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찰청, 작년 하반기 치안만족도 최하위 수준

입력 2015.01.21 (05: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하반기 치안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서울지방경찰청이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수사·형사 분야에서는 서울경찰청이 1년째 꼴찌를 면치 못했다.

21일 경찰청 고객만족 모니터센터의 지난해 하반기 치안고객만족도 조사 결과를 보면 서울경찰청의 만족도 점수는 76.8점으로, 16개 지방경찰청 가운데 15위를 기록했다.

전북경찰청이 1위, 부산경찰청 2위, 충남경찰청이 3위를 차지했고, 최하위는 광주경찰청이었다.

이번 조사는 112신고처리, 수사·형사, 교통사고조사, 민원 등 4개 분야에서 치안서비스를 받아본 고객 3만 1천6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서울경찰청은 2011년 상반기 16위, 2011년 하반기 15위, 2012년 상반기 16위, 2012년 하반기 15위, 2013년 상반기 16위, 2013년 하반기 14위, 2014년 상반기 13위에 이어 이번에 15위로 수년째 최하위권을 맴돌았다.

서울이 대도시로서 치안수요가 많고 업무강도가 높아 고객만족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지만 대도시권인 부산경찰청이 2011년 상반기 13위에서 지난해 하반기 2위로 대폭 상승한 사례를 보면 꼭 그렇게만 볼 수도 없다.

분야별로 보면 수사·형사 분야에서 서울경찰청의 만족도는 62.4점으로 전국 지방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16위에 이어 1년째 꼴찌를 이어갔다.

특히 사건 처리의 신속성(51.7점), 성의 있는 사건 처리(56.7점), 사건 처리의 전문성(57.8점)에서 좋은 점수를 받지 못했다.

교통사고조사 분야에서도 서울경찰청은 14위로 최하위권 수준을 보였다.

서울경찰청은 112신고처리에서는 74.7점의 만족도 점수를 기록, 중상위권인 6위에 올랐다.

4대 분야 중 전체 평균보다 점수가 높은 유일한 분야다.

서울경찰청은 112신고처리 분야에서 2013년 하반기 14위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상반기 2위로 단숨에 도약한뒤 이번에 6위로 다소 처졌다.

서울경찰청은 '신속출동 체계 고도화'를 추진해 지난해 상반기 좋은 점수를 얻었으나 이 제도가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되면서 순위가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민원 분야에서 서울경찰청은 9위로 중위권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경찰청은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경찰청의 '경찰고객 만족모델 매뉴얼'을 활용, 일선 경찰서별로 고객만족 업무를 자체적으로 진단·분석한 후 개선방안을 강구하도록 할 방침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경찰청, 작년 하반기 치안만족도 최하위 수준
    • 입력 2015-01-21 05:58:02
    연합뉴스
지난해 하반기 치안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서울지방경찰청이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수사·형사 분야에서는 서울경찰청이 1년째 꼴찌를 면치 못했다. 21일 경찰청 고객만족 모니터센터의 지난해 하반기 치안고객만족도 조사 결과를 보면 서울경찰청의 만족도 점수는 76.8점으로, 16개 지방경찰청 가운데 15위를 기록했다. 전북경찰청이 1위, 부산경찰청 2위, 충남경찰청이 3위를 차지했고, 최하위는 광주경찰청이었다. 이번 조사는 112신고처리, 수사·형사, 교통사고조사, 민원 등 4개 분야에서 치안서비스를 받아본 고객 3만 1천6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서울경찰청은 2011년 상반기 16위, 2011년 하반기 15위, 2012년 상반기 16위, 2012년 하반기 15위, 2013년 상반기 16위, 2013년 하반기 14위, 2014년 상반기 13위에 이어 이번에 15위로 수년째 최하위권을 맴돌았다. 서울이 대도시로서 치안수요가 많고 업무강도가 높아 고객만족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지만 대도시권인 부산경찰청이 2011년 상반기 13위에서 지난해 하반기 2위로 대폭 상승한 사례를 보면 꼭 그렇게만 볼 수도 없다. 분야별로 보면 수사·형사 분야에서 서울경찰청의 만족도는 62.4점으로 전국 지방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16위에 이어 1년째 꼴찌를 이어갔다. 특히 사건 처리의 신속성(51.7점), 성의 있는 사건 처리(56.7점), 사건 처리의 전문성(57.8점)에서 좋은 점수를 받지 못했다. 교통사고조사 분야에서도 서울경찰청은 14위로 최하위권 수준을 보였다. 서울경찰청은 112신고처리에서는 74.7점의 만족도 점수를 기록, 중상위권인 6위에 올랐다. 4대 분야 중 전체 평균보다 점수가 높은 유일한 분야다. 서울경찰청은 112신고처리 분야에서 2013년 하반기 14위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상반기 2위로 단숨에 도약한뒤 이번에 6위로 다소 처졌다. 서울경찰청은 '신속출동 체계 고도화'를 추진해 지난해 상반기 좋은 점수를 얻었으나 이 제도가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되면서 순위가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민원 분야에서 서울경찰청은 9위로 중위권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경찰청은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경찰청의 '경찰고객 만족모델 매뉴얼'을 활용, 일선 경찰서별로 고객만족 업무를 자체적으로 진단·분석한 후 개선방안을 강구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