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최고의 성공작 드라마 '정도전'의 조재현·임호·이광기가 연말 연극 무대에서 다시 한번 뭉친다.
세 사람은 내달 12일부터 내년 3월1일까지 서울 대학로 수현재씨어터에서 상연되는 창작 연극 '민들레 바람되어'에 순정파 남편 안중기 역으로 출연한다.
2008년 초연한 '민들레 바람되어'는 살아 있는 남편이 아내 무덤을 찾아 남편과 아버지로서 삶을 고백하면서 죽은 아내와 대화한다는 독특한 구성을 취한 작품이다.
부부의 삶과 사랑, 가족의 이야기를 보편적으로 풀어내 초연 당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번 공연은 2009년, 2011년에 이은 세 번째 앙코르 무대다.
이번 작품 제작자이기도 조재현은 초연부터 줄곧 출연했고 이광기는 2011년에 이 역을 맡은 적이 있다. 임호는 이번에 새로 합류했다.
조재현은 11일 대학로 DCF 대명문화공장에서 열린 제작발표회에서 이번 캐스팅 배경에 대해 "드라마 '정도전'을 촬영하면서 임호, 이광기 씨와 함께 나오는 분량이 많아서 자연스럽게 연극 얘기를 하게 됐고 출연 제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임호 씨와는 원래 친했지만, 이번 드라마를 하면서 굉장히 돈독해져 '정도전'이 끝나도 같이 작업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며 "이광기 씨는 기회가 되면 또 한 번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제안했더니 흔쾌히 승낙했다"고 덧붙였다.
임호는 "작품을 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과연 관객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느냐'인데 대본을 보면서 내가 감동을 해서 꼭 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 "저희 세 사람이 한가지 역을 하게 되서 관객들은 보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저만이 잘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려내면 임호만의 안중기를 그릴 수 있을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번 작품은 세 사람의 공연을 다 봐야 제대로 본 것이라는 평이 나온다면 뿌듯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광기는 "이 연극은 관계회복에 대한 이야기"라며 "2011년 공연 때 공연장에 들어올 때는 손을 안 잡고 들어오던 관객들이 연극을 보고 나갈 때는 연인이든 부부든 손을 잡고 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 뿌듯했다"고 소개했다.
조재현은 "굉장히 많은 연극이 상연되지만 국내 작가가 쓴 순수창작물이 지속적으로 장기 공연되는 것은 참 드물다고 생각해 '한번 해보자'는 뜻으로 시작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초연 준비를 하면서 관객들이 외면하면 어쩌나 고민도 많았는데 첫 공연날 가장 놀란 것은 배우들이었다"며 "초반에는 대부분 20, 30대 관객이었는데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장면에서 너무 재밌게 보고, 우는 것을 보고 놀랐고 그때의 힘으로 지금까지 앙코르 공연을 하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 작품은 우리 가슴을 일차적으로 툭 치는 우리들의 얘기"라며 "각기 다른 연령층, 남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연극"이라고 강조했다.
자체 공연장 수현재씨어터를 보유한 공연 제작사 '수현재컴퍼니'를 설립해 중장년층도 즐길 수 있는 작품을 무대에 올린 조재현은 "대학로가 10대, 20대의 노는 문화(장소)로만 자리하는 것이 아쉬웠는데 중장년층을 대학로에 불러모은다는 점에서는 1차적으로 성공했다고 생각한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그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다"며 "중장년이 즐길 수 있는 대중적 공연을 넘어 마니아층도 즐길 수 있는 공연도 필요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세 사람은 내달 12일부터 내년 3월1일까지 서울 대학로 수현재씨어터에서 상연되는 창작 연극 '민들레 바람되어'에 순정파 남편 안중기 역으로 출연한다.
2008년 초연한 '민들레 바람되어'는 살아 있는 남편이 아내 무덤을 찾아 남편과 아버지로서 삶을 고백하면서 죽은 아내와 대화한다는 독특한 구성을 취한 작품이다.
부부의 삶과 사랑, 가족의 이야기를 보편적으로 풀어내 초연 당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번 공연은 2009년, 2011년에 이은 세 번째 앙코르 무대다.
이번 작품 제작자이기도 조재현은 초연부터 줄곧 출연했고 이광기는 2011년에 이 역을 맡은 적이 있다. 임호는 이번에 새로 합류했다.
조재현은 11일 대학로 DCF 대명문화공장에서 열린 제작발표회에서 이번 캐스팅 배경에 대해 "드라마 '정도전'을 촬영하면서 임호, 이광기 씨와 함께 나오는 분량이 많아서 자연스럽게 연극 얘기를 하게 됐고 출연 제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임호 씨와는 원래 친했지만, 이번 드라마를 하면서 굉장히 돈독해져 '정도전'이 끝나도 같이 작업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며 "이광기 씨는 기회가 되면 또 한 번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제안했더니 흔쾌히 승낙했다"고 덧붙였다.
