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한인 젊은이들 절반가량이 매주 한 차례 이상 인터넷에서 한인들에 대한 차별적인 표현(헤이트스피치)을 접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다고 도쿄신문이 19일 보도했다.
재일코리안청년연합(KEY)이 작년 6월부터 지난 3월까지 도쿄, 오사카(大阪), 효고(兵庫)현 등지에 거주하는 10∼30대 연령의 재일코리안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홈페이지에 게재한 자료에 따르면 85.7%인 174명이 인터넷에서 차별적인 내용의 댓글을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차별적인 댓글을 접한 빈도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48.8%가 주당 한차례 이상 봤다고 답한 가운데, 매일 봤다는 사람도 15.8%에 달했다.
또 인터넷에서 헤이트스피치를 봤을 때 분노와 공포를 느꼈다고 답한 사람이 약 80%로 집계됐지만 응답자의 70%는 헤이트스피치를 접하고도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아울러 헤이트스피치를 보며 '재일한인들에게도 문제가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는 자기부정적인 답을 한 응답자(4%)도 있었다.
KEY의 도쿄지역 대표인 량영성씨는 도쿄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재일한인 청년들에게 차별은 일상적이지만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는 것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KEY는 한국, 북한, 일본 등의 국적을 초월하는 재일한인 NGO(비정부기구)로, 다민족·다문화가 공생하는 사회 실현, 역사수정주의에 대한 대항 등을 표방한다.
재일코리안청년연합(KEY)이 작년 6월부터 지난 3월까지 도쿄, 오사카(大阪), 효고(兵庫)현 등지에 거주하는 10∼30대 연령의 재일코리안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홈페이지에 게재한 자료에 따르면 85.7%인 174명이 인터넷에서 차별적인 내용의 댓글을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차별적인 댓글을 접한 빈도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48.8%가 주당 한차례 이상 봤다고 답한 가운데, 매일 봤다는 사람도 15.8%에 달했다.
또 인터넷에서 헤이트스피치를 봤을 때 분노와 공포를 느꼈다고 답한 사람이 약 80%로 집계됐지만 응답자의 70%는 헤이트스피치를 접하고도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아울러 헤이트스피치를 보며 '재일한인들에게도 문제가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는 자기부정적인 답을 한 응답자(4%)도 있었다.
KEY의 도쿄지역 대표인 량영성씨는 도쿄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재일한인 청년들에게 차별은 일상적이지만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는 것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KEY는 한국, 북한, 일본 등의 국적을 초월하는 재일한인 NGO(비정부기구)로, 다민족·다문화가 공생하는 사회 실현, 역사수정주의에 대한 대항 등을 표방한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일한인청년 49%, 주 1회 이상 인터넷서 차별 표현 접해”
-
- 입력 2014-08-19 17:20:55
재일한인 젊은이들 절반가량이 매주 한 차례 이상 인터넷에서 한인들에 대한 차별적인 표현(헤이트스피치)을 접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다고 도쿄신문이 19일 보도했다.
재일코리안청년연합(KEY)이 작년 6월부터 지난 3월까지 도쿄, 오사카(大阪), 효고(兵庫)현 등지에 거주하는 10∼30대 연령의 재일코리안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홈페이지에 게재한 자료에 따르면 85.7%인 174명이 인터넷에서 차별적인 내용의 댓글을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차별적인 댓글을 접한 빈도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48.8%가 주당 한차례 이상 봤다고 답한 가운데, 매일 봤다는 사람도 15.8%에 달했다.
또 인터넷에서 헤이트스피치를 봤을 때 분노와 공포를 느꼈다고 답한 사람이 약 80%로 집계됐지만 응답자의 70%는 헤이트스피치를 접하고도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아울러 헤이트스피치를 보며 '재일한인들에게도 문제가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는 자기부정적인 답을 한 응답자(4%)도 있었다.
KEY의 도쿄지역 대표인 량영성씨는 도쿄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재일한인 청년들에게 차별은 일상적이지만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는 것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KEY는 한국, 북한, 일본 등의 국적을 초월하는 재일한인 NGO(비정부기구)로, 다민족·다문화가 공생하는 사회 실현, 역사수정주의에 대한 대항 등을 표방한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