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 ‘성묘 영상’ 입수…큰절 세번하는 이유는?
입력 2014.09.01 (07:13)
수정 2014.09.01 (07: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일반 주민들이 추석날 성묘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KBS가 단독 입수했습니다.
차례상을 차려 술을 올리고, 큰절을 하는 등 우리의 전통 풍습이 대부분 살아있었는데요.
절하는 횟수가 세 번으로 바뀌는 등 달라진 풍습도 있습니다.
박진희 북한 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위패가 놓인 조상의 무덤 앞에 풍성한 차례상이 차려졌습니다.
햇과일과 생선, 나물에 송편도 올라 있습니다.
술을 올리고 절을 하는 의례가 끝나자, 아버지로 보이는 남성이 무덤 한쪽에 구멍을 팝니다.
<녹취> "(여기 누구 있니?) 할머니. 할머니 있나."
조금씩 덜어낸 음식을 구멍에 넣고 여러 번 다진 뒤 술을 붓습니다.
<녹취> "꽁꽁 안하면 까마귀 밥이 된다 말이지."
성묘가 끝난 뒤 온 가족이 무덤 곁에서 식사를 합니다.
추석날 아침 집에서 별도의 차례를 지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절을 두 번이나 네 번이 아닌, 세 번 하는 것도 달라진 모습입니다.
<인터뷰> 김석향(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북한에서)사회주의 제사문화를 지내라고 하면서 간소화했어요. 그러다가 다시 조상을 잘 모셔야 복을 받는다며 절을 하다가 두번은 약소한 거 같고 세번까지 하게 된 것 같습니다."
북한 일반주민들의 성묘 풍습을 생생히 담은 이 동영상은 2년 전 촬영돼 탈북자의 손을 거쳐 넘어왔습니다.
한동안 봉건 잔재로 간주돼 폐지됐던 북한의 추석 명절은 1988년 다시 부활했지만, 휴일은 하루에 불과합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북한의 일반 주민들이 추석날 성묘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KBS가 단독 입수했습니다.
차례상을 차려 술을 올리고, 큰절을 하는 등 우리의 전통 풍습이 대부분 살아있었는데요.
절하는 횟수가 세 번으로 바뀌는 등 달라진 풍습도 있습니다.
박진희 북한 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위패가 놓인 조상의 무덤 앞에 풍성한 차례상이 차려졌습니다.
햇과일과 생선, 나물에 송편도 올라 있습니다.
술을 올리고 절을 하는 의례가 끝나자, 아버지로 보이는 남성이 무덤 한쪽에 구멍을 팝니다.
<녹취> "(여기 누구 있니?) 할머니. 할머니 있나."
조금씩 덜어낸 음식을 구멍에 넣고 여러 번 다진 뒤 술을 붓습니다.
<녹취> "꽁꽁 안하면 까마귀 밥이 된다 말이지."
성묘가 끝난 뒤 온 가족이 무덤 곁에서 식사를 합니다.
추석날 아침 집에서 별도의 차례를 지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절을 두 번이나 네 번이 아닌, 세 번 하는 것도 달라진 모습입니다.
<인터뷰> 김석향(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북한에서)사회주의 제사문화를 지내라고 하면서 간소화했어요. 그러다가 다시 조상을 잘 모셔야 복을 받는다며 절을 하다가 두번은 약소한 거 같고 세번까지 하게 된 것 같습니다."
북한 일반주민들의 성묘 풍습을 생생히 담은 이 동영상은 2년 전 촬영돼 탈북자의 손을 거쳐 넘어왔습니다.
한동안 봉건 잔재로 간주돼 폐지됐던 북한의 추석 명절은 1988년 다시 부활했지만, 휴일은 하루에 불과합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주민 ‘성묘 영상’ 입수…큰절 세번하는 이유는?
-
- 입력 2014-09-01 07:15:24
- 수정2014-09-01 07:58:00

<앵커 멘트>
북한의 일반 주민들이 추석날 성묘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KBS가 단독 입수했습니다.
차례상을 차려 술을 올리고, 큰절을 하는 등 우리의 전통 풍습이 대부분 살아있었는데요.
절하는 횟수가 세 번으로 바뀌는 등 달라진 풍습도 있습니다.
박진희 북한 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위패가 놓인 조상의 무덤 앞에 풍성한 차례상이 차려졌습니다.
햇과일과 생선, 나물에 송편도 올라 있습니다.
술을 올리고 절을 하는 의례가 끝나자, 아버지로 보이는 남성이 무덤 한쪽에 구멍을 팝니다.
<녹취> "(여기 누구 있니?) 할머니. 할머니 있나."
조금씩 덜어낸 음식을 구멍에 넣고 여러 번 다진 뒤 술을 붓습니다.
<녹취> "꽁꽁 안하면 까마귀 밥이 된다 말이지."
성묘가 끝난 뒤 온 가족이 무덤 곁에서 식사를 합니다.
추석날 아침 집에서 별도의 차례를 지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절을 두 번이나 네 번이 아닌, 세 번 하는 것도 달라진 모습입니다.
<인터뷰> 김석향(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북한에서)사회주의 제사문화를 지내라고 하면서 간소화했어요. 그러다가 다시 조상을 잘 모셔야 복을 받는다며 절을 하다가 두번은 약소한 거 같고 세번까지 하게 된 것 같습니다."
북한 일반주민들의 성묘 풍습을 생생히 담은 이 동영상은 2년 전 촬영돼 탈북자의 손을 거쳐 넘어왔습니다.
한동안 봉건 잔재로 간주돼 폐지됐던 북한의 추석 명절은 1988년 다시 부활했지만, 휴일은 하루에 불과합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북한의 일반 주민들이 추석날 성묘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KBS가 단독 입수했습니다.
차례상을 차려 술을 올리고, 큰절을 하는 등 우리의 전통 풍습이 대부분 살아있었는데요.
절하는 횟수가 세 번으로 바뀌는 등 달라진 풍습도 있습니다.
박진희 북한 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위패가 놓인 조상의 무덤 앞에 풍성한 차례상이 차려졌습니다.
햇과일과 생선, 나물에 송편도 올라 있습니다.
술을 올리고 절을 하는 의례가 끝나자, 아버지로 보이는 남성이 무덤 한쪽에 구멍을 팝니다.
<녹취> "(여기 누구 있니?) 할머니. 할머니 있나."
조금씩 덜어낸 음식을 구멍에 넣고 여러 번 다진 뒤 술을 붓습니다.
<녹취> "꽁꽁 안하면 까마귀 밥이 된다 말이지."
성묘가 끝난 뒤 온 가족이 무덤 곁에서 식사를 합니다.
추석날 아침 집에서 별도의 차례를 지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절을 두 번이나 네 번이 아닌, 세 번 하는 것도 달라진 모습입니다.
<인터뷰> 김석향(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북한에서)사회주의 제사문화를 지내라고 하면서 간소화했어요. 그러다가 다시 조상을 잘 모셔야 복을 받는다며 절을 하다가 두번은 약소한 거 같고 세번까지 하게 된 것 같습니다."
북한 일반주민들의 성묘 풍습을 생생히 담은 이 동영상은 2년 전 촬영돼 탈북자의 손을 거쳐 넘어왔습니다.
한동안 봉건 잔재로 간주돼 폐지됐던 북한의 추석 명절은 1988년 다시 부활했지만, 휴일은 하루에 불과합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