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문화] 편하게 들읍시다! ‘하우스콘서트’ 인기

입력 2015.01.30 (21:43) 수정 2015.01.30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주말엔 문화 시간입니다.

'하우스 콘서트'라고 들어보셨나요?

연주회장이 아니라 집이나 작은 강당에서 편안하게 감상하는 클래식 콘서트인데요.

연주자와 관객이 더 가까워졌습니다.

박대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작은 강당 바닥에 앉은 관객 사이로 연주자가 입장합니다.

겨우 서너 발짝 앞, 가까운 거리에서 소리의 향연이 펼쳐집니다.

저마다 편안한 자세로 음악에 빠져듭니다.

<인터뷰> 최미숙(경기도 시흥시) : "이렇게 가깝게 들어본 것은 처음인 것 같아요. 그게 제일 좋았어요."

<녹취> "여러 나라에서 조금씩 다른 형태로..."

중간 중간 악기와 음악에 대한 설명이 이어집니다.

연주회 뒤엔 보기 어려웠던 악기를 가까이서 살펴보기도 하고, 연주자와 관객이 함께 어울려 음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인터뷰> 정수경(포르테 피아노 연주자) : "관객들이랑 이야기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하우스콘서트에선 잘 열려있어가지고 연주하고 싶었던 것 같아요."

하우스 콘서트는 몇몇 클래식 애호가들의 집에서 시작돼 이젠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국 300개 이상의 단체가 정기적으로 연주회를 열 정도로 인기입니다.

입장료는 1~2만 원 정도로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인터뷰> 박창수('하우스 콘서트' 기획자) : "어떤 이윤을 추구할 수 있는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또 연주자들이 이해를 하기 때문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죠."

하우스 콘서트는 인터넷 동호회나 지역 문예회관을 통해 참여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말&문화] 편하게 들읍시다! ‘하우스콘서트’ 인기
    • 입력 2015-01-30 21:56:37
    • 수정2015-01-30 22:08:00
    뉴스 9
<앵커 멘트>

주말엔 문화 시간입니다.

'하우스 콘서트'라고 들어보셨나요?

연주회장이 아니라 집이나 작은 강당에서 편안하게 감상하는 클래식 콘서트인데요.

연주자와 관객이 더 가까워졌습니다.

박대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작은 강당 바닥에 앉은 관객 사이로 연주자가 입장합니다.

겨우 서너 발짝 앞, 가까운 거리에서 소리의 향연이 펼쳐집니다.

저마다 편안한 자세로 음악에 빠져듭니다.

<인터뷰> 최미숙(경기도 시흥시) : "이렇게 가깝게 들어본 것은 처음인 것 같아요. 그게 제일 좋았어요."

<녹취> "여러 나라에서 조금씩 다른 형태로..."

중간 중간 악기와 음악에 대한 설명이 이어집니다.

연주회 뒤엔 보기 어려웠던 악기를 가까이서 살펴보기도 하고, 연주자와 관객이 함께 어울려 음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인터뷰> 정수경(포르테 피아노 연주자) : "관객들이랑 이야기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하우스콘서트에선 잘 열려있어가지고 연주하고 싶었던 것 같아요."

하우스 콘서트는 몇몇 클래식 애호가들의 집에서 시작돼 이젠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국 300개 이상의 단체가 정기적으로 연주회를 열 정도로 인기입니다.

입장료는 1~2만 원 정도로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인터뷰> 박창수('하우스 콘서트' 기획자) : "어떤 이윤을 추구할 수 있는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또 연주자들이 이해를 하기 때문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죠."

하우스 콘서트는 인터넷 동호회나 지역 문예회관을 통해 참여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