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 만드는 ‘자활 기업’으로 빈곤 탈출
입력 2015.01.20 (12:42)
수정 2015.01.20 (14: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생활이 어려운 주민들이 직접 자활 기업을 만들어 홀로 서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자활 노력과 더불어 제품 홍보와 판로 확보 등 경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진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초생활수급자인 박찬이 씨가 고장난 자전거를 고치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지난 7년 동안 자전거를 수리하는 자활 근로 사업에 참여해 1급 정비 자격증까지 땄습니다.
최근에는 처지가 비슷한 주민과 힘을 모아 자전거 가게를 열었습니다.
<인터뷰> 박찬이(자활 기업 대표) : "돈을 많이 버는 거죠. 애들 크기 전에. 나중에 시집도 보내야 하고 장가도 보내기 위해서 돈 많이 벌어야죠."
한지로 전등을 만드는 손길이 분주합니다.
생활이 어려운 주민 2명이 만든 한지 공예품 제작 업쳅니다.
정성껏 만든 제품을 팔아 가난에서 벗어나는 게 목푭니다.
<인터뷰> 최준범(전주시 사회적경제사업담당) : "자활 기업을 통해서 이 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도 제공되고, 안정적인 소득도 창출할 수 있는 기대 효과도 발생하고 있고…."
전국의 자활 기업은 의료와 건축, 정비, 보육 분야 등 천3백 개가 넘습니다.
자활 노력과 더불어 제품 홍보와 판로 확보 등 경영 지원이 성패를 좌우합니다.
<인터뷰> 김정은(전주 덕진지역자활센터 기획실장) : "우선 구매를 한다든가 사회적 경제 부분에서 많이 사용할 수 있고 홍보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홀로 서기를 통해 새로운 희망을 찾으려는 자활 기업이 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진휘입니다.
생활이 어려운 주민들이 직접 자활 기업을 만들어 홀로 서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자활 노력과 더불어 제품 홍보와 판로 확보 등 경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진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초생활수급자인 박찬이 씨가 고장난 자전거를 고치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지난 7년 동안 자전거를 수리하는 자활 근로 사업에 참여해 1급 정비 자격증까지 땄습니다.
최근에는 처지가 비슷한 주민과 힘을 모아 자전거 가게를 열었습니다.
<인터뷰> 박찬이(자활 기업 대표) : "돈을 많이 버는 거죠. 애들 크기 전에. 나중에 시집도 보내야 하고 장가도 보내기 위해서 돈 많이 벌어야죠."
한지로 전등을 만드는 손길이 분주합니다.
생활이 어려운 주민 2명이 만든 한지 공예품 제작 업쳅니다.
정성껏 만든 제품을 팔아 가난에서 벗어나는 게 목푭니다.
<인터뷰> 최준범(전주시 사회적경제사업담당) : "자활 기업을 통해서 이 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도 제공되고, 안정적인 소득도 창출할 수 있는 기대 효과도 발생하고 있고…."
전국의 자활 기업은 의료와 건축, 정비, 보육 분야 등 천3백 개가 넘습니다.
자활 노력과 더불어 제품 홍보와 판로 확보 등 경영 지원이 성패를 좌우합니다.
<인터뷰> 김정은(전주 덕진지역자활센터 기획실장) : "우선 구매를 한다든가 사회적 경제 부분에서 많이 사용할 수 있고 홍보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홀로 서기를 통해 새로운 희망을 찾으려는 자활 기업이 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진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희망 만드는 ‘자활 기업’으로 빈곤 탈출
-
- 입력 2015-01-20 12:43:05
- 수정2015-01-20 14:45:53

<앵커 멘트>
생활이 어려운 주민들이 직접 자활 기업을 만들어 홀로 서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자활 노력과 더불어 제품 홍보와 판로 확보 등 경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진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초생활수급자인 박찬이 씨가 고장난 자전거를 고치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지난 7년 동안 자전거를 수리하는 자활 근로 사업에 참여해 1급 정비 자격증까지 땄습니다.
최근에는 처지가 비슷한 주민과 힘을 모아 자전거 가게를 열었습니다.
<인터뷰> 박찬이(자활 기업 대표) : "돈을 많이 버는 거죠. 애들 크기 전에. 나중에 시집도 보내야 하고 장가도 보내기 위해서 돈 많이 벌어야죠."
한지로 전등을 만드는 손길이 분주합니다.
생활이 어려운 주민 2명이 만든 한지 공예품 제작 업쳅니다.
정성껏 만든 제품을 팔아 가난에서 벗어나는 게 목푭니다.
<인터뷰> 최준범(전주시 사회적경제사업담당) : "자활 기업을 통해서 이 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도 제공되고, 안정적인 소득도 창출할 수 있는 기대 효과도 발생하고 있고…."
전국의 자활 기업은 의료와 건축, 정비, 보육 분야 등 천3백 개가 넘습니다.
자활 노력과 더불어 제품 홍보와 판로 확보 등 경영 지원이 성패를 좌우합니다.
<인터뷰> 김정은(전주 덕진지역자활센터 기획실장) : "우선 구매를 한다든가 사회적 경제 부분에서 많이 사용할 수 있고 홍보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홀로 서기를 통해 새로운 희망을 찾으려는 자활 기업이 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진휘입니다.
생활이 어려운 주민들이 직접 자활 기업을 만들어 홀로 서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자활 노력과 더불어 제품 홍보와 판로 확보 등 경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진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초생활수급자인 박찬이 씨가 고장난 자전거를 고치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지난 7년 동안 자전거를 수리하는 자활 근로 사업에 참여해 1급 정비 자격증까지 땄습니다.
최근에는 처지가 비슷한 주민과 힘을 모아 자전거 가게를 열었습니다.
<인터뷰> 박찬이(자활 기업 대표) : "돈을 많이 버는 거죠. 애들 크기 전에. 나중에 시집도 보내야 하고 장가도 보내기 위해서 돈 많이 벌어야죠."
한지로 전등을 만드는 손길이 분주합니다.
생활이 어려운 주민 2명이 만든 한지 공예품 제작 업쳅니다.
정성껏 만든 제품을 팔아 가난에서 벗어나는 게 목푭니다.
<인터뷰> 최준범(전주시 사회적경제사업담당) : "자활 기업을 통해서 이 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도 제공되고, 안정적인 소득도 창출할 수 있는 기대 효과도 발생하고 있고…."
전국의 자활 기업은 의료와 건축, 정비, 보육 분야 등 천3백 개가 넘습니다.
자활 노력과 더불어 제품 홍보와 판로 확보 등 경영 지원이 성패를 좌우합니다.
<인터뷰> 김정은(전주 덕진지역자활센터 기획실장) : "우선 구매를 한다든가 사회적 경제 부분에서 많이 사용할 수 있고 홍보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홀로 서기를 통해 새로운 희망을 찾으려는 자활 기업이 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진휘입니다.
-
-
유진휘 기자 yujh@kbs.co.kr
유진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