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 토종 여우, 절반이 밀렵에 희생
입력 2015.01.21 (12:28)
수정 2015.01.21 (14: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소백산에 방사된 멸종위기종 토종 여우들이 밀렵에 희생당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방사한 여우의 절반 이상이 밀렵으로 죽었습니다.
부상 당한 여우의 눈에 비친 밀렵의 심각함을 이동환 기자가 구성해 봤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이동식 우리를 벗어나 저는 친구 9명과 함께 자연의 품에 안겼습니다.
훈련장에서 태어나 야생 적응훈련을 받은뒤 1년 만이었습니다.
하지만 자연에서의 즐거움은 석 달도 가지 못했습니다.
먹이를 구하다 밀렵꾼들이 쳐 놓은 덫에 걸려든 겁니다.
저와 친구는 다리가 부러진 채 훈련장에 실려왔습니다.
<인터뷰> 정동혁(센터장) : "다리 뼈가 골절되고 근육 조직 이라 든지 주변 조직들이 상당히 오염되고.."
야생에서 카메라를 만났다면 본능적으로 으러렁 거렸을테지만 지금은 몸을 가눌 힘 조차 없습니다.
우리안에 머물다가 가끔 훈련장에서 재활치료를 받지만 다리 하나가 없어 걷는 것 조차 고통스럽습니다.
훈련장으로 실려오고 나서 며칠 뒤 비보가 들려왔습니다.
함께 숲에서 살았던 친구 2명이 독극물을 먹었다는 겁니다.
2012년 이후 숲에 방사된 친구 18명 중 12명이 인간들의 탐욕에 희생당했습니다.
<인터뷰> 박보환(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 : "대부분이 국립공원 바깥에서 죽는 경우라..."
오늘 사람들이 숲속 여기저기 깔린 밀렵 도구를 대대적으로 제거했습니다.
다시는 우리와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KBS 뉴스 이동환입니다.
소백산에 방사된 멸종위기종 토종 여우들이 밀렵에 희생당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방사한 여우의 절반 이상이 밀렵으로 죽었습니다.
부상 당한 여우의 눈에 비친 밀렵의 심각함을 이동환 기자가 구성해 봤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이동식 우리를 벗어나 저는 친구 9명과 함께 자연의 품에 안겼습니다.
훈련장에서 태어나 야생 적응훈련을 받은뒤 1년 만이었습니다.
하지만 자연에서의 즐거움은 석 달도 가지 못했습니다.
먹이를 구하다 밀렵꾼들이 쳐 놓은 덫에 걸려든 겁니다.
저와 친구는 다리가 부러진 채 훈련장에 실려왔습니다.
<인터뷰> 정동혁(센터장) : "다리 뼈가 골절되고 근육 조직 이라 든지 주변 조직들이 상당히 오염되고.."
야생에서 카메라를 만났다면 본능적으로 으러렁 거렸을테지만 지금은 몸을 가눌 힘 조차 없습니다.
우리안에 머물다가 가끔 훈련장에서 재활치료를 받지만 다리 하나가 없어 걷는 것 조차 고통스럽습니다.
훈련장으로 실려오고 나서 며칠 뒤 비보가 들려왔습니다.
함께 숲에서 살았던 친구 2명이 독극물을 먹었다는 겁니다.
2012년 이후 숲에 방사된 친구 18명 중 12명이 인간들의 탐욕에 희생당했습니다.
<인터뷰> 박보환(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 : "대부분이 국립공원 바깥에서 죽는 경우라..."
오늘 사람들이 숲속 여기저기 깔린 밀렵 도구를 대대적으로 제거했습니다.
다시는 우리와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KBS 뉴스 이동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사’ 토종 여우, 절반이 밀렵에 희생
-
- 입력 2015-01-21 12:30:37
- 수정2015-01-21 14:27:42

<앵커 멘트>
소백산에 방사된 멸종위기종 토종 여우들이 밀렵에 희생당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방사한 여우의 절반 이상이 밀렵으로 죽었습니다.
부상 당한 여우의 눈에 비친 밀렵의 심각함을 이동환 기자가 구성해 봤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이동식 우리를 벗어나 저는 친구 9명과 함께 자연의 품에 안겼습니다.
훈련장에서 태어나 야생 적응훈련을 받은뒤 1년 만이었습니다.
하지만 자연에서의 즐거움은 석 달도 가지 못했습니다.
먹이를 구하다 밀렵꾼들이 쳐 놓은 덫에 걸려든 겁니다.
저와 친구는 다리가 부러진 채 훈련장에 실려왔습니다.
<인터뷰> 정동혁(센터장) : "다리 뼈가 골절되고 근육 조직 이라 든지 주변 조직들이 상당히 오염되고.."
야생에서 카메라를 만났다면 본능적으로 으러렁 거렸을테지만 지금은 몸을 가눌 힘 조차 없습니다.
우리안에 머물다가 가끔 훈련장에서 재활치료를 받지만 다리 하나가 없어 걷는 것 조차 고통스럽습니다.
훈련장으로 실려오고 나서 며칠 뒤 비보가 들려왔습니다.
함께 숲에서 살았던 친구 2명이 독극물을 먹었다는 겁니다.
2012년 이후 숲에 방사된 친구 18명 중 12명이 인간들의 탐욕에 희생당했습니다.
<인터뷰> 박보환(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 : "대부분이 국립공원 바깥에서 죽는 경우라..."
오늘 사람들이 숲속 여기저기 깔린 밀렵 도구를 대대적으로 제거했습니다.
다시는 우리와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KBS 뉴스 이동환입니다.
소백산에 방사된 멸종위기종 토종 여우들이 밀렵에 희생당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방사한 여우의 절반 이상이 밀렵으로 죽었습니다.
부상 당한 여우의 눈에 비친 밀렵의 심각함을 이동환 기자가 구성해 봤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이동식 우리를 벗어나 저는 친구 9명과 함께 자연의 품에 안겼습니다.
훈련장에서 태어나 야생 적응훈련을 받은뒤 1년 만이었습니다.
하지만 자연에서의 즐거움은 석 달도 가지 못했습니다.
먹이를 구하다 밀렵꾼들이 쳐 놓은 덫에 걸려든 겁니다.
저와 친구는 다리가 부러진 채 훈련장에 실려왔습니다.
<인터뷰> 정동혁(센터장) : "다리 뼈가 골절되고 근육 조직 이라 든지 주변 조직들이 상당히 오염되고.."
야생에서 카메라를 만났다면 본능적으로 으러렁 거렸을테지만 지금은 몸을 가눌 힘 조차 없습니다.
우리안에 머물다가 가끔 훈련장에서 재활치료를 받지만 다리 하나가 없어 걷는 것 조차 고통스럽습니다.
훈련장으로 실려오고 나서 며칠 뒤 비보가 들려왔습니다.
함께 숲에서 살았던 친구 2명이 독극물을 먹었다는 겁니다.
2012년 이후 숲에 방사된 친구 18명 중 12명이 인간들의 탐욕에 희생당했습니다.
<인터뷰> 박보환(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 : "대부분이 국립공원 바깥에서 죽는 경우라..."
오늘 사람들이 숲속 여기저기 깔린 밀렵 도구를 대대적으로 제거했습니다.
다시는 우리와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KBS 뉴스 이동환입니다.
-
-
이동환 기자 leedong@kbs.co.kr
이동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