라도 큰 인명피해가 날 수 있습니다.
급기야 미 우주항공국은 레이더와 위성을 활용한 위험 지역 예측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마노 초프라(센트럴플로리다대학 공학 교수) : "어떤 지역에서 물 수위가 급격히 줄면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는 뜻이고 '싱크홀'일 수 있는 겁니다"
그러나 도로와 건물로 뒤덮인 도시에서는 예측도,대비도 힘든 상황, 땅꺼짐 현상을 무분별한 개발에 대한 '지구의 경고장'이라 부르는 이윱니다.
<인터뷰> 돈 반 뉘엔하이스(휴스턴대학 지질학 교수) : "지하수를 파고 산업용, 가정용, 기업용으로 물을 사용하면서 취약 지역이 만들어집니다"
세계 각국은 땅꺼짐 위험 지역 분포도를 만들고 지반 강화를 위한 연구 예산을 늘리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영입니다.
-
-
김도영 기자 peace1000@kbs.co.kr
김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