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록밴드 시나위의 신대철은 제국의아이들 멤버 문준영이 소속사 스타제국의 수익 배분과 정산을 비판한 데 대해 "아이돌 등의 연예인 계약서는 보통 동업자 계약서를 빙자한 불평등 계약서"라고 일침을 놓았다.
신대철은 23일 페이스북에 장문의 글을 올려 "기획사는 갑으로서 여러 비용을 투자하고 연예인은 을로서 본인의 재능을 제공하는 식"이라며 "갑은 권리를, 을은 의무를 강조한다. 상대적으로 갑의 의무는 미약하고 을의 권리는 모호하게 기술한다. 어린 연예인 지망생들은 알기 어려우며 안다 해도 스타가 되는데 그 정도 리스크는 지고 가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 열악한 음원 수익 구조에서 아이돌의 수익은 행사와 CF, 연기 등 다른 활동에서 거둘 수밖에 없으니 살인적인 스케줄에 내몰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음원 시장에 대해 "스트리밍의 경우 서비스사업자가 1회당 3.6원을 정산해주지만 실제 유통사 수수료, 저작권료, 실연권료 등을 제하면 제작사가 가져가는 저작인접권료는 겨우 2.1원이다. 100만 건의 스트리밍이 이뤄져도 정산 수익은 210만 원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문준영이 소속사와 9인조 제국의아이들의 수익 분배 비율이 7:3이라고 언급한 점을 반영해 "7대 3일 때 아이돌 몫은 63만 원이다"며 "9명의 아이돌 그룹이라면 1인당 7만 원씩 나누면 된다"고 설명했다.
또 음악사이트에서 곡 당 600원짜리 다운로드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묶음상품으로 팔리는 현실이어서 최하 60원대까지도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돌의 주 수익은 행사와 CF에 연기를 잘하면 드라마이니 순위 프로그램과 예능에 미친 듯이 나가야 해 살인적인 스케줄은 필수라는 설명이다.
신대철은 "일반적으로 아이돌 그룹 하나 키워내는데 6억~10억 혹은 그 이상도 든다"며 "한류라면 연매출 100억 대의 매출도 가능하다. 해외 매출이 대부분이겠지만 그것이 온전한 순이익은 아니다. 회사는 항상 경상비 지출이 있는데 이 지점에서 분쟁이 일어난다"고 덧붙였다.
신대철은 23일 페이스북에 장문의 글을 올려 "기획사는 갑으로서 여러 비용을 투자하고 연예인은 을로서 본인의 재능을 제공하는 식"이라며 "갑은 권리를, 을은 의무를 강조한다. 상대적으로 갑의 의무는 미약하고 을의 권리는 모호하게 기술한다. 어린 연예인 지망생들은 알기 어려우며 안다 해도 스타가 되는데 그 정도 리스크는 지고 가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 열악한 음원 수익 구조에서 아이돌의 수익은 행사와 CF, 연기 등 다른 활동에서 거둘 수밖에 없으니 살인적인 스케줄에 내몰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음원 시장에 대해 "스트리밍의 경우 서비스사업자가 1회당 3.6원을 정산해주지만 실제 유통사 수수료, 저작권료, 실연권료 등을 제하면 제작사가 가져가는 저작인접권료는 겨우 2.1원이다. 100만 건의 스트리밍이 이뤄져도 정산 수익은 210만 원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문준영이 소속사와 9인조 제국의아이들의 수익 분배 비율이 7:3이라고 언급한 점을 반영해 "7대 3일 때 아이돌 몫은 63만 원이다"며 "9명의 아이돌 그룹이라면 1인당 7만 원씩 나누면 된다"고 설명했다.
또 음악사이트에서 곡 당 600원짜리 다운로드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묶음상품으로 팔리는 현실이어서 최하 60원대까지도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돌의 주 수익은 행사와 CF에 연기를 잘하면 드라마이니 순위 프로그램과 예능에 미친 듯이 나가야 해 살인적인 스케줄은 필수라는 설명이다.
신대철은 "일반적으로 아이돌 그룹 하나 키워내는데 6억~10억 혹은 그 이상도 든다"며 "한류라면 연매출 100억 대의 매출도 가능하다. 해외 매출이 대부분이겠지만 그것이 온전한 순이익은 아니다. 회사는 항상 경상비 지출이 있는데 이 지점에서 분쟁이 일어난다"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대철 “아이돌 계약서는 불평등…음원 시장도 문제”
-
- 입력 2014-09-23 11:21:22

록밴드 시나위의 신대철은 제국의아이들 멤버 문준영이 소속사 스타제국의 수익 배분과 정산을 비판한 데 대해 "아이돌 등의 연예인 계약서는 보통 동업자 계약서를 빙자한 불평등 계약서"라고 일침을 놓았다.
신대철은 23일 페이스북에 장문의 글을 올려 "기획사는 갑으로서 여러 비용을 투자하고 연예인은 을로서 본인의 재능을 제공하는 식"이라며 "갑은 권리를, 을은 의무를 강조한다. 상대적으로 갑의 의무는 미약하고 을의 권리는 모호하게 기술한다. 어린 연예인 지망생들은 알기 어려우며 안다 해도 스타가 되는데 그 정도 리스크는 지고 가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 열악한 음원 수익 구조에서 아이돌의 수익은 행사와 CF, 연기 등 다른 활동에서 거둘 수밖에 없으니 살인적인 스케줄에 내몰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음원 시장에 대해 "스트리밍의 경우 서비스사업자가 1회당 3.6원을 정산해주지만 실제 유통사 수수료, 저작권료, 실연권료 등을 제하면 제작사가 가져가는 저작인접권료는 겨우 2.1원이다. 100만 건의 스트리밍이 이뤄져도 정산 수익은 210만 원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문준영이 소속사와 9인조 제국의아이들의 수익 분배 비율이 7:3이라고 언급한 점을 반영해 "7대 3일 때 아이돌 몫은 63만 원이다"며 "9명의 아이돌 그룹이라면 1인당 7만 원씩 나누면 된다"고 설명했다.
또 음악사이트에서 곡 당 600원짜리 다운로드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묶음상품으로 팔리는 현실이어서 최하 60원대까지도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돌의 주 수익은 행사와 CF에 연기를 잘하면 드라마이니 순위 프로그램과 예능에 미친 듯이 나가야 해 살인적인 스케줄은 필수라는 설명이다.
신대철은 "일반적으로 아이돌 그룹 하나 키워내는데 6억~10억 혹은 그 이상도 든다"며 "한류라면 연매출 100억 대의 매출도 가능하다. 해외 매출이 대부분이겠지만 그것이 온전한 순이익은 아니다. 회사는 항상 경상비 지출이 있는데 이 지점에서 분쟁이 일어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