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겉도는 ‘호스피스’ 정책…활성화 대책은?

입력 2014.12.22 (21:16) 수정 2014.12.22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말기 암환자 3명 중 2명이 인공호흡기 등에 의한 연명치료로 고통스럽게 생명을 연장하다가 임종을 맞습니다.

품위있는 죽음을 맞을 수 있게 하는 등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총체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호스피스인데요

이런 호스피스 정책이 11년째 겉돌고 있습니다.

먼저 갈곳 없는 말기 암 환자들의 고통을 박광식 의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빅5’ 병원 중 한곳만 설치…갈 곳 없는 말기암 환자▼

<리포트>

<녹취> "가장 행복했던 추억을 꼽으라면 이 시간인 것 같아요."

<녹취> "진심으로 사랑하고 아이들 기억속에 밝게 웃는 모습으로 남길..."

최근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무의미한 항암치료 대신, 몸과 마음의 고통을 줄여주는 호스피스를 선택한 말기암 환자들이 가족과 사랑을 확인하며 '품격있는 죽음'을 맞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부분 말기암 환자들에게는 낯선 모습입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60대 폐암 말기 환자가 항암 치료를 위해 사흘째 응급실에서 대기 중입니다.

<녹취> 폐암환자(음성변조) : "지금 내가 마음이 불안해서 힘들지…."

대부분의 환자는 치료에 대한 가능성을 포기하지 못하고 입·퇴원을 반복하다가 급기야 연명 치료 장비를 몸에 단 채로 임종을 맞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뷰> 말기 암환자 보호자 : "완전히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잖아요."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의 숨지기 직전 한 달 진료비는 평균 천 4백만 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선택한 환자보다 2.5배 높습니다.

하지만 호스피스 치료를 받고 싶어도 입원조차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실제로 서울의 한 호스피스 병동의 경우, 대기 환자가 삼십 명이 넘습니다.

<인터뷰> 이용주(서울성모병원 완화의학과 교수) : "(호스피스) 진입장벽이 높다는 것은 호스피스 의료기관이 주위에 이용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사실 편중되어있거나 없는 기관이 많고..."

암 사망자는 한해 7만여 명, 말기암환자와 가족들은 정작 갈 곳이 없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겉도는 호스피스 정책 ▼

<기자 멘트>

호스피스 병동은 사망 직전에 들어가는 임종 환자만을 위한 시설이 아닙니다.

완치 가능성은 없지만, 통증이나 부작용이 심한 말기 암 환자가 통증 조절 등을 통해 남은 생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곳입니다.

지난해 국내 암 사망자 중 호스피스 시설을 이용한 사람은 12.7%에 불과합니다.

미국, 일본, 대만 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입니다.

호스피스 병상이 전국에 54개 병원, 868개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애초 2015년까지 2500개의 호스피스 병상을 마련하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목표의 1/3밖에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지금은 아예 목표를 낮춰 2020년까지 1400개의 호스피스 병상을 만들 계획입니다.

복지부는 지난 11년간 '호스피스를 늘리거나 지원하겠다'는 보도자료를 25차례나 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호스피스는 제도로 정착되지 못했습니다.

시범사업만 두 번 했을 뿐 아직 건강보험 수가도 정하지 못했기 때문인데요, 정부는 내년 7월부터 건강보험을 적용하겠다며 이제야 호스피스 수가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병원도 소극적이긴 마찬가집니다.

암 환자가 많은 서울 대형병원 5곳 중 호스피스 병상이 있는 병원은 한 곳에 불과합니다.

그럼 호스피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화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호스피스’ 활성화하려면? ▼

<리포트>

한 민간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병동.

13병상에 의료진과 음악 치료사, 사회복지사 등 50여 명의 인력이 환자와 가족을 지원합니다.

<인터뷰> 환자 보호자 : "무섭기도 하고 여러 가지 그랬거든요. 막상 들어와서 보니까 오히려 마음도 편했고…."

지난해 적자는 3억 5천만 원.

건강보험 등의 지원 제도가 없다 보니 민간 의료기관이 호스피스 병동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기가 어렵습니다.

<인터뷰> 최윤선(고려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완화의료센터장) : "필수 인력이 활동하는데 인건비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 진료에 전념할 수 없고 다른 쪽으로 후원회를 결성해야하고..."

복지부가 내년 하반기부터 건강보험을 적용한다지만 포괄적 돌봄 서비스 등에 대해 실효성 있는 수가가 적용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인터뷰> 손영래(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 : "시범수가에서도 비급여 의료비가 꽤 많거든요. 그런 환자들의 의료비는 대폭 줄여주고 선택진료도 좀 없애고 그런식으로 바꾸려고..."

미국의 경우 1986년부터 의료보험인 '메디케어'에서 호스피스를 전면 급여화하는 등 연방과 주 정부가 대부분 비용을 보조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부가 호스피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시급히 지원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터뷰> 윤영호(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부학장) : "호스피스에 열정을 가지고 일하는 분들이 다 지쳐있어요. 재정적 지원,법률적 체계,(후원)재단 이런것들의 행정적인 마무리가 돼야하고..."

