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이동찬 회장 뜻대로 골프 발전에 최선”
입력 2014.11.11 (10:38)
수정 2014.11.11 (15: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골프협회가 지난 8일 향년 9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고 이동찬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의 뜻을 받들어 골프 발전에 더 힘을 쏟겠다고 다짐했다.
대한골프협회는 11일 "고인은 코오롱그룹 회장 재임 시절인 1985년 대한골프협회장을 맡아 1996년까지 11년간 한국 골프의 성장 과도기에 큰 힘을 실어주신 분"이라며 "박세리, 김미현, 한희원, 강수연 등 당시 주니어 선수들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특히 코오롱에서는 1986년 국가대표와 상비군 용품 지원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후원을 계속 하고 있다"고 고 이동찬 회장의 업적을 기렸다.
이 회장은 1996년 대한골프협회장에서 물러난 이후 올해까지 협회 명예회장을 맡아왔다.
또 1988년 아널드 파머, 1991년 잭 니클라우스를 한국에 초청해 국가대표 및 주니어 선수들에게 레슨을 하게 하는 등 선수 육성에 큰 관심과 애정을 가졌고 1987년에는 한국여자오픈을 창설했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오픈에 대해서는 "죽을 때까지 후원하겠다"고 한 약속을 실천에 옮겼고 한국 골프장의 불합리한 조세 제도 개혁을 위해 1991년에 골프 관련 세제 개선을 직접 대통령에게 건의하기도 했다.
1993년에는 '한국 골프의 오늘과 내일'이라는 골프 백서를 출간하는 등 국내 골프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골프협회는 "고인께서 이뤄놓은 골프계의 많은 업적을 발판으로 한국 골프가 세계 정상에 진입할 수 있었다"며 "생전에 이루신 업적에 누가 되지 않도록 골프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대한골프협회는 11일 "고인은 코오롱그룹 회장 재임 시절인 1985년 대한골프협회장을 맡아 1996년까지 11년간 한국 골프의 성장 과도기에 큰 힘을 실어주신 분"이라며 "박세리, 김미현, 한희원, 강수연 등 당시 주니어 선수들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특히 코오롱에서는 1986년 국가대표와 상비군 용품 지원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후원을 계속 하고 있다"고 고 이동찬 회장의 업적을 기렸다.
이 회장은 1996년 대한골프협회장에서 물러난 이후 올해까지 협회 명예회장을 맡아왔다.
또 1988년 아널드 파머, 1991년 잭 니클라우스를 한국에 초청해 국가대표 및 주니어 선수들에게 레슨을 하게 하는 등 선수 육성에 큰 관심과 애정을 가졌고 1987년에는 한국여자오픈을 창설했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오픈에 대해서는 "죽을 때까지 후원하겠다"고 한 약속을 실천에 옮겼고 한국 골프장의 불합리한 조세 제도 개혁을 위해 1991년에 골프 관련 세제 개선을 직접 대통령에게 건의하기도 했다.
1993년에는 '한국 골프의 오늘과 내일'이라는 골프 백서를 출간하는 등 국내 골프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골프협회는 "고인께서 이뤄놓은 골프계의 많은 업적을 발판으로 한국 골프가 세계 정상에 진입할 수 있었다"며 "생전에 이루신 업적에 누가 되지 않도록 골프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故이동찬 회장 뜻대로 골프 발전에 최선”
-
- 입력 2014-11-11 10:38:04
- 수정2014-11-11 15:41:20
대한골프협회가 지난 8일 향년 9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고 이동찬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의 뜻을 받들어 골프 발전에 더 힘을 쏟겠다고 다짐했다.
대한골프협회는 11일 "고인은 코오롱그룹 회장 재임 시절인 1985년 대한골프협회장을 맡아 1996년까지 11년간 한국 골프의 성장 과도기에 큰 힘을 실어주신 분"이라며 "박세리, 김미현, 한희원, 강수연 등 당시 주니어 선수들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특히 코오롱에서는 1986년 국가대표와 상비군 용품 지원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후원을 계속 하고 있다"고 고 이동찬 회장의 업적을 기렸다.
이 회장은 1996년 대한골프협회장에서 물러난 이후 올해까지 협회 명예회장을 맡아왔다.
또 1988년 아널드 파머, 1991년 잭 니클라우스를 한국에 초청해 국가대표 및 주니어 선수들에게 레슨을 하게 하는 등 선수 육성에 큰 관심과 애정을 가졌고 1987년에는 한국여자오픈을 창설했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오픈에 대해서는 "죽을 때까지 후원하겠다"고 한 약속을 실천에 옮겼고 한국 골프장의 불합리한 조세 제도 개혁을 위해 1991년에 골프 관련 세제 개선을 직접 대통령에게 건의하기도 했다.
1993년에는 '한국 골프의 오늘과 내일'이라는 골프 백서를 출간하는 등 국내 골프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골프협회는 "고인께서 이뤄놓은 골프계의 많은 업적을 발판으로 한국 골프가 세계 정상에 진입할 수 있었다"며 "생전에 이루신 업적에 누가 되지 않도록 골프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대한골프협회는 11일 "고인은 코오롱그룹 회장 재임 시절인 1985년 대한골프협회장을 맡아 1996년까지 11년간 한국 골프의 성장 과도기에 큰 힘을 실어주신 분"이라며 "박세리, 김미현, 한희원, 강수연 등 당시 주니어 선수들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특히 코오롱에서는 1986년 국가대표와 상비군 용품 지원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후원을 계속 하고 있다"고 고 이동찬 회장의 업적을 기렸다.
이 회장은 1996년 대한골프협회장에서 물러난 이후 올해까지 협회 명예회장을 맡아왔다.
또 1988년 아널드 파머, 1991년 잭 니클라우스를 한국에 초청해 국가대표 및 주니어 선수들에게 레슨을 하게 하는 등 선수 육성에 큰 관심과 애정을 가졌고 1987년에는 한국여자오픈을 창설했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오픈에 대해서는 "죽을 때까지 후원하겠다"고 한 약속을 실천에 옮겼고 한국 골프장의 불합리한 조세 제도 개혁을 위해 1991년에 골프 관련 세제 개선을 직접 대통령에게 건의하기도 했다.
1993년에는 '한국 골프의 오늘과 내일'이라는 골프 백서를 출간하는 등 국내 골프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골프협회는 "고인께서 이뤄놓은 골프계의 많은 업적을 발판으로 한국 골프가 세계 정상에 진입할 수 있었다"며 "생전에 이루신 업적에 누가 되지 않도록 골프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