임호는 "작품을 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과연 관객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느냐'인데 대본을 보면서 내가 감동을 해서 꼭 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 "저희 세 사람이 한가지 역을 하게 되서 관객들은 보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저만이 잘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려내면 임호만의 안중기를 그릴 수 있을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번 작품은 세 사람의 공연을 다 봐야 제대로 본 것이라는 평이 나온다면 뿌듯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광기는 "이 연극은 관계회복에 대한 이야기"라며 "2011년 공연 때 공연장에 들어올 때는 손을 안 잡고 들어오던 관객들이 연극을 보고 나갈 때는 연인이든 부부든 손을 잡고 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 뿌듯했다"고 소개했다.
조재현은 "굉장히 많은 연극이 상연되지만 국내 작가가 쓴 순수창작물이 지속적으로 장기 공연되는 것은 참 드물다고 생각해 '한번 해보자'는 뜻으로 시작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초연 준비를 하면서 관객들이 외면하면 어쩌나 고민도 많았는데 첫 공연날 가장 놀란 것은 배우들이었다"며 "초반에는 대부분 20, 30대 관객이었는데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장면에서 너무 재밌게 보고, 우는 것을 보고 놀랐고 그때의 힘으로 지금까지 앙코르 공연을 하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 작품은 우리 가슴을 일차적으로 툭 치는 우리들의 얘기"라며 "각기 다른 연령층, 남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연극"이라고 강조했다.
자체 공연장 수현재씨어터를 보유한 공연 제작사 '수현재컴퍼니'를 설립해 중장년층도 즐길 수 있는 작품을 무대에 올린 조재현은 "대학로가 10대, 20대의 노는 문화(장소)로만 자리하는 것이 아쉬웠는데 중장년층을 대학로에 불러모은다는 점에서는 1차적으로 성공했다고 생각한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그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다"며 "중장년이 즐길 수 있는 대중적 공연을 넘어 마니아층도 즐길 수 있는 공연도 필요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도전’ 조재현·임호·이광기, 연극서 다시 만난다
-
- 입력 2014-11-11 17:35:01

올해 상반기 최고의 성공작 드라마 '정도전'의 조재현·임호·이광기가 연말 연극 무대에서 다시 한번 뭉친다.
세 사람은 내달 12일부터 내년 3월1일까지 서울 대학로 수현재씨어터에서 상연되는 창작 연극 '민들레 바람되어'에 순정파 남편 안중기 역으로 출연한다.
2008년 초연한 '민들레 바람되어'는 살아 있는 남편이 아내 무덤을 찾아 남편과 아버지로서 삶을 고백하면서 죽은 아내와 대화한다는 독특한 구성을 취한 작품이다.
부부의 삶과 사랑, 가족의 이야기를 보편적으로 풀어내 초연 당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번 공연은 2009년, 2011년에 이은 세 번째 앙코르 무대다.
이번 작품 제작자이기도 조재현은 초연부터 줄곧 출연했고 이광기는 2011년에 이 역을 맡은 적이 있다. 임호는 이번에 새로 합류했다.
조재현은 11일 대학로 DCF 대명문화공장에서 열린 제작발표회에서 이번 캐스팅 배경에 대해 "드라마 '정도전'을 촬영하면서 임호, 이광기 씨와 함께 나오는 분량이 많아서 자연스럽게 연극 얘기를 하게 됐고 출연 제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임호 씨와는 원래 친했지만, 이번 드라마를 하면서 굉장히 돈독해져 '정도전'이 끝나도 같이 작업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며 "이광기 씨는 기회가 되면 또 한 번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제안했더니 흔쾌히 승낙했다"고 덧붙였다.
임호는 "작품을 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과연 관객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느냐'인데 대본을 보면서 내가 감동을 해서 꼭 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 "저희 세 사람이 한가지 역을 하게 되서 관객들은 보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저만이 잘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려내면 임호만의 안중기를 그릴 수 있을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번 작품은 세 사람의 공연을 다 봐야 제대로 본 것이라는 평이 나온다면 뿌듯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광기는 "이 연극은 관계회복에 대한 이야기"라며 "2011년 공연 때 공연장에 들어올 때는 손을 안 잡고 들어오던 관객들이 연극을 보고 나갈 때는 연인이든 부부든 손을 잡고 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 뿌듯했다"고 소개했다.
조재현은 "굉장히 많은 연극이 상연되지만 국내 작가가 쓴 순수창작물이 지속적으로 장기 공연되는 것은 참 드물다고 생각해 '한번 해보자'는 뜻으로 시작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초연 준비를 하면서 관객들이 외면하면 어쩌나 고민도 많았는데 첫 공연날 가장 놀란 것은 배우들이었다"며 "초반에는 대부분 20, 30대 관객이었는데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장면에서 너무 재밌게 보고, 우는 것을 보고 놀랐고 그때의 힘으로 지금까지 앙코르 공연을 하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 작품은 우리 가슴을 일차적으로 툭 치는 우리들의 얘기"라며 "각기 다른 연령층, 남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연극"이라고 강조했다.
자체 공연장 수현재씨어터를 보유한 공연 제작사 '수현재컴퍼니'를 설립해 중장년층도 즐길 수 있는 작품을 무대에 올린 조재현은 "대학로가 10대, 20대의 노는 문화(장소)로만 자리하는 것이 아쉬웠는데 중장년층을 대학로에 불러모은다는 점에서는 1차적으로 성공했다고 생각한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그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다"며 "중장년이 즐길 수 있는 대중적 공연을 넘어 마니아층도 즐길 수 있는 공연도 필요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