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후] “죽을 때만 기다리는 것 같아요”…보험사 ‘꼼수’는?
입력 2015.01.21 (09: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갑작스런 사고로 반신불수 된 가장…‘보험금 못줘’
경북 포항의 한 요양병원을 찾은 건 1월 14일이었습니다. 엘리베이터를 내려 들어선 병실엔 10여 분의 어르신들이 모여 계셨습니다. 혼자 힘으로는 몸을 가눌 수 없는 반신불수, 장해 1급이신 분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취재진이 만난 62살 이00 선생님은 어느날 불의의 사고를 당했습니다. 다른 곳도 아닌, 집안에서 화장실에 가던 중 미끄러졌습니다. 머리를 크게 다쳤고, 뇌출혈로 두개골을 절개하는 큰 수술을 했습니다. 하지만, 건강을 되찾을 수는 없었습니다. 그렇게 6개월이 흘렀고, 담당의사는 장해 1급 판정을 내렸습니다. '중추신경계에 장해를 남겨 평생토록 항상 간호를 받아야하는 상태'라고 했습니다.
경황없던 나날이 흘러 정신을 추스린 가족들은 의사의 진단를 토대로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했습니다. 그러나 청천벽력같은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유일하게 믿었던 보험사에서 보험금을 지급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갑작스런 사고로 가장은 반혼수상태에 빠졌고, 수술비와 병원비에 생활고에 시달리던 가족들, 그렇지 않아도 고통스러운 이들을 더욱 힘겹게 만든 보험사, 왜 그랬을까요. 그 꼼수는 뭘까요?
■ “상태가 너무 위중하셔서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잖아요”
가족들이 처음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한 건 약 5달 전인 8월 25일입니다. 당시 보험사는 이 씨가 폐렴을 앓는 등 위중한 상태여서 장해가 고정됐다고 볼수 없다며 보험금을 줄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1년 뒤에 다시 청구해봐라, 하지만 그때도 줄지 안줄지는 알수 없다며 애매한 답변을 내놨습니다. 이어 여러 차례 보험금을 달라고 요청했지만 거부당하자 가족들은 손해사정사를 찾아가 상담했습니다. 손해사정사가 나서 보험금을 다시 청구했지만 여전히 묵묵부답이었습니다. 이번에도 보험사는 이 씨가 열이 나면서 항생제를 쓰고 있어 장해로 보기 무리가 있다며 6개월 정도 더 두고보자고만 했습니다. 그럼 치료가 끝나면 지급이 되냐는 물음에 '정확히 답할 수는 없고, 그 때 상태를 보고 다시한번 평가하는 건 가능할 것 같다'는 애매한 말만 거듭했습니다. 심지어 여명이 많이 짧으신 분을 상대로 장해를 평가하면 안된다고 나와있다고까지 했습니다. 즉, 언제 죽을지 모르니 장해등급을 판정해줄 수 없다는 이야기였습니다.
■ 약관 위반…보험사 ‘꼼수’는?
이 씨가 보험에 가입한 건 15년 전인 1999년이었습니다. 당시 약관을 보면, '재해일로부터 180일이 되는 날의 의사 진단에 기초하여 고정될 것으로 인정되는 상태를 장해상태의 등급으로 결정한다'고 돼 있습니다. 또, 서류를 접수한 날로부터 3일 이내에 보험금을 지급하거나, 지급사유의 조사나 확인이 필요한 때에는 접수 후 10일 이내에 보험금을 지급하도록 돼 있습니다. 즉, 보험사의 약관 위반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약관을 위반해도 금융당국은 보험사에 별다른 처벌을 내리지 않아온 게 현실입니다. 그러니 약관 위반은 보험사 입장에선 적발이 되더라고 그다지 두려움의 대상은 아닙니다. 보험사가 다섯달 가까이 보험금 지급을 미뤄온 이유, 가족들과 금융소비자 단체는 꼼수가 숨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돌아가시기를 기다리는 것 같아요”…소비자 상대로 ‘사기’
"차일피일 미루는 게 돌아가시기를 기다리는 것 같더라고요. 일단 보험금 차이가 엄청나게 나니까"
가족들은 보험사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보험금 지급을 미루는 건 보험금을 덜 주려는 꼼수라고 주장합니다. 실제, 가족이 청구한 장해 보험금은 재해장해 연금과 활동보장자금 등 모두 4억 원이 넘습니다. 하지만 가입자가 숨졌을 때 지급되는 사망보험금은 4천 3백만 원. 1/10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보험사는 가족들이 손해사정인을 선임하자 보험금을 30% 깎자며 협상까지 시도해왔습니다.