또, 의료진이 방문 치료하는 가정호스피스 제도 도입 등도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화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겉도는 ‘호스피스’ 정책…활성화 대책은?
    • 입력 2014-12-22 21:18:31
    • 수정2014-12-22 21:56:18
    뉴스 9
<기자 멘트>

말기 암환자 3명 중 2명이 인공호흡기 등에 의한 연명치료로 고통스럽게 생명을 연장하다가 임종을 맞습니다.

품위있는 죽음을 맞을 수 있게 하는 등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총체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호스피스인데요

이런 호스피스 정책이 11년째 겉돌고 있습니다.

먼저 갈곳 없는 말기 암 환자들의 고통을 박광식 의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빅5’ 병원 중 한곳만 설치…갈 곳 없는 말기암 환자▼

<리포트>

<녹취> "가장 행복했던 추억을 꼽으라면 이 시간인 것 같아요."

<녹취> "진심으로 사랑하고 아이들 기억속에 밝게 웃는 모습으로 남길..."

최근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무의미한 항암치료 대신, 몸과 마음의 고통을 줄여주는 호스피스를 선택한 말기암 환자들이 가족과 사랑을 확인하며 '품격있는 죽음'을 맞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부분 말기암 환자들에게는 낯선 모습입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60대 폐암 말기 환자가 항암 치료를 위해 사흘째 응급실에서 대기 중입니다.

<녹취> 폐암환자(음성변조) : "지금 내가 마음이 불안해서 힘들지…."

대부분의 환자는 치료에 대한 가능성을 포기하지 못하고 입·퇴원을 반복하다가 급기야 연명 치료 장비를 몸에 단 채로 임종을 맞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뷰> 말기 암환자 보호자 : "완전히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잖아요."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의 숨지기 직전 한 달 진료비는 평균 천 4백만 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선택한 환자보다 2.5배 높습니다.

하지만 호스피스 치료를 받고 싶어도 입원조차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실제로 서울의 한 호스피스 병동의 경우, 대기 환자가 삼십 명이 넘습니다.

<인터뷰> 이용주(서울성모병원 완화의학과 교수) : "(호스피스) 진입장벽이 높다는 것은 호스피스 의료기관이 주위에 이용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사실 편중되어있거나 없는 기관이 많고..."

암 사망자는 한해 7만여 명, 말기암환자와 가족들은 정작 갈 곳이 없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겉도는 호스피스 정책 ▼

<기자 멘트>

호스피스 병동은 사망 직전에 들어가는 임종 환자만을 위한 시설이 아닙니다.

완치 가능성은 없지만, 통증이나 부작용이 심한 말기 암 환자가 통증 조절 등을 통해 남은 생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곳입니다.

지난해 국내 암 사망자 중 호스피스 시설을 이용한 사람은 12.7%에 불과합니다.

미국, 일본, 대만 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입니다.

호스피스 병상이 전국에 54개 병원, 868개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애초 2015년까지 2500개의 호스피스 병상을 마련하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목표의 1/3밖에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지금은 아예 목표를 낮춰 2020년까지 1400개의 호스피스 병상을 만들 계획입니다.

복지부는 지난 11년간 '호스피스를 늘리거나 지원하겠다'는 보도자료를 25차례나 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호스피스는 제도로 정착되지 못했습니다.

시범사업만 두 번 했을 뿐 아직 건강보험 수가도 정하지 못했기 때문인데요, 정부는 내년 7월부터 건강보험을 적용하겠다며 이제야 호스피스 수가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병원도 소극적이긴 마찬가집니다.

암 환자가 많은 서울 대형병원 5곳 중 호스피스 병상이 있는 병원은 한 곳에 불과합니다.

그럼 호스피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화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호스피스’ 활성화하려면? ▼

<리포트>

한 민간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병동.

13병상에 의료진과 음악 치료사, 사회복지사 등 50여 명의 인력이 환자와 가족을 지원합니다.

<인터뷰> 환자 보호자 : "무섭기도 하고 여러 가지 그랬거든요. 막상 들어와서 보니까 오히려 마음도 편했고…."

지난해 적자는 3억 5천만 원.

건강보험 등의 지원 제도가 없다 보니 민간 의료기관이 호스피스 병동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기가 어렵습니다.

<인터뷰> 최윤선(고려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완화의료센터장) : "필수 인력이 활동하는데 인건비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 진료에 전념할 수 없고 다른 쪽으로 후원회를 결성해야하고..."

복지부가 내년 하반기부터 건강보험을 적용한다지만 포괄적 돌봄 서비스 등에 대해 실효성 있는 수가가 적용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인터뷰> 손영래(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 : "시범수가에서도 비급여 의료비가 꽤 많거든요. 그런 환자들의 의료비는 대폭 줄여주고 선택진료도 좀 없애고 그런식으로 바꾸려고..."

미국의 경우 1986년부터 의료보험인 '메디케어'에서 호스피스를 전면 급여화하는 등 연방과 주 정부가 대부분 비용을 보조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부가 호스피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시급히 지원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터뷰> 윤영호(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부학장) : "호스피스에 열정을 가지고 일하는 분들이 다 지쳐있어요. 재정적 지원,법률적 체계,(후원)재단 이런것들의 행정적인 마무리가 돼야하고..."

또, 의료진이 방문 치료하는 가정호스피스 제도 도입 등도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화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