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문화재’ 흉물로 방치…유지 관리 ‘나 몰라라’
입력 2014.12.12 (19:17)
수정 2014.12.12 (1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유서 깊은 근대 건축물을 문화유산으로 보호하자는 취지로 만든 '등록문화재' 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도만 만들어 놓고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도심 속 문화재들이 '흉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김민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용산에 있는 옛 철도병원입니다.
지난 2008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대표적 근대건축물입니다.
하지만 시민들은 문화재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박학수(서울 구로구) : "딱히 쓸모없는 건물, 폐건물 같은 느낌이요. 낙서 돼 있어서 딱히 신경 안 썼어요."
<인터뷰> 오마로(서울 용산구) : "지저분하단 생각 들었어요. 버려진 건물 (같아요).."
자세히 살펴보니 외벽 곳곳이 떨어져 나갔고, 건물 자재도 위태롭게 매달려 있습니다.
문화재임을 알려주는 안내판은 커녕, 이처럼 벽면 곳곳에는 스티커까지 덕지덕지 붙어있습니다.
서울의 또 다른 등록문화재.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일제강점기 시절 농업 배수펌프장이지만, 역시 건물 지붕과 벽이 금방 무너질 듯 낡았습니다,
개화기부터 6.25 전쟁 전후까지의 근대 건축물과 사료 등 가운데 문화재청이 보존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지난 10년동안 지정한 등록문화재는 600여 개에 달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사유 재산이어서 보존 조치를 강제할 방법이 없습니다.
<녹취> 문화재청 관계자(음성변조) : "소유자가 하지, 개인 집을 생각해도 문화재청이 그걸 관리를 다 해주는 건 아니거든요."
사유 재산이더라도 소유주와 상의해 보수 공사를 실시하는 등 문화재 보존을 위한 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행정이 아쉽습니다.
KBS 뉴스 김민지입니다.
유서 깊은 근대 건축물을 문화유산으로 보호하자는 취지로 만든 '등록문화재' 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도만 만들어 놓고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도심 속 문화재들이 '흉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김민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용산에 있는 옛 철도병원입니다.
지난 2008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대표적 근대건축물입니다.
하지만 시민들은 문화재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박학수(서울 구로구) : "딱히 쓸모없는 건물, 폐건물 같은 느낌이요. 낙서 돼 있어서 딱히 신경 안 썼어요."
<인터뷰> 오마로(서울 용산구) : "지저분하단 생각 들었어요. 버려진 건물 (같아요).."
자세히 살펴보니 외벽 곳곳이 떨어져 나갔고, 건물 자재도 위태롭게 매달려 있습니다.
문화재임을 알려주는 안내판은 커녕, 이처럼 벽면 곳곳에는 스티커까지 덕지덕지 붙어있습니다.
서울의 또 다른 등록문화재.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일제강점기 시절 농업 배수펌프장이지만, 역시 건물 지붕과 벽이 금방 무너질 듯 낡았습니다,
개화기부터 6.25 전쟁 전후까지의 근대 건축물과 사료 등 가운데 문화재청이 보존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지난 10년동안 지정한 등록문화재는 600여 개에 달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사유 재산이어서 보존 조치를 강제할 방법이 없습니다.
<녹취> 문화재청 관계자(음성변조) : "소유자가 하지, 개인 집을 생각해도 문화재청이 그걸 관리를 다 해주는 건 아니거든요."
사유 재산이더라도 소유주와 상의해 보수 공사를 실시하는 등 문화재 보존을 위한 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행정이 아쉽습니다.
KBS 뉴스 김민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등록 문화재’ 흉물로 방치…유지 관리 ‘나 몰라라’
-
- 입력 2014-12-12 19:21:02
- 수정2014-12-12 19:53:42

<앵커 멘트>
유서 깊은 근대 건축물을 문화유산으로 보호하자는 취지로 만든 '등록문화재' 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도만 만들어 놓고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도심 속 문화재들이 '흉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김민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용산에 있는 옛 철도병원입니다.
지난 2008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대표적 근대건축물입니다.
하지만 시민들은 문화재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박학수(서울 구로구) : "딱히 쓸모없는 건물, 폐건물 같은 느낌이요. 낙서 돼 있어서 딱히 신경 안 썼어요."
<인터뷰> 오마로(서울 용산구) : "지저분하단 생각 들었어요. 버려진 건물 (같아요).."
자세히 살펴보니 외벽 곳곳이 떨어져 나갔고, 건물 자재도 위태롭게 매달려 있습니다.
문화재임을 알려주는 안내판은 커녕, 이처럼 벽면 곳곳에는 스티커까지 덕지덕지 붙어있습니다.
서울의 또 다른 등록문화재.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일제강점기 시절 농업 배수펌프장이지만, 역시 건물 지붕과 벽이 금방 무너질 듯 낡았습니다,
개화기부터 6.25 전쟁 전후까지의 근대 건축물과 사료 등 가운데 문화재청이 보존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지난 10년동안 지정한 등록문화재는 600여 개에 달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사유 재산이어서 보존 조치를 강제할 방법이 없습니다.
<녹취> 문화재청 관계자(음성변조) : "소유자가 하지, 개인 집을 생각해도 문화재청이 그걸 관리를 다 해주는 건 아니거든요."
사유 재산이더라도 소유주와 상의해 보수 공사를 실시하는 등 문화재 보존을 위한 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행정이 아쉽습니다.
KBS 뉴스 김민지입니다.
유서 깊은 근대 건축물을 문화유산으로 보호하자는 취지로 만든 '등록문화재' 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도만 만들어 놓고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도심 속 문화재들이 '흉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김민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용산에 있는 옛 철도병원입니다.
지난 2008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대표적 근대건축물입니다.
하지만 시민들은 문화재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박학수(서울 구로구) : "딱히 쓸모없는 건물, 폐건물 같은 느낌이요. 낙서 돼 있어서 딱히 신경 안 썼어요."
<인터뷰> 오마로(서울 용산구) : "지저분하단 생각 들었어요. 버려진 건물 (같아요).."
자세히 살펴보니 외벽 곳곳이 떨어져 나갔고, 건물 자재도 위태롭게 매달려 있습니다.
문화재임을 알려주는 안내판은 커녕, 이처럼 벽면 곳곳에는 스티커까지 덕지덕지 붙어있습니다.
서울의 또 다른 등록문화재.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일제강점기 시절 농업 배수펌프장이지만, 역시 건물 지붕과 벽이 금방 무너질 듯 낡았습니다,
개화기부터 6.25 전쟁 전후까지의 근대 건축물과 사료 등 가운데 문화재청이 보존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지난 10년동안 지정한 등록문화재는 600여 개에 달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사유 재산이어서 보존 조치를 강제할 방법이 없습니다.
<녹취> 문화재청 관계자(음성변조) : "소유자가 하지, 개인 집을 생각해도 문화재청이 그걸 관리를 다 해주는 건 아니거든요."
사유 재산이더라도 소유주와 상의해 보수 공사를 실시하는 등 문화재 보존을 위한 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행정이 아쉽습니다.
KBS 뉴스 김민지입니다.
-
-
김민지 기자 ming@kbs.co.kr
김민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