이에 대해 금융소비자연맹은 '생명보험은 정액보험으로 약관상 지급해야 마땅하면 100% 지급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주지 않는 것인데 보험금 삭감을 협상하려는 것은 보험 소비자를 상대로 한 사기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보험금이 워낙 차이가 나다보니 보험사들이 장해 1급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고 사망보험금을 주려하는 경우가 많다며 강력하게 처벌해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 뒤늦게 ‘지급’ 결정…보험만족도 ‘꼴찌’ 탈피해야
KBS가 취재에 들어가자 보험사는 뒤늦게 입장을 바꿨습니다.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보험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담당자들은 가족들을 찾아가 사과했고. 한쪽에서는 뉴스 보도를 막아달라는 요청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가족들은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보험사 측은 전체 그룹 차원에서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즉시 검사에 착수했습니다. 부당한 지급거절과 지연이 확인되는 즉시 강력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습니다. (어떻게 처리하는지 지켜볼 일입니다.)
우리나라는 GDP 대비 보험료 지출 세계 1위입니다. 그러나 보험만족도는 꼴찌인 것이 우리의 자화상입니다. 2015년 새해부터 왜 우리가 보험만족도 꼴찌일 수 밖에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게 돼 씁쓸함을 감출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민낯이 보험선진국으로 더 빨리 나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구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진정 보험 소비자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제재와 대책이 마련되길 기대해봅니다.
☞ 다시보기 <뉴스9> [단독] 장해 보상 대신 사망보험금?…보험사 ‘꼼수’
경북 포항의 한 요양병원을 찾은 건 1월 14일이었습니다. 엘리베이터를 내려 들어선 병실엔 10여 분의 어르신들이 모여 계셨습니다. 혼자 힘으로는 몸을 가눌 수 없는 반신불수, 장해 1급이신 분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취재진이 만난 62살 이00 선생님은 어느날 불의의 사고를 당했습니다. 다른 곳도 아닌, 집안에서 화장실에 가던 중 미끄러졌습니다. 머리를 크게 다쳤고, 뇌출혈로 두개골을 절개하는 큰 수술을 했습니다. 하지만, 건강을 되찾을 수는 없었습니다. 그렇게 6개월이 흘렀고, 담당의사는 장해 1급 판정을 내렸습니다. '중추신경계에 장해를 남겨 평생토록 항상 간호를 받아야하는 상태'라고 했습니다.
경황없던 나날이 흘러 정신을 추스린 가족들은 의사의 진단를 토대로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했습니다. 그러나 청천벽력같은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유일하게 믿었던 보험사에서 보험금을 지급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갑작스런 사고로 가장은 반혼수상태에 빠졌고, 수술비와 병원비에 생활고에 시달리던 가족들, 그렇지 않아도 고통스러운 이들을 더욱 힘겹게 만든 보험사, 왜 그랬을까요. 그 꼼수는 뭘까요?
■ “상태가 너무 위중하셔서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잖아요”
가족들이 처음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한 건 약 5달 전인 8월 25일입니다. 당시 보험사는 이 씨가 폐렴을 앓는 등 위중한 상태여서 장해가 고정됐다고 볼수 없다며 보험금을 줄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1년 뒤에 다시 청구해봐라, 하지만 그때도 줄지 안줄지는 알수 없다며 애매한 답변을 내놨습니다. 이어 여러 차례 보험금을 달라고 요청했지만 거부당하자 가족들은 손해사정사를 찾아가 상담했습니다. 손해사정사가 나서 보험금을 다시 청구했지만 여전히 묵묵부답이었습니다. 이번에도 보험사는 이 씨가 열이 나면서 항생제를 쓰고 있어 장해로 보기 무리가 있다며 6개월 정도 더 두고보자고만 했습니다. 그럼 치료가 끝나면 지급이 되냐는 물음에 '정확히 답할 수는 없고, 그 때 상태를 보고 다시한번 평가하는 건 가능할 것 같다'는 애매한 말만 거듭했습니다. 심지어 여명이 많이 짧으신 분을 상대로 장해를 평가하면 안된다고 나와있다고까지 했습니다. 즉, 언제 죽을지 모르니 장해등급을 판정해줄 수 없다는 이야기였습니다.
■ 약관 위반…보험사 ‘꼼수’는?
