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야구 박종욱 감독, 선수들 이끈 비결은?

입력 2014.09.01 (13:43) 수정 2014.09.01 (16: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9년 만에 세계 정상에 등극한 한국 리틀야구 대표팀의 박종욱 감독이 어린 선수들을 훌륭하게 이끌었던 '비결'을 공개했다.

박 감독이 이끄는 한국 리틀야구 대표팀은 지난달 25일 미국에서 열린 2014 리틀야구 월드시리즈에서 미국 시카고 대표팀을 8-4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1984·1985년 연속 우승 이후 무려 29년 만의 쾌거였다.

박 감독은 1일 서울 장충리틀야구장에 마련된 우승 기념 미디어데이에서 "선수들에게 '이기면 쇼핑이나 수영을 하게 해주겠다'고 조건을 내걸었는데 잘 맞아떨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끼니마다 빵만 나와서 저도 아이들도 힘들었다"면서 "그래서 이기면 쌀, 즉 한식을 주겠다고도 했다"며 웃었다.

세계무대는 선수들뿐만 아니라 지도자인 그에게도 큰 배움의 무대였다.

박 감독은 "경기 전에는 저도 격려하려고 하는데 막상 경기 중에는 저도 모르게 소리를 지르거나 할 때도 있다"며 "그런데 다른 팀 외국인 코치들은 정말 칭찬이나 격려만 하더라"고 떠올렸다.

그는 "어린 선수들을 다잡을 때는 그렇게 해야겠지만 저 역시 많이 배웠다"고 돌아봤다.

정상에 오르고서 홀가분한 마음으로 뒷이야기를 털어놓으면서도 한국과 비교되는 미국의 리틀야구 시설에 대한 말을 꺼낼 때는 진지해졌다.

박 감독은 "우리나라 프로야구보다 환경이 좋았다"면서 "저나 선수들 모두 천연잔디 구장은 처음이라 느리게 굴러오는 타구에 익숙지 않았다. 한국의 인조잔디 구장에서 했던 병살 훈련 대신 안전하게 한 명만 잡는 쪽으로 가야 했다"고 털어놨다.

리틀야구에 대한 지원 규모에 놀랐다고도 했다.

그는 "주최 측에서 항공권 등 팀당 최소 1억원 정도를 지원했고, 현지에 가니 30만원짜리 배트 13자루도 주더라"고 혀를 내두르면서 "운동장, 취재 열기, 대표팀 대우 등에 놀랐다. 다른 감독님들도 꼭 경험해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 감독은 장차 한국 리틀야구의 미래가 밝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이번 대회 한국 팀의 강점 중 하나는 체격과 파워였는데 이는 일시적 현상이 아니다"고 대표팀의 장점을 꼽았다.

이어 "29년 만에 우승했는데, 그 시차는 앞으로 줄어들 것이고 또 줄어들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리틀야구 박종욱 감독, 선수들 이끈 비결은?
    • 입력 2014-09-01 13:43:13
    • 수정2014-09-01 16:47:46
    연합뉴스
29년 만에 세계 정상에 등극한 한국 리틀야구 대표팀의 박종욱 감독이 어린 선수들을 훌륭하게 이끌었던 '비결'을 공개했다.

박 감독이 이끄는 한국 리틀야구 대표팀은 지난달 25일 미국에서 열린 2014 리틀야구 월드시리즈에서 미국 시카고 대표팀을 8-4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1984·1985년 연속 우승 이후 무려 29년 만의 쾌거였다.

박 감독은 1일 서울 장충리틀야구장에 마련된 우승 기념 미디어데이에서 "선수들에게 '이기면 쇼핑이나 수영을 하게 해주겠다'고 조건을 내걸었는데 잘 맞아떨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끼니마다 빵만 나와서 저도 아이들도 힘들었다"면서 "그래서 이기면 쌀, 즉 한식을 주겠다고도 했다"며 웃었다.

세계무대는 선수들뿐만 아니라 지도자인 그에게도 큰 배움의 무대였다.

박 감독은 "경기 전에는 저도 격려하려고 하는데 막상 경기 중에는 저도 모르게 소리를 지르거나 할 때도 있다"며 "그런데 다른 팀 외국인 코치들은 정말 칭찬이나 격려만 하더라"고 떠올렸다.

그는 "어린 선수들을 다잡을 때는 그렇게 해야겠지만 저 역시 많이 배웠다"고 돌아봤다.

정상에 오르고서 홀가분한 마음으로 뒷이야기를 털어놓으면서도 한국과 비교되는 미국의 리틀야구 시설에 대한 말을 꺼낼 때는 진지해졌다.

박 감독은 "우리나라 프로야구보다 환경이 좋았다"면서 "저나 선수들 모두 천연잔디 구장은 처음이라 느리게 굴러오는 타구에 익숙지 않았다. 한국의 인조잔디 구장에서 했던 병살 훈련 대신 안전하게 한 명만 잡는 쪽으로 가야 했다"고 털어놨다.

리틀야구에 대한 지원 규모에 놀랐다고도 했다.

그는 "주최 측에서 항공권 등 팀당 최소 1억원 정도를 지원했고, 현지에 가니 30만원짜리 배트 13자루도 주더라"고 혀를 내두르면서 "운동장, 취재 열기, 대표팀 대우 등에 놀랐다. 다른 감독님들도 꼭 경험해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 감독은 장차 한국 리틀야구의 미래가 밝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이번 대회 한국 팀의 강점 중 하나는 체격과 파워였는데 이는 일시적 현상이 아니다"고 대표팀의 장점을 꼽았다.

이어 "29년 만에 우승했는데, 그 시차는 앞으로 줄어들 것이고 또 줄어들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