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세계는] “화성에 최소 수백만 년간 물 존재”
입력 2014.12.09 (21:35)
수정 2014.12.09 (22: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구와 가까운 행성 화성에 최소 수백만년간 물이 있었던것 같다고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가 밝혔습니다.
물이 있다는 건 생명체가 존재 할 수도 있다는 얘기인데요.
그렇다면 화성에 생물체가 살았던건 아닐까요.
보도에 정영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성 적도 부근의 게일 분화구입니다.
지난 2012년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는 이곳에 착륙해 토양 자료를 보내왔습니다.
정밀 분석 결과 이 게일 분화구에 대형 호수와 강이 있었다는게 나사 과학자들의 결론입니다.
분화구 주변 사진입니다.
평평하게 층진 암석은 호수 바닥에 충적물이 쌓일 때 생기는 전형적인 모습니다.
분화구 중앙에 솟은 높이 5킬로미터의 샤프 산은, 호수에 퇴적물이 오랜 기간 쌓여 형성됐다는 분석입니다.
<녹취> 어쉰 바사바다(나사 과학자) : "우리 팀의 지질학자들은 기울어진 사암층이 호수에 물이 흘러들어 오면서 퇴적물이 쌓여서 형성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화성에 수 백만년 혹은 수 천만년 동안 물이 있었다는 것은, 생명 존재의 가능성을 한층 높여주는 조건입니다.
나사는 물이 있던 시기를 35억년 전으로 추정했습니다.
<녹취> 어쉰 바사바다(나사 과학자) : "과거 화성에 존재한 것으로 보이는 물에 미생물이 살 수 있었을 지 여부를 추가 조사할 예정입니다"
나사는 탄생 초기 10억 년 동안은 지구와 화성의 자연 조건이 매우 유사했을 것이라며, 생명의 단서를 찾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영훈입니다.
지구와 가까운 행성 화성에 최소 수백만년간 물이 있었던것 같다고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가 밝혔습니다.
물이 있다는 건 생명체가 존재 할 수도 있다는 얘기인데요.
그렇다면 화성에 생물체가 살았던건 아닐까요.
보도에 정영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성 적도 부근의 게일 분화구입니다.
지난 2012년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는 이곳에 착륙해 토양 자료를 보내왔습니다.
정밀 분석 결과 이 게일 분화구에 대형 호수와 강이 있었다는게 나사 과학자들의 결론입니다.
분화구 주변 사진입니다.
평평하게 층진 암석은 호수 바닥에 충적물이 쌓일 때 생기는 전형적인 모습니다.
분화구 중앙에 솟은 높이 5킬로미터의 샤프 산은, 호수에 퇴적물이 오랜 기간 쌓여 형성됐다는 분석입니다.
<녹취> 어쉰 바사바다(나사 과학자) : "우리 팀의 지질학자들은 기울어진 사암층이 호수에 물이 흘러들어 오면서 퇴적물이 쌓여서 형성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화성에 수 백만년 혹은 수 천만년 동안 물이 있었다는 것은, 생명 존재의 가능성을 한층 높여주는 조건입니다.
나사는 물이 있던 시기를 35억년 전으로 추정했습니다.
<녹취> 어쉰 바사바다(나사 과학자) : "과거 화성에 존재한 것으로 보이는 물에 미생물이 살 수 있었을 지 여부를 추가 조사할 예정입니다"
나사는 탄생 초기 10억 년 동안은 지구와 화성의 자연 조건이 매우 유사했을 것이라며, 생명의 단서를 찾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영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금 세계는] “화성에 최소 수백만 년간 물 존재”
-
- 입력 2014-12-09 21:36:33
- 수정2014-12-09 22:33:07
<앵커 멘트>
지구와 가까운 행성 화성에 최소 수백만년간 물이 있었던것 같다고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가 밝혔습니다.
물이 있다는 건 생명체가 존재 할 수도 있다는 얘기인데요.
그렇다면 화성에 생물체가 살았던건 아닐까요.
보도에 정영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성 적도 부근의 게일 분화구입니다.
지난 2012년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는 이곳에 착륙해 토양 자료를 보내왔습니다.
정밀 분석 결과 이 게일 분화구에 대형 호수와 강이 있었다는게 나사 과학자들의 결론입니다.
분화구 주변 사진입니다.
평평하게 층진 암석은 호수 바닥에 충적물이 쌓일 때 생기는 전형적인 모습니다.
분화구 중앙에 솟은 높이 5킬로미터의 샤프 산은, 호수에 퇴적물이 오랜 기간 쌓여 형성됐다는 분석입니다.
<녹취> 어쉰 바사바다(나사 과학자) : "우리 팀의 지질학자들은 기울어진 사암층이 호수에 물이 흘러들어 오면서 퇴적물이 쌓여서 형성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화성에 수 백만년 혹은 수 천만년 동안 물이 있었다는 것은, 생명 존재의 가능성을 한층 높여주는 조건입니다.
나사는 물이 있던 시기를 35억년 전으로 추정했습니다.
<녹취> 어쉰 바사바다(나사 과학자) : "과거 화성에 존재한 것으로 보이는 물에 미생물이 살 수 있었을 지 여부를 추가 조사할 예정입니다"
나사는 탄생 초기 10억 년 동안은 지구와 화성의 자연 조건이 매우 유사했을 것이라며, 생명의 단서를 찾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영훈입니다.
지구와 가까운 행성 화성에 최소 수백만년간 물이 있었던것 같다고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가 밝혔습니다.
물이 있다는 건 생명체가 존재 할 수도 있다는 얘기인데요.
그렇다면 화성에 생물체가 살았던건 아닐까요.
보도에 정영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성 적도 부근의 게일 분화구입니다.
지난 2012년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는 이곳에 착륙해 토양 자료를 보내왔습니다.
정밀 분석 결과 이 게일 분화구에 대형 호수와 강이 있었다는게 나사 과학자들의 결론입니다.
분화구 주변 사진입니다.
평평하게 층진 암석은 호수 바닥에 충적물이 쌓일 때 생기는 전형적인 모습니다.
분화구 중앙에 솟은 높이 5킬로미터의 샤프 산은, 호수에 퇴적물이 오랜 기간 쌓여 형성됐다는 분석입니다.
<녹취> 어쉰 바사바다(나사 과학자) : "우리 팀의 지질학자들은 기울어진 사암층이 호수에 물이 흘러들어 오면서 퇴적물이 쌓여서 형성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화성에 수 백만년 혹은 수 천만년 동안 물이 있었다는 것은, 생명 존재의 가능성을 한층 높여주는 조건입니다.
나사는 물이 있던 시기를 35억년 전으로 추정했습니다.
<녹취> 어쉰 바사바다(나사 과학자) : "과거 화성에 존재한 것으로 보이는 물에 미생물이 살 수 있었을 지 여부를 추가 조사할 예정입니다"
나사는 탄생 초기 10억 년 동안은 지구와 화성의 자연 조건이 매우 유사했을 것이라며, 생명의 단서를 찾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영훈입니다.
-
-
정영훈 기자 jyh215@kbs.co.kr
정영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