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자급률 5년 만에 최고…수입 물량 더하면 과잉 ‘비상’

입력 2015.02.02 (06:54) 수정 2015.02.02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벼 작황호조로 올해 쌀 자급률은 5년만에 최고인 97%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국내 쌀 소비량의 9%에 해당하는 의무수입물량(MMA)까지 더하면 공급량이 소비량보다 6%가량 많아 쌀이 남아도는 현상이 불가피한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가 쌀 소비 진작을 위한 밥심캠페인 등 쌀소비가 더는 줄어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서는 등 비상이 걸렸다.

2일 농식품부 등에 따르면 2015년 양곡연도(2014년 11월∼2015년 10월) 쌀 자급률을 잠정 추산한 결과 97%까지 올라가는 등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쌀 공급과잉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4년 쌀 생산량이 424만1천t으로 전년의 423만t보다 1만1천t(0.3%) 늘어난데다 쌀 소비는 점점 더 줄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소비가 주는 바람에 자급률이 높아지는 셈이다.

실제로 작년 1인당 연간 쌀소비량이 65.1㎏으로 전년보다 2.1㎏(3.1%) 줄어드는 등 30년째 감소해 사상최저로 떨어졌다. 가구부문 하루 1인당 소비가 178.2g으로 밥 한 공기를 100g으로 가정하면 하루에 두 공기도 안 먹는다는 뜻이다.

지난해 쌀 자급률도 1인당 쌀소비가 줄어드는 바람에 애초 예상했던 92%보다 높은 95%로 더 높아질 것으로 관측됐다.

민간농업연구기관인 GS&J 인스티튜트에 따르면 산지 쌀값도 작년보다 더 빠르게 하락해 지난 15일 현재 80㎏당 16만2천680원까지 떨어졌다. 이는 2012년 9월25일 (16만776원)이후 최저치이며 지난해 1월 15일(17만2천988원)보다는 6.0%(1만308원)나 하락한 것이다.

이처럼 쌀가격이 하락하면 농가 수입안정을 위한 정부의 변동직불금 지급부담도 커진다. 올해는 이 같은 쌀값 하락으로 4년만에 처음으로 1천930억원 변동직불금을 지급한다.

쌀값이 떨어지면 쌀 생산기반이 무너지게 돼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식량수급 확보에 차질이 예상되는 만큼, 농식품부는 '맛있는 밥, 간편한 밥, 건강한 밥'을 주제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범국민 '밤심' 캠페인을 전개할 계획이다.

또 소비자단체 등과 연계해 밥알이 살아있고 윤기가 흐르는 맛있는 밥을 파는 식당을 발굴해 소개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식량산업과 전한영 과장은 "즉석밥, 컵밥, 삼각김밥 등 바쁜 현대인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간편한 밥에 대한 홍보 지원도 강화하는 등 올해를 '쌀 소비 감소율 제로(0)'의 해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쌀 자급률 5년 만에 최고…수입 물량 더하면 과잉 ‘비상’
    • 입력 2015-02-02 06:54:35
    • 수정2015-02-02 07:57:20
    연합뉴스
지난해 벼 작황호조로 올해 쌀 자급률은 5년만에 최고인 97%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국내 쌀 소비량의 9%에 해당하는 의무수입물량(MMA)까지 더하면 공급량이 소비량보다 6%가량 많아 쌀이 남아도는 현상이 불가피한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가 쌀 소비 진작을 위한 밥심캠페인 등 쌀소비가 더는 줄어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서는 등 비상이 걸렸다.

2일 농식품부 등에 따르면 2015년 양곡연도(2014년 11월∼2015년 10월) 쌀 자급률을 잠정 추산한 결과 97%까지 올라가는 등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쌀 공급과잉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4년 쌀 생산량이 424만1천t으로 전년의 423만t보다 1만1천t(0.3%) 늘어난데다 쌀 소비는 점점 더 줄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소비가 주는 바람에 자급률이 높아지는 셈이다.

실제로 작년 1인당 연간 쌀소비량이 65.1㎏으로 전년보다 2.1㎏(3.1%) 줄어드는 등 30년째 감소해 사상최저로 떨어졌다. 가구부문 하루 1인당 소비가 178.2g으로 밥 한 공기를 100g으로 가정하면 하루에 두 공기도 안 먹는다는 뜻이다.

지난해 쌀 자급률도 1인당 쌀소비가 줄어드는 바람에 애초 예상했던 92%보다 높은 95%로 더 높아질 것으로 관측됐다.

민간농업연구기관인 GS&J 인스티튜트에 따르면 산지 쌀값도 작년보다 더 빠르게 하락해 지난 15일 현재 80㎏당 16만2천680원까지 떨어졌다. 이는 2012년 9월25일 (16만776원)이후 최저치이며 지난해 1월 15일(17만2천988원)보다는 6.0%(1만308원)나 하락한 것이다.

이처럼 쌀가격이 하락하면 농가 수입안정을 위한 정부의 변동직불금 지급부담도 커진다. 올해는 이 같은 쌀값 하락으로 4년만에 처음으로 1천930억원 변동직불금을 지급한다.

쌀값이 떨어지면 쌀 생산기반이 무너지게 돼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식량수급 확보에 차질이 예상되는 만큼, 농식품부는 '맛있는 밥, 간편한 밥, 건강한 밥'을 주제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범국민 '밤심' 캠페인을 전개할 계획이다.

또 소비자단체 등과 연계해 밥알이 살아있고 윤기가 흐르는 맛있는 밥을 파는 식당을 발굴해 소개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식량산업과 전한영 과장은 "즉석밥, 컵밥, 삼각김밥 등 바쁜 현대인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간편한 밥에 대한 홍보 지원도 강화하는 등 올해를 '쌀 소비 감소율 제로(0)'의 해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