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앗! 뜨거워” 영·유아 압력밥솥 화상 주의보

입력 2014.09.24 (08:53) 수정 2014.09.24 (09: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밥지으실 때 전기압력밥솥 많이 사용하시는데요.

만 6살 이하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압력밥솥에서 나오는 뜨거운 수증기 등에 화상을 입는 피해자의 절반 이상이 영유아라고 합니다.

김기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제 막 돌이 지난 여자 아이.

한 손에 2도 화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전기압력밥솥에서 나오는 증기에 손을 데인겁니다.

<녹취> 피해 아이 어머니 : "의자에 올라가서 김 나오는 데를 이렇게 잡고 있었어요. 그 상태에서 뜨거울 때까지 있다가 아프면 그때서야 우는 거니까 짚고 울고만 있는 거예요."

이 2살짜리 남자아이도 조리중인 압력밥솥을 잡아당겼다 얼굴에 화상을 입었습니다.

<인터뷰> 김도희(피해 아이 어머니) : "잠깐 다른 일 한다고 돌아선 사이에 와서 뒤꿈치를 들어서 손잡이를 손끝으로 잡아 끌어내린거예요."

한국소비자원의 조사결과 최근 3년 동안 압력밥솥으로 인한 화상사고 피해자의 53%가 만 6살 이하 영유아였습니다.

<인터뷰> 허준(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화상외과) : "아기들은 피부가 굉장히 연약하기 때문에 어른과 같은 온도에 다쳐도 상대적으로 흉터를 남길 수 있는 깊은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스보다는 전기 압력밥솥의 피해가 훨씬 많았습니다.

<인터뷰> 오흥욱(한국소비자원 생활안전팀장) : "아이들의 손이 갈 수 있는 위치, 방이라든지, 거실, 주방에 놓고 요리를 하다보니까 영유아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화상을 입었을 때는 즉시 흐르는 물에 30분 정도 화상 부위를 식혀준 뒤 깨끗한 수건으로 상처부위를 감싸 인근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김기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앗! 뜨거워” 영·유아 압력밥솥 화상 주의보
    • 입력 2014-09-24 08:59:14
    • 수정2014-09-24 09:06:32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요즘 밥지으실 때 전기압력밥솥 많이 사용하시는데요.

만 6살 이하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압력밥솥에서 나오는 뜨거운 수증기 등에 화상을 입는 피해자의 절반 이상이 영유아라고 합니다.

김기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제 막 돌이 지난 여자 아이.

한 손에 2도 화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전기압력밥솥에서 나오는 증기에 손을 데인겁니다.

<녹취> 피해 아이 어머니 : "의자에 올라가서 김 나오는 데를 이렇게 잡고 있었어요. 그 상태에서 뜨거울 때까지 있다가 아프면 그때서야 우는 거니까 짚고 울고만 있는 거예요."

이 2살짜리 남자아이도 조리중인 압력밥솥을 잡아당겼다 얼굴에 화상을 입었습니다.

<인터뷰> 김도희(피해 아이 어머니) : "잠깐 다른 일 한다고 돌아선 사이에 와서 뒤꿈치를 들어서 손잡이를 손끝으로 잡아 끌어내린거예요."

한국소비자원의 조사결과 최근 3년 동안 압력밥솥으로 인한 화상사고 피해자의 53%가 만 6살 이하 영유아였습니다.

<인터뷰> 허준(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화상외과) : "아기들은 피부가 굉장히 연약하기 때문에 어른과 같은 온도에 다쳐도 상대적으로 흉터를 남길 수 있는 깊은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스보다는 전기 압력밥솥의 피해가 훨씬 많았습니다.

<인터뷰> 오흥욱(한국소비자원 생활안전팀장) : "아이들의 손이 갈 수 있는 위치, 방이라든지, 거실, 주방에 놓고 요리를 하다보니까 영유아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화상을 입었을 때는 즉시 흐르는 물에 30분 정도 화상 부위를 식혀준 뒤 깨끗한 수건으로 상처부위를 감싸 인근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김기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