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조직위, 국내 분산 개최 없다…총력체제

입력 2015.01.20 (14: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창 조직위원회가 국내 분산 개최도 없다며, 이제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해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곽영진 평창 조직위 기획행정 부위원장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테스트 이벤트까지 시간이 촉박한만큼, 현재 계획된 경기장에서 올림픽을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곽영진 부위원장은 "개폐회식장 확정 과정에서 보듯, 분산 개최 논의는 효율성과 지역정서 사이에서 큰 혼란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며 이제는 중심을 잡고 움직여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평창 조직위는 현재 경기장 사후활용 방안과 3단계 조직개편 등 인력충원, 스폰서 유치 문제를 중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평창 조직위는 다음달 9일 평창올림픽 D-3년 행사를 개최한 뒤, 오는 5월 개폐회식 총감독 임명, 12월 마스코트 확정 등 대회준비에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평창 조직위, 국내 분산 개최 없다…총력체제
    • 입력 2015-01-20 14:24:35
    종합
평창 조직위원회가 국내 분산 개최도 없다며, 이제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해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곽영진 평창 조직위 기획행정 부위원장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테스트 이벤트까지 시간이 촉박한만큼, 현재 계획된 경기장에서 올림픽을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곽영진 부위원장은 "개폐회식장 확정 과정에서 보듯, 분산 개최 논의는 효율성과 지역정서 사이에서 큰 혼란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며 이제는 중심을 잡고 움직여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평창 조직위는 현재 경기장 사후활용 방안과 3단계 조직개편 등 인력충원, 스폰서 유치 문제를 중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평창 조직위는 다음달 9일 평창올림픽 D-3년 행사를 개최한 뒤, 오는 5월 개폐회식 총감독 임명, 12월 마스코트 확정 등 대회준비에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