이 씨가 보험에 가입한 건 15년 전인 1999년이었습니다. 당시 약관을 보면, '재해일로부터 180일이 되는 날의 의사 진단에 기초하여 고정될 것으로 인정되는 상태를 장해상태의 등급으로 결정한다'고 돼 있습니다. 또, 서류를 접수한 날로부터 3일 이내에 보험금을 지급하거나, 지급사유의 조사나 확인이 필요한 때에는 접수 후 10일 이내에 보험금을 지급하도록 돼 있습니다. 즉, 보험사의 약관 위반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약관을 위반해도 금융당국은 보험사에 별다른 처벌을 내리지 않아온 게 현실입니다. 그러니 약관 위반은 보험사 입장에선 적발이 되더라고 그다지 두려움의 대상은 아닙니다. 보험사가 다섯달 가까이 보험금 지급을 미뤄온 이유, 가족들과 금융소비자 단체는 꼼수가 숨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돌아가시기를 기다리는 것 같아요”…소비자 상대로 ‘사기’
"차일피일 미루는 게 돌아가시기를 기다리는 것 같더라고요. 일단 보험금 차이가 엄청나게 나니까"
가족들은 보험사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보험금 지급을 미루는 건 보험금을 덜 주려는 꼼수라고 주장합니다. 실제, 가족이 청구한 장해 보험금은 재해장해 연금과 활동보장자금 등 모두 4억 원이 넘습니다. 하지만 가입자가 숨졌을 때 지급되는 사망보험금은 4천 3백만 원. 1/10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보험사는 가족들이 손해사정인을 선임하자 보험금을 30% 깎자며 협상까지 시도해왔습니다.
이에 대해 금융소비자연맹은 '생명보험은 정액보험으로 약관상 지급해야 마땅하면 100% 지급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주지 않는 것인데 보험금 삭감을 협상하려는 것은 보험 소비자를 상대로 한 사기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보험금이 워낙 차이가 나다보니 보험사들이 장해 1급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고 사망보험금을 주려하는 경우가 많다며 강력하게 처벌해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 뒤늦게 ‘지급’ 결정…보험만족도 ‘꼴찌’ 탈피해야
KBS가 취재에 들어가자 보험사는 뒤늦게 입장을 바꿨습니다.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보험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담당자들은 가족들을 찾아가 사과했고. 한쪽에서는 뉴스 보도를 막아달라는 요청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가족들은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보험사 측은 전체 그룹 차원에서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즉시 검사에 착수했습니다. 부당한 지급거절과 지연이 확인되는 즉시 강력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습니다. (어떻게 처리하는지 지켜볼 일입니다.)
우리나라는 GDP 대비 보험료 지출 세계 1위입니다. 그러나 보험만족도는 꼴찌인 것이 우리의 자화상입니다. 2015년 새해부터 왜 우리가 보험만족도 꼴찌일 수 밖에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게 돼 씁쓸함을 감출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민낯이 보험선진국으로 더 빨리 나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구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진정 보험 소비자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제재와 대책이 마련되길 기대해봅니다.
☞ 다시보기 <뉴스9> [단독] 장해 보상 대신 사망보험금?…보험사 ‘꼼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후] “죽을 때만 기다리는 것 같아요”…보험사 ‘꼼수’는?
-
- 입력 2015-01-21 09:34:38
■ 갑작스런 사고로 반신불수 된 가장…‘보험금 못줘’
경북 포항의 한 요양병원을 찾은 건 1월 14일이었습니다. 엘리베이터를 내려 들어선 병실엔 10여 분의 어르신들이 모여 계셨습니다. 혼자 힘으로는 몸을 가눌 수 없는 반신불수, 장해 1급이신 분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취재진이 만난 62살 이00 선생님은 어느날 불의의 사고를 당했습니다. 다른 곳도 아닌, 집안에서 화장실에 가던 중 미끄러졌습니다. 머리를 크게 다쳤고, 뇌출혈로 두개골을 절개하는 큰 수술을 했습니다. 하지만, 건강을 되찾을 수는 없었습니다. 그렇게 6개월이 흘렀고, 담당의사는 장해 1급 판정을 내렸습니다. '중추신경계에 장해를 남겨 평생토록 항상 간호를 받아야하는 상태'라고 했습니다.
경황없던 나날이 흘러 정신을 추스린 가족들은 의사의 진단를 토대로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했습니다. 그러나 청천벽력같은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유일하게 믿었던 보험사에서 보험금을 지급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갑작스런 사고로 가장은 반혼수상태에 빠졌고, 수술비와 병원비에 생활고에 시달리던 가족들, 그렇지 않아도 고통스러운 이들을 더욱 힘겹게 만든 보험사, 왜 그랬을까요. 그 꼼수는 뭘까요?
