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터 “79년 인질사건 때 이란 날려버릴 수도 있었다”
입력 2014.10.02 (06:26)
수정 2014.10.02 (15: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자신의 재임 기간에 발생한 1979년 이란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 인질사건과 관련, "당시 세계 지도에서 아예 사라지도록 우리가 갖고 있는 무기로 이란을 바로 공격해 날려버릴 수도 있었다"고 말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힌 뒤 "그러나 각종 압력과 권고에도, 미국인 인질을 포함한 수많은 무고한 민간인들이 희생당할 수 있어 이란을 공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때 내가 이란을 공격해 좀 더 강하고 단호한 면모를 보여줬더라면 아마도 재선에 성공했을 수도 있다"고 회고했다.
민주당 소속이던 카터 전 대통령은 이란 인질사태와 1980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 재임 당시의 '외교실패' 논란 속에 1980년 치러진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였던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에게 패배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되돌아 보면 (이란을 공격하지 않은 것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지만 그래도 올바른 결정이었다"면서 "결국 내 기도대로 모든 인질이 풀려나 안전하게 귀국했다"고 말했다. 이란 주재 미 대사관에 잡혀 있던 52명의 미국인 인질은 1981년 레이건 전 대통령 취임 직후 풀려났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어 "과거와 마찬가지로 요즘에도 여전히 미국 사회에는 그렇게 필요하지 않은데도 군사조치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발언의 진의가 뭔지는 알 수 없지만 현 정부의 이라크·시리아 공습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힌 뒤 "그러나 각종 압력과 권고에도, 미국인 인질을 포함한 수많은 무고한 민간인들이 희생당할 수 있어 이란을 공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때 내가 이란을 공격해 좀 더 강하고 단호한 면모를 보여줬더라면 아마도 재선에 성공했을 수도 있다"고 회고했다.
민주당 소속이던 카터 전 대통령은 이란 인질사태와 1980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 재임 당시의 '외교실패' 논란 속에 1980년 치러진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였던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에게 패배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되돌아 보면 (이란을 공격하지 않은 것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지만 그래도 올바른 결정이었다"면서 "결국 내 기도대로 모든 인질이 풀려나 안전하게 귀국했다"고 말했다. 이란 주재 미 대사관에 잡혀 있던 52명의 미국인 인질은 1981년 레이건 전 대통령 취임 직후 풀려났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어 "과거와 마찬가지로 요즘에도 여전히 미국 사회에는 그렇게 필요하지 않은데도 군사조치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발언의 진의가 뭔지는 알 수 없지만 현 정부의 이라크·시리아 공습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카터 “79년 인질사건 때 이란 날려버릴 수도 있었다”
-
- 입력 2014-10-02 06:26:53
- 수정2014-10-02 15:35:20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자신의 재임 기간에 발생한 1979년 이란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 인질사건과 관련, "당시 세계 지도에서 아예 사라지도록 우리가 갖고 있는 무기로 이란을 바로 공격해 날려버릴 수도 있었다"고 말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힌 뒤 "그러나 각종 압력과 권고에도, 미국인 인질을 포함한 수많은 무고한 민간인들이 희생당할 수 있어 이란을 공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때 내가 이란을 공격해 좀 더 강하고 단호한 면모를 보여줬더라면 아마도 재선에 성공했을 수도 있다"고 회고했다.
민주당 소속이던 카터 전 대통령은 이란 인질사태와 1980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 재임 당시의 '외교실패' 논란 속에 1980년 치러진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였던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에게 패배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되돌아 보면 (이란을 공격하지 않은 것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지만 그래도 올바른 결정이었다"면서 "결국 내 기도대로 모든 인질이 풀려나 안전하게 귀국했다"고 말했다. 이란 주재 미 대사관에 잡혀 있던 52명의 미국인 인질은 1981년 레이건 전 대통령 취임 직후 풀려났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어 "과거와 마찬가지로 요즘에도 여전히 미국 사회에는 그렇게 필요하지 않은데도 군사조치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발언의 진의가 뭔지는 알 수 없지만 현 정부의 이라크·시리아 공습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힌 뒤 "그러나 각종 압력과 권고에도, 미국인 인질을 포함한 수많은 무고한 민간인들이 희생당할 수 있어 이란을 공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때 내가 이란을 공격해 좀 더 강하고 단호한 면모를 보여줬더라면 아마도 재선에 성공했을 수도 있다"고 회고했다.
민주당 소속이던 카터 전 대통령은 이란 인질사태와 1980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 재임 당시의 '외교실패' 논란 속에 1980년 치러진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였던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에게 패배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되돌아 보면 (이란을 공격하지 않은 것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지만 그래도 올바른 결정이었다"면서 "결국 내 기도대로 모든 인질이 풀려나 안전하게 귀국했다"고 말했다. 이란 주재 미 대사관에 잡혀 있던 52명의 미국인 인질은 1981년 레이건 전 대통령 취임 직후 풀려났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어 "과거와 마찬가지로 요즘에도 여전히 미국 사회에는 그렇게 필요하지 않은데도 군사조치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발언의 진의가 뭔지는 알 수 없지만 현 정부의 이라크·시리아 공습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