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에 물 뿌리자 무늬 나타나…첨단 섬유 한 자리에
입력 2014.09.03 (19:12)
수정 2014.09.04 (0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섬유산업' 하면 부가가치가 낮은 사양산업이라는 생각이 먼저 떠오르실 텐데요.
신소재 개발과 IT 기술의 접목 등을 통해 첨단 산업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습니다.
섬유의 진화, 어디까지 왔는지 김희용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옷에 물을 뿌리자, 마술처럼 숨어있던 무늬가 나타납니다.
국내 업체가 개발한 기능성 섬유로 만든 옷입니다.
<인터뷰> 정구환(섬유업체 대표) : "수영복과 우산, 우의 같은 물과 관련된 제품에 폭넓게 쓸 수 있어 특히 해외시장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섬유와 화장품이 결합한 이른바 '코스메틱 섬유'도 등장했습니다.
섬유에 보습제를 첨가한 이 제품은 물에 녹기 때문에 기존 마스크팩처럼 붙였다 뗄 필요가 없고, 보습 성분을 피부에 더 잘 흡수시킵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옷에 심어져 있는 조명을 조절해 야간 활동을 더 안전하게 하고, 옷을 3D 영상으로 만들어 직접 입지 않고도 몸에 맞춰볼 수 있는 기술도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올해로 15년째를 맞은 섬유 교역전에는 이렇게 신소재와 IT 기술을 앞세운 섬유업체 3백여 곳이 참가했습니다.
<인터뷰> 성기학(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 : "자동화, 신소재, 새로운 패션 이런 걸 다 연결시켜서 무한히 발전할 수 있는 거대산업으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양산업으로 여겨져 온 섬유산업이 첨단 기술과 어우러지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빠르게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섬유산업' 하면 부가가치가 낮은 사양산업이라는 생각이 먼저 떠오르실 텐데요.
신소재 개발과 IT 기술의 접목 등을 통해 첨단 산업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습니다.
섬유의 진화, 어디까지 왔는지 김희용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옷에 물을 뿌리자, 마술처럼 숨어있던 무늬가 나타납니다.
국내 업체가 개발한 기능성 섬유로 만든 옷입니다.
<인터뷰> 정구환(섬유업체 대표) : "수영복과 우산, 우의 같은 물과 관련된 제품에 폭넓게 쓸 수 있어 특히 해외시장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섬유와 화장품이 결합한 이른바 '코스메틱 섬유'도 등장했습니다.
섬유에 보습제를 첨가한 이 제품은 물에 녹기 때문에 기존 마스크팩처럼 붙였다 뗄 필요가 없고, 보습 성분을 피부에 더 잘 흡수시킵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옷에 심어져 있는 조명을 조절해 야간 활동을 더 안전하게 하고, 옷을 3D 영상으로 만들어 직접 입지 않고도 몸에 맞춰볼 수 있는 기술도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올해로 15년째를 맞은 섬유 교역전에는 이렇게 신소재와 IT 기술을 앞세운 섬유업체 3백여 곳이 참가했습니다.
<인터뷰> 성기학(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 : "자동화, 신소재, 새로운 패션 이런 걸 다 연결시켜서 무한히 발전할 수 있는 거대산업으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양산업으로 여겨져 온 섬유산업이 첨단 기술과 어우러지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빠르게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옷에 물 뿌리자 무늬 나타나…첨단 섬유 한 자리에
-
- 입력 2014-09-03 19:12:45
- 수정2014-09-04 08:14:04

<앵커 멘트>
'섬유산업' 하면 부가가치가 낮은 사양산업이라는 생각이 먼저 떠오르실 텐데요.
신소재 개발과 IT 기술의 접목 등을 통해 첨단 산업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습니다.
섬유의 진화, 어디까지 왔는지 김희용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옷에 물을 뿌리자, 마술처럼 숨어있던 무늬가 나타납니다.
국내 업체가 개발한 기능성 섬유로 만든 옷입니다.
<인터뷰> 정구환(섬유업체 대표) : "수영복과 우산, 우의 같은 물과 관련된 제품에 폭넓게 쓸 수 있어 특히 해외시장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섬유와 화장품이 결합한 이른바 '코스메틱 섬유'도 등장했습니다.
섬유에 보습제를 첨가한 이 제품은 물에 녹기 때문에 기존 마스크팩처럼 붙였다 뗄 필요가 없고, 보습 성분을 피부에 더 잘 흡수시킵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옷에 심어져 있는 조명을 조절해 야간 활동을 더 안전하게 하고, 옷을 3D 영상으로 만들어 직접 입지 않고도 몸에 맞춰볼 수 있는 기술도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올해로 15년째를 맞은 섬유 교역전에는 이렇게 신소재와 IT 기술을 앞세운 섬유업체 3백여 곳이 참가했습니다.
<인터뷰> 성기학(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 : "자동화, 신소재, 새로운 패션 이런 걸 다 연결시켜서 무한히 발전할 수 있는 거대산업으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양산업으로 여겨져 온 섬유산업이 첨단 기술과 어우러지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빠르게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섬유산업' 하면 부가가치가 낮은 사양산업이라는 생각이 먼저 떠오르실 텐데요.
신소재 개발과 IT 기술의 접목 등을 통해 첨단 산업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습니다.
섬유의 진화, 어디까지 왔는지 김희용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옷에 물을 뿌리자, 마술처럼 숨어있던 무늬가 나타납니다.
국내 업체가 개발한 기능성 섬유로 만든 옷입니다.
<인터뷰> 정구환(섬유업체 대표) : "수영복과 우산, 우의 같은 물과 관련된 제품에 폭넓게 쓸 수 있어 특히 해외시장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섬유와 화장품이 결합한 이른바 '코스메틱 섬유'도 등장했습니다.
섬유에 보습제를 첨가한 이 제품은 물에 녹기 때문에 기존 마스크팩처럼 붙였다 뗄 필요가 없고, 보습 성분을 피부에 더 잘 흡수시킵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옷에 심어져 있는 조명을 조절해 야간 활동을 더 안전하게 하고, 옷을 3D 영상으로 만들어 직접 입지 않고도 몸에 맞춰볼 수 있는 기술도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올해로 15년째를 맞은 섬유 교역전에는 이렇게 신소재와 IT 기술을 앞세운 섬유업체 3백여 곳이 참가했습니다.
<인터뷰> 성기학(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 : "자동화, 신소재, 새로운 패션 이런 걸 다 연결시켜서 무한히 발전할 수 있는 거대산업으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양산업으로 여겨져 온 섬유산업이 첨단 기술과 어우러지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빠르게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
-
김희용 기자 emaninny@kbs.co.kr
김희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