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선 1/3 가격…소비자 불만 확산
입력 2014.10.02 (23:41)
수정 2014.10.03 (00: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삼성의 최신 스마트폰을 미국에서는 국내 가격의 1/3 수준에 살 수 있단 사실이 알려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온라인 청원운동까지 시작됐습니다.
박경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대형 이동통신사 사이트 입니다.
오늘 이곳에 올라온 갤럭시 노트4의 신규 구입비는 2년 약정 때 300달러 우리돈 32만 원에 불과합니다.
보조금을 최대한 받았을 때 80만 원이 넘는 국내 구매가의 1/3 수준입니다.
출고가도 825달러 우리돈 87만 원대로 국내 출고가 95만 원대 보다 더 쌉니다.
LG전자의 G3 역시 2년 약정할 경우 200달러, 21만 원 정도지만 국내에서는 70만 원이 넘습니다.
보조금 규제가 전혀 없는 미국과 단순 비교하긴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큰 가격 차이에 소비자들은 잇달아 불만을 제기합니다.
단통법에서 막판에 분리 공시 제도가 빠져 제조사의 지원액을 알 수 없다보니 의혹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환 (서울 마천동) : "소비자가 사는 금액이 높아지니까 난감하다, 인터넷도 알아보니까 해외에서는 더 싸게 팔리고 있는데 소비자를 위한 단통법인지 의문스럽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 사이트에는 어제에 이어 오늘도 불만 글들이 쏟아졌습니다.
급기야 일부는 단통법을 폐지하자는 온라인 청원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안진걸 (참여연대 사무처장) : "분리 공시 제도를 단통법에 아예 규정을 하자 그래서 단통법 개정안도 다음 주 제출할 예정입니다."
소비자들의 발길이 끊기며 유통가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실제로 통신사를 갈아타는 번호이동이 어제 하루 평소의 1/3수준으로 뚝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삼성의 최신 스마트폰을 미국에서는 국내 가격의 1/3 수준에 살 수 있단 사실이 알려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온라인 청원운동까지 시작됐습니다.
박경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대형 이동통신사 사이트 입니다.
오늘 이곳에 올라온 갤럭시 노트4의 신규 구입비는 2년 약정 때 300달러 우리돈 32만 원에 불과합니다.
보조금을 최대한 받았을 때 80만 원이 넘는 국내 구매가의 1/3 수준입니다.
출고가도 825달러 우리돈 87만 원대로 국내 출고가 95만 원대 보다 더 쌉니다.
LG전자의 G3 역시 2년 약정할 경우 200달러, 21만 원 정도지만 국내에서는 70만 원이 넘습니다.
보조금 규제가 전혀 없는 미국과 단순 비교하긴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큰 가격 차이에 소비자들은 잇달아 불만을 제기합니다.
단통법에서 막판에 분리 공시 제도가 빠져 제조사의 지원액을 알 수 없다보니 의혹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환 (서울 마천동) : "소비자가 사는 금액이 높아지니까 난감하다, 인터넷도 알아보니까 해외에서는 더 싸게 팔리고 있는데 소비자를 위한 단통법인지 의문스럽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 사이트에는 어제에 이어 오늘도 불만 글들이 쏟아졌습니다.
급기야 일부는 단통법을 폐지하자는 온라인 청원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안진걸 (참여연대 사무처장) : "분리 공시 제도를 단통법에 아예 규정을 하자 그래서 단통법 개정안도 다음 주 제출할 예정입니다."
소비자들의 발길이 끊기며 유통가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실제로 통신사를 갈아타는 번호이동이 어제 하루 평소의 1/3수준으로 뚝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에선 1/3 가격…소비자 불만 확산
-
- 입력 2014-10-02 23:43:08
- 수정2014-10-03 00:47:18

<앵커 멘트>
삼성의 최신 스마트폰을 미국에서는 국내 가격의 1/3 수준에 살 수 있단 사실이 알려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온라인 청원운동까지 시작됐습니다.
박경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대형 이동통신사 사이트 입니다.
오늘 이곳에 올라온 갤럭시 노트4의 신규 구입비는 2년 약정 때 300달러 우리돈 32만 원에 불과합니다.
보조금을 최대한 받았을 때 80만 원이 넘는 국내 구매가의 1/3 수준입니다.
출고가도 825달러 우리돈 87만 원대로 국내 출고가 95만 원대 보다 더 쌉니다.
LG전자의 G3 역시 2년 약정할 경우 200달러, 21만 원 정도지만 국내에서는 70만 원이 넘습니다.
보조금 규제가 전혀 없는 미국과 단순 비교하긴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큰 가격 차이에 소비자들은 잇달아 불만을 제기합니다.
단통법에서 막판에 분리 공시 제도가 빠져 제조사의 지원액을 알 수 없다보니 의혹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환 (서울 마천동) : "소비자가 사는 금액이 높아지니까 난감하다, 인터넷도 알아보니까 해외에서는 더 싸게 팔리고 있는데 소비자를 위한 단통법인지 의문스럽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 사이트에는 어제에 이어 오늘도 불만 글들이 쏟아졌습니다.
급기야 일부는 단통법을 폐지하자는 온라인 청원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안진걸 (참여연대 사무처장) : "분리 공시 제도를 단통법에 아예 규정을 하자 그래서 단통법 개정안도 다음 주 제출할 예정입니다."
소비자들의 발길이 끊기며 유통가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실제로 통신사를 갈아타는 번호이동이 어제 하루 평소의 1/3수준으로 뚝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삼성의 최신 스마트폰을 미국에서는 국내 가격의 1/3 수준에 살 수 있단 사실이 알려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온라인 청원운동까지 시작됐습니다.
박경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대형 이동통신사 사이트 입니다.
오늘 이곳에 올라온 갤럭시 노트4의 신규 구입비는 2년 약정 때 300달러 우리돈 32만 원에 불과합니다.
보조금을 최대한 받았을 때 80만 원이 넘는 국내 구매가의 1/3 수준입니다.
출고가도 825달러 우리돈 87만 원대로 국내 출고가 95만 원대 보다 더 쌉니다.
LG전자의 G3 역시 2년 약정할 경우 200달러, 21만 원 정도지만 국내에서는 70만 원이 넘습니다.
보조금 규제가 전혀 없는 미국과 단순 비교하긴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큰 가격 차이에 소비자들은 잇달아 불만을 제기합니다.
단통법에서 막판에 분리 공시 제도가 빠져 제조사의 지원액을 알 수 없다보니 의혹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환 (서울 마천동) : "소비자가 사는 금액이 높아지니까 난감하다, 인터넷도 알아보니까 해외에서는 더 싸게 팔리고 있는데 소비자를 위한 단통법인지 의문스럽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 사이트에는 어제에 이어 오늘도 불만 글들이 쏟아졌습니다.
급기야 일부는 단통법을 폐지하자는 온라인 청원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안진걸 (참여연대 사무처장) : "분리 공시 제도를 단통법에 아예 규정을 하자 그래서 단통법 개정안도 다음 주 제출할 예정입니다."
소비자들의 발길이 끊기며 유통가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실제로 통신사를 갈아타는 번호이동이 어제 하루 평소의 1/3수준으로 뚝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
박경호 기자 4right@kbs.co.kr
박경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