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에볼라’ 감염 환자 송환 논란…공포 확산
입력 2014.08.03 (07:11)
수정 2014.08.11 (1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되자 서아프리카 3개 나라가 진원지를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자국민 환자 2명을 국내 송환,치료하는 문제를 놓고 감염 확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
워싱턴 김성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인 환자 2명은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 환자를 돌보다 감염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송환 치료하기로 하고 첨단 장비를 갖춘 호송기를 현지로 보냈습니다.
<녹취> 톰 프리든(CDC 국장)
환자들은 전문 시설이 갖춰진 조지아주 에모리대 병원으로 옮겨집니다.
<녹취> 브루스 리브너(에모리대 병원)
하지만 바이러스가 미국에 확산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SNS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습니다.억만장자 도널드 트럼프는 환자 이송에 반대하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에모리대 병원이 있는 애틀랜타에서는 일부 주민들이 식료품 사재기에 나섰습니다.
기니와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 세 나라는 에볼라 진원지로 지목되는 국경 지역을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마거릿 찬(WHO 사무총장)
환자 귀국을 놓고 음모론까지 확산되는 등 아프리카발 에볼라 바이러스가 미국 민심마저 흔들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되자 서아프리카 3개 나라가 진원지를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자국민 환자 2명을 국내 송환,치료하는 문제를 놓고 감염 확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
워싱턴 김성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인 환자 2명은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 환자를 돌보다 감염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송환 치료하기로 하고 첨단 장비를 갖춘 호송기를 현지로 보냈습니다.
<녹취> 톰 프리든(CDC 국장)
환자들은 전문 시설이 갖춰진 조지아주 에모리대 병원으로 옮겨집니다.
<녹취> 브루스 리브너(에모리대 병원)
하지만 바이러스가 미국에 확산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SNS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습니다.
에모리대 병원이 있는 애틀랜타에서는 일부 주민들이 식료품 사재기에 나섰습니다.
기니와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 세 나라는 에볼라 진원지로 지목되는 국경 지역을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마거릿 찬(WHO 사무총장)
환자 귀국을 놓고 음모론까지 확산되는 등 아프리카발 에볼라 바이러스가 미국 민심마저 흔들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에볼라’ 감염 환자 송환 논란…공포 확산
-
- 입력 2014-08-03 07:21:36
- 수정2014-08-11 11:51:42

<앵커 멘트>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되자 서아프리카 3개 나라가 진원지를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자국민 환자 2명을 국내 송환,치료하는 문제를 놓고 감염 확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
워싱턴 김성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인 환자 2명은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 환자를 돌보다 감염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송환 치료하기로 하고 첨단 장비를 갖춘 호송기를 현지로 보냈습니다.
<녹취> 톰 프리든(CDC 국장)
환자들은 전문 시설이 갖춰진 조지아주 에모리대 병원으로 옮겨집니다.
<녹취> 브루스 리브너(에모리대 병원)
하지만 바이러스가 미국에 확산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SNS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습니다.억만장자 도널드 트럼프는 환자 이송에 반대하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에모리대 병원이 있는 애틀랜타에서는 일부 주민들이 식료품 사재기에 나섰습니다.
기니와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 세 나라는 에볼라 진원지로 지목되는 국경 지역을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마거릿 찬(WHO 사무총장)
환자 귀국을 놓고 음모론까지 확산되는 등 아프리카발 에볼라 바이러스가 미국 민심마저 흔들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되자 서아프리카 3개 나라가 진원지를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자국민 환자 2명을 국내 송환,치료하는 문제를 놓고 감염 확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
워싱턴 김성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인 환자 2명은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 환자를 돌보다 감염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송환 치료하기로 하고 첨단 장비를 갖춘 호송기를 현지로 보냈습니다.
<녹취> 톰 프리든(CDC 국장)
환자들은 전문 시설이 갖춰진 조지아주 에모리대 병원으로 옮겨집니다.
<녹취> 브루스 리브너(에모리대 병원)
하지만 바이러스가 미국에 확산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SNS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습니다.
에모리대 병원이 있는 애틀랜타에서는 일부 주민들이 식료품 사재기에 나섰습니다.
기니와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 세 나라는 에볼라 진원지로 지목되는 국경 지역을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마거릿 찬(WHO 사무총장)
환자 귀국을 놓고 음모론까지 확산되는 등 아프리카발 에볼라 바이러스가 미국 민심마저 흔들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
-
김성진 기자 sjkim9kbs@gmail.com
김성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 비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