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충에 병드는 숲…사후관리 부실 ‘되풀이’
입력 2014.09.27 (07:42)
수정 2014.09.27 (18: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소나무나 잣나무 숲에서는 재선충병에 걸려 죽은 나무를 흔히 볼 수 있는데요,
해마다 재선충병 방제 작업에 수백억 원을 쏟아붓고 있지만 관리 감독이 제대로 안 돼 매년 같은 현상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김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광주의 한 야산.
소나무 재선충에 감염돼 고사한 잣나무들이 녹색 포장재에 싸여 있습니다.
전염을 막기 위해선 약품 처리한 뒤 밀봉해야 하지만, 그대로 노출돼 있습니다.
이런 허술한 관리 탓에 주변 나무들도 재선충에 전염돼 잎이 붉게 물들었습니다.
<인터뷰> 방희조(주민) : "(시청에서) 여기에 약도 치고 여러 가지 다 하는데, 잘 안 없어지더라고요."
인근의 또 다른 야산.
재선충에 감염돼 관리 당국이 방제 처리를 해놓은 잣나무를 주민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땔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녹취> "소각하시는 게 도와주시는 거예요. (네, 그렇게 할게요.)"
이 지역 55곳을 점검해 봤습니다.
감염된 나무를 밀봉하지 않거나 약품처리한 뒤 표시를 해놓지 않는 등 관리 부실이 드러난 곳이 전체의 84%에 달했습니다.
재선충의 매개체는 솔수염하늘소.
방제 처리가 완벽하지 않으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이 성충이 되는 과정에서 재선충을 퍼뜨리게 됩니다.
<인터뷰> 유영민(생명의숲 사무국장) : "밀봉이 안 돼있으면 이후에 훈증(약품처리)이 잘 안될 가능성이 있고요. 매개충들이 살아서 우화해서 밖으로 나갈 가능성이 높죠."
예방책도, 사후 관리도 부실해 해마다 되풀이 되고 있는 재선충병에 숲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요즘 소나무나 잣나무 숲에서는 재선충병에 걸려 죽은 나무를 흔히 볼 수 있는데요,
해마다 재선충병 방제 작업에 수백억 원을 쏟아붓고 있지만 관리 감독이 제대로 안 돼 매년 같은 현상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김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광주의 한 야산.
소나무 재선충에 감염돼 고사한 잣나무들이 녹색 포장재에 싸여 있습니다.
전염을 막기 위해선 약품 처리한 뒤 밀봉해야 하지만, 그대로 노출돼 있습니다.
이런 허술한 관리 탓에 주변 나무들도 재선충에 전염돼 잎이 붉게 물들었습니다.
<인터뷰> 방희조(주민) : "(시청에서) 여기에 약도 치고 여러 가지 다 하는데, 잘 안 없어지더라고요."
인근의 또 다른 야산.
재선충에 감염돼 관리 당국이 방제 처리를 해놓은 잣나무를 주민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땔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녹취> "소각하시는 게 도와주시는 거예요. (네, 그렇게 할게요.)"
이 지역 55곳을 점검해 봤습니다.
감염된 나무를 밀봉하지 않거나 약품처리한 뒤 표시를 해놓지 않는 등 관리 부실이 드러난 곳이 전체의 84%에 달했습니다.
재선충의 매개체는 솔수염하늘소.
방제 처리가 완벽하지 않으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이 성충이 되는 과정에서 재선충을 퍼뜨리게 됩니다.
<인터뷰> 유영민(생명의숲 사무국장) : "밀봉이 안 돼있으면 이후에 훈증(약품처리)이 잘 안될 가능성이 있고요. 매개충들이 살아서 우화해서 밖으로 나갈 가능성이 높죠."
예방책도, 사후 관리도 부실해 해마다 되풀이 되고 있는 재선충병에 숲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선충에 병드는 숲…사후관리 부실 ‘되풀이’
-
- 입력 2014-09-27 07:45:47
- 수정2014-09-27 18:31:25
<앵커 멘트>
요즘 소나무나 잣나무 숲에서는 재선충병에 걸려 죽은 나무를 흔히 볼 수 있는데요,
해마다 재선충병 방제 작업에 수백억 원을 쏟아붓고 있지만 관리 감독이 제대로 안 돼 매년 같은 현상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김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광주의 한 야산.
소나무 재선충에 감염돼 고사한 잣나무들이 녹색 포장재에 싸여 있습니다.
전염을 막기 위해선 약품 처리한 뒤 밀봉해야 하지만, 그대로 노출돼 있습니다.
이런 허술한 관리 탓에 주변 나무들도 재선충에 전염돼 잎이 붉게 물들었습니다.
<인터뷰> 방희조(주민) : "(시청에서) 여기에 약도 치고 여러 가지 다 하는데, 잘 안 없어지더라고요."
인근의 또 다른 야산.
재선충에 감염돼 관리 당국이 방제 처리를 해놓은 잣나무를 주민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땔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녹취> "소각하시는 게 도와주시는 거예요. (네, 그렇게 할게요.)"
이 지역 55곳을 점검해 봤습니다.
감염된 나무를 밀봉하지 않거나 약품처리한 뒤 표시를 해놓지 않는 등 관리 부실이 드러난 곳이 전체의 84%에 달했습니다.
재선충의 매개체는 솔수염하늘소.
방제 처리가 완벽하지 않으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이 성충이 되는 과정에서 재선충을 퍼뜨리게 됩니다.
<인터뷰> 유영민(생명의숲 사무국장) : "밀봉이 안 돼있으면 이후에 훈증(약품처리)이 잘 안될 가능성이 있고요. 매개충들이 살아서 우화해서 밖으로 나갈 가능성이 높죠."
예방책도, 사후 관리도 부실해 해마다 되풀이 되고 있는 재선충병에 숲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요즘 소나무나 잣나무 숲에서는 재선충병에 걸려 죽은 나무를 흔히 볼 수 있는데요,
해마다 재선충병 방제 작업에 수백억 원을 쏟아붓고 있지만 관리 감독이 제대로 안 돼 매년 같은 현상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김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광주의 한 야산.
소나무 재선충에 감염돼 고사한 잣나무들이 녹색 포장재에 싸여 있습니다.
전염을 막기 위해선 약품 처리한 뒤 밀봉해야 하지만, 그대로 노출돼 있습니다.
이런 허술한 관리 탓에 주변 나무들도 재선충에 전염돼 잎이 붉게 물들었습니다.
<인터뷰> 방희조(주민) : "(시청에서) 여기에 약도 치고 여러 가지 다 하는데, 잘 안 없어지더라고요."
인근의 또 다른 야산.
재선충에 감염돼 관리 당국이 방제 처리를 해놓은 잣나무를 주민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땔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녹취> "소각하시는 게 도와주시는 거예요. (네, 그렇게 할게요.)"
이 지역 55곳을 점검해 봤습니다.
감염된 나무를 밀봉하지 않거나 약품처리한 뒤 표시를 해놓지 않는 등 관리 부실이 드러난 곳이 전체의 84%에 달했습니다.
재선충의 매개체는 솔수염하늘소.
방제 처리가 완벽하지 않으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이 성충이 되는 과정에서 재선충을 퍼뜨리게 됩니다.
<인터뷰> 유영민(생명의숲 사무국장) : "밀봉이 안 돼있으면 이후에 훈증(약품처리)이 잘 안될 가능성이 있고요. 매개충들이 살아서 우화해서 밖으로 나갈 가능성이 높죠."
예방책도, 사후 관리도 부실해 해마다 되풀이 되고 있는 재선충병에 숲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
-
김영은 기자 paz@kbs.co.kr
김영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