■ “상태가 너무 위중하셔서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잖아요”
가족들이 처음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한 건 약 5달 전인 8월 25일입니다. 당시 보험사는 이 씨가 폐렴을 앓는 등 위중한 상태여서 장해가 고정됐다고 볼수 없다며 보험금을 줄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1년 뒤에 다시 청구해봐라, 하지만 그때도 줄지 안줄지는 알수 없다며 애매한 답변을 내놨습니다. 이어 여러 차례 보험금을 달라고 요청했지만 거부당하자 가족들은 손해사정사를 찾아가 상담했습니다. 손해사정사가 나서 보험금을 다시 청구했지만 여전히 묵묵부답이었습니다. 이번에도 보험사는 이 씨가 열이 나면서 항생제를 쓰고 있어 장해로 보기 무리가 있다며 6개월 정도 더 두고보자고만 했습니다. 그럼 치료가 끝나면 지급이 되냐는 물음에 '정확히 답할 수는 없고, 그 때 상태를 보고 다시한번 평가하는 건 가능할 것 같다'는 애매한 말만 거듭했습니다. 심지어 여명이 많이 짧으신 분을 상대로 장해를 평가하면 안된다고 나와있다고까지 했습니다. 즉, 언제 죽을지 모르니 장해등급을 판정해줄 수 없다는 이야기였습니다.
■ 약관 위반…보험사 ‘꼼수’는?
이 씨가 보험에 가입한 건 15년 전인 1999년이었습니다. 당시 약관을 보면, '재해일로부터 180일이 되는 날의 의사 진단에 기초하여 고정될 것으로 인정되는 상태를 장해상태의 등급으로 결정한다'고 돼 있습니다. 또, 서류를 접수한 날로부터 3일 이내에 보험금을 지급하거나, 지급사유의 조사나 확인이 필요한 때에는 접수 후 10일 이내에 보험금을 지급하도록 돼 있습니다. 즉, 보험사의 약관 위반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약관을 위반해도 금융당국은 보험사에 별다른 처벌을 내리지 않아온 게 현실입니다. 그러니 약관 위반은 보험사 입장에선 적발이 되더라고 그다지 두려움의 대상은 아닙니다. 보험사가 다섯달 가까이 보험금 지급을 미뤄온 이유, 가족들과 금융소비자 단체는 꼼수가 숨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돌아가시기를 기다리는 것 같아요”…소비자 상대로 ‘사기’
"차일피일 미루는 게 돌아가시기를 기다리는 것 같더라고요. 일단 보험금 차이가 엄청나게 나니까"
가족들은 보험사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보험금 지급을 미루는 건 보험금을 덜 주려는 꼼수라고 주장합니다. 실제, 가족이 청구한 장해 보험금은 재해장해 연금과 활동보장자금 등 모두 4억 원이 넘습니다. 하지만 가입자가 숨졌을 때 지급되는 사망보험금은 4천 3백만 원. 1/10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보험사는 가족들이 손해사정인을 선임하자 보험금을 30% 깎자며 협상까지 시도해왔습니다.
이에 대해 금융소비자연맹은 '생명보험은 정액보험으로 약관상 지급해야 마땅하면 100% 지급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주지 않는 것인데 보험금 삭감을 협상하려는 것은 보험 소비자를 상대로 한 사기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보험금이 워낙 차이가 나다보니 보험사들이 장해 1급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고 사망보험금을 주려하는 경우가 많다며 강력하게 처벌해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 뒤늦게 ‘지급’ 결정…보험만족도 ‘꼴찌’ 탈피해야
KBS가 취재에 들어가자 보험사는 뒤늦게 입장을 바꿨습니다.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보험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담당자들은 가족들을 찾아가 사과했고. 한쪽에서는 뉴스 보도를 막아달라는 요청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가족들은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보험사 측은 전체 그룹 차원에서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즉시 검사에 착수했습니다. 부당한 지급거절과 지연이 확인되는 즉시 강력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습니다. (어떻게 처리하는지 지켜볼 일입니다.)
우리나라는 GDP 대비 보험료 지출 세계 1위입니다. 그러나 보험만족도는 꼴찌인 것이 우리의 자화상입니다. 2015년 새해부터 왜 우리가 보험만족도 꼴찌일 수 밖에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게 돼 씁쓸함을 감출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민낯이 보험선진국으로 더 빨리 나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구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진정 보험 소비자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제재와 대책이 마련되길 기대해봅니다.
☞ 다시보기 <뉴스9> [단독] 장해 보상 대신 사망보험금?…보험사 ‘꼼수’
-
-
공아영 기자 gong@kbs.co.kr
공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