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미뤄진 제2롯데월드 개장…롯데, 허탈·실망

입력 2014.09.03 (10:04) 수정 2014.09.03 (11: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제2롯데월드 저층부 임시개장 승인을 유보한 데 대해 롯데측은 시민의 불안을 해소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지만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롯데측은 개장 지연 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4일부터 시민 개방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

롯데의 고위 관계자는 3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서울시가 임시개장 결정 전 시민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절차를 밟기로 한 만큼 이 기간에 충실한 점검을 받겠다"며 "제2롯데월드에는 최근 40개월간 4만 명이 견학차 다녀간 만큼 준비에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롯데 측은 수백억원의 공사비가 추가로 들어가는 교통대책을 포함해 서울시가 지적한 82개 보완과제를 모두 이행했음에도 승인이 미뤄진 데 대해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시가 임시개장 기간에 점검하겠다고 한 주변 교통상황과 공사가 진행중인 초고층 타워동 안전 등은 이미 전문가가 참여한 자문단에서 점검, 문제가 없다고 결론내린 부분이기 때문이다.

종합방재실 운영과 재난유형별 대응 능력이 부족하다는 시민 자문단의 지적에 따라 이뤄질 종합방재훈련 역시 실제로 영업이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진행되는 것이 무의미 하다는 지적도 있다.

일각에선 서울시가 여론을 과도하게 의식한 것 아니냐는 비난도 나오고 있다.

어쨌든 서울시의 임시개장 승인 보류로 제2롯데월드 저층부 임시개장 일정은 다시 안갯속으로 빠져들었고, 이로 인해 롯데측의 추가 손실도 불가피하게 됐다. 저층부 임시개장 지연으로 한달에 발생하는 손실은 900억원 가량으로 추산된다.

롯데의 또 다른 관계자는 "프리오픈을 통해 아무런 문제 없이 승인이 나더라도 일단 9월 임시개장은 어려워졌다"며 "이에 따라 우리쪽은 물론 입점 업체와 취업자들의 손해도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롯데는 4일부터 저층부를 시민에게 개방하는 프로그램을 가동키로 했다. 다만 현장 안전 등을 고려해 시민들의 신청을 받아 하루 7∼8회 시민 현장 방문을 진행할 예정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또 미뤄진 제2롯데월드 개장…롯데, 허탈·실망
    • 입력 2014-09-03 10:04:24
    • 수정2014-09-03 11:03:29
    연합뉴스
서울시가 제2롯데월드 저층부 임시개장 승인을 유보한 데 대해 롯데측은 시민의 불안을 해소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지만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롯데측은 개장 지연 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4일부터 시민 개방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

롯데의 고위 관계자는 3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서울시가 임시개장 결정 전 시민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절차를 밟기로 한 만큼 이 기간에 충실한 점검을 받겠다"며 "제2롯데월드에는 최근 40개월간 4만 명이 견학차 다녀간 만큼 준비에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롯데 측은 수백억원의 공사비가 추가로 들어가는 교통대책을 포함해 서울시가 지적한 82개 보완과제를 모두 이행했음에도 승인이 미뤄진 데 대해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시가 임시개장 기간에 점검하겠다고 한 주변 교통상황과 공사가 진행중인 초고층 타워동 안전 등은 이미 전문가가 참여한 자문단에서 점검, 문제가 없다고 결론내린 부분이기 때문이다.

종합방재실 운영과 재난유형별 대응 능력이 부족하다는 시민 자문단의 지적에 따라 이뤄질 종합방재훈련 역시 실제로 영업이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진행되는 것이 무의미 하다는 지적도 있다.

일각에선 서울시가 여론을 과도하게 의식한 것 아니냐는 비난도 나오고 있다.

어쨌든 서울시의 임시개장 승인 보류로 제2롯데월드 저층부 임시개장 일정은 다시 안갯속으로 빠져들었고, 이로 인해 롯데측의 추가 손실도 불가피하게 됐다. 저층부 임시개장 지연으로 한달에 발생하는 손실은 900억원 가량으로 추산된다.

롯데의 또 다른 관계자는 "프리오픈을 통해 아무런 문제 없이 승인이 나더라도 일단 9월 임시개장은 어려워졌다"며 "이에 따라 우리쪽은 물론 입점 업체와 취업자들의 손해도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롯데는 4일부터 저층부를 시민에게 개방하는 프로그램을 가동키로 했다. 다만 현장 안전 등을 고려해 시민들의 신청을 받아 하루 7∼8회 시민 현장 방문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