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지다'(삐치다), '딴지'(딴죽), '개기다'(개개다),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등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됐음에도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하던 어휘들이 표준어 반열에 추가로 올랐다.
국립국어원은 이같은 어휘 13개 항목을 표준어로 인정한다는 내용의 '2014년 표준어 추가 사정안'을 발표하고 인터넷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이를 반영했다고 15일 밝혔다.
표준으로 추가 인정된 13개 항목은 ▲ 기존 표준어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달라 별도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로 나뉜다.
전자는 '삐지다'(삐치다) '눈두덩이'(눈두덩) '구안와사'(구안괘사) '초장초'(작장초) '굽신'(굽실) 등 5개다.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표준어 규정에 따라 기존 표준어(괄호 안)와 새 표준어 모두 교과서나 공문서에 쓸 수 있다.
특히 '굽실'과 더불어 '굽신'도 표준어로 쓸 수 있게 된 만큼 이 단어를 사용한 '굽신거리다' '굽신대다' '굽신굽신' 등도 함께 표준어로 인정됐다.
별도 표준어로 인정된 항목은 '개기다'(개개다) '꼬시다'(꾀다) '놀잇감'(장난감) '딴지'(딴죽) '사그라들다'(사그라지다) '섬�'(섬뜩) '속앓이'(속병)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등 8개다.
일례로 기존 표준어 '개개다'는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라는 뜻인 반면 '개기다'는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라는 뜻의 속된 표현이어서 복수 표준어가 아닌 별도 표준어로 인정했다.
'섬�'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섬뜩'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섭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으로 언뜻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섬�'의 느낌이 한층 강하다는 것이 국어원의 설명이다.
역시 '섬�'의 표준어 인정에 따라 '섬�하다' '섬�섬�' '섬�섬�하다' 등도 표준어로 함께 인정됐다.
한편 국어원은 'RADAR'의 한글 표기인 '레이더'는 원어 발음이 'ar'로 끝나는 점을 반영, '레이다'를 새로운 기본 표기로 인정하되 지금까지 써 온 '레이더'도 관용 표기로 함께 인정키로 했다.
국립국어원은 이같은 어휘 13개 항목을 표준어로 인정한다는 내용의 '2014년 표준어 추가 사정안'을 발표하고 인터넷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이를 반영했다고 15일 밝혔다.
표준으로 추가 인정된 13개 항목은 ▲ 기존 표준어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달라 별도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로 나뉜다.
전자는 '삐지다'(삐치다) '눈두덩이'(눈두덩) '구안와사'(구안괘사) '초장초'(작장초) '굽신'(굽실) 등 5개다.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표준어 규정에 따라 기존 표준어(괄호 안)와 새 표준어 모두 교과서나 공문서에 쓸 수 있다.
특히 '굽실'과 더불어 '굽신'도 표준어로 쓸 수 있게 된 만큼 이 단어를 사용한 '굽신거리다' '굽신대다' '굽신굽신' 등도 함께 표준어로 인정됐다.
별도 표준어로 인정된 항목은 '개기다'(개개다) '꼬시다'(꾀다) '놀잇감'(장난감) '딴지'(딴죽) '사그라들다'(사그라지다) '섬�'(섬뜩) '속앓이'(속병)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등 8개다.
일례로 기존 표준어 '개개다'는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라는 뜻인 반면 '개기다'는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라는 뜻의 속된 표현이어서 복수 표준어가 아닌 별도 표준어로 인정했다.
'섬�'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섬뜩'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섭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으로 언뜻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섬�'의 느낌이 한층 강하다는 것이 국어원의 설명이다.
역시 '섬�'의 표준어 인정에 따라 '섬�하다' '섬�섬�' '섬�섬�하다' 등도 표준어로 함께 인정됐다.
한편 국어원은 'RADAR'의 한글 표기인 '레이더'는 원어 발음이 'ar'로 끝나는 점을 반영, '레이다'를 새로운 기본 표기로 인정하되 지금까지 써 온 '레이더'도 관용 표기로 함께 인정키로 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립국어원 ‘개기다’ ‘딴지’ ‘허접하다’ 표준어 인정
-
- 입력 2014-12-15 10:33:37
'삐지다'(삐치다), '딴지'(딴죽), '개기다'(개개다),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등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됐음에도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하던 어휘들이 표준어 반열에 추가로 올랐다.
국립국어원은 이같은 어휘 13개 항목을 표준어로 인정한다는 내용의 '2014년 표준어 추가 사정안'을 발표하고 인터넷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이를 반영했다고 15일 밝혔다.
표준으로 추가 인정된 13개 항목은 ▲ 기존 표준어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달라 별도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로 나뉜다.
전자는 '삐지다'(삐치다) '눈두덩이'(눈두덩) '구안와사'(구안괘사) '초장초'(작장초) '굽신'(굽실) 등 5개다.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표준어 규정에 따라 기존 표준어(괄호 안)와 새 표준어 모두 교과서나 공문서에 쓸 수 있다.
특히 '굽실'과 더불어 '굽신'도 표준어로 쓸 수 있게 된 만큼 이 단어를 사용한 '굽신거리다' '굽신대다' '굽신굽신' 등도 함께 표준어로 인정됐다.
별도 표준어로 인정된 항목은 '개기다'(개개다) '꼬시다'(꾀다) '놀잇감'(장난감) '딴지'(딴죽) '사그라들다'(사그라지다) '섬�'(섬뜩) '속앓이'(속병)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등 8개다.
일례로 기존 표준어 '개개다'는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라는 뜻인 반면 '개기다'는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라는 뜻의 속된 표현이어서 복수 표준어가 아닌 별도 표준어로 인정했다.
'섬�'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섬뜩'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섭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으로 언뜻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섬�'의 느낌이 한층 강하다는 것이 국어원의 설명이다.
역시 '섬�'의 표준어 인정에 따라 '섬�하다' '섬�섬�' '섬�섬�하다' 등도 표준어로 함께 인정됐다.
한편 국어원은 'RADAR'의 한글 표기인 '레이더'는 원어 발음이 'ar'로 끝나는 점을 반영, '레이다'를 새로운 기본 표기로 인정하되 지금까지 써 온 '레이더'도 관용 표기로 함께 인정키로 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