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1차 북핵 위기 ‘러시아 압박’ 주효” 문서 발굴

입력 2015.02.17 (21:17) 수정 2015.02.17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광복 70주년, 분단 70주년을 맞아 KBS는 미국의 외교·안보 분야 전문연구소인 윌슨 센터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한반도 현대사 관련 사료를 본격적으로 발굴하기 시작했습니다.

KBS는 특히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남북한 관련 외교 사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9시 뉴스와 특집프로그램 등을 통해 집중 보도해드릴 예정입니다.

오늘은 첫 순서로 러시아 외교문서를 소개합니다.

1990년대 1차 북핵 위기 당시, 북한이 핵 포기를 합의할 수 있었던 데는, 러시아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워싱턴 이강덕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991년 9월 손성필 러시아 주재 북한 대사를 만난 쿠나제 러시아 외교부 차관은 북한이 IAEA, 국제원자력기구와 즉각 핵안전 조치 협정을 체결할 것을 요구합니다.

미국 윌슨 센터가 발굴한 당시 러시아 외교문서는 북한이, 한국에 배치된 미국 핵무기 철수나 주한미군 기지 사찰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러시아 정부가 일축했음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쿠나제 차관은 다음달에는 러시아 주재 중국 대사를 만나 북한이 핵안전 조치 협정을 무조건 체결할 수 있도록 중국 정부도 영향력을 행사해달라고 요청했고 마침내 북한은 1992년 1월 협정에 서명합니다.

1993년 북한의 핵확산 방지협약 NPT 탈퇴로 북핵 위기가 고조되자 러시아의 대북한 압박은 더욱 강화됩니다.

러시아 외교부는 북한이 NPT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핵관련 협력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최고회의 위원장에게 보고합니다.

한해전인 92년 한국을 방문한 옐친 대통령이 북한과 맺은 전시 자동개입 조약을 폐기하겠다고 밝힌 데 이은 추가적 압박조치입니다.

당시 외교문서들은 한국이 제공하기로 한 경협 차관 이외에도 북한을 싫어하는 옐친 대통령의 개인 성향이 대북한 압박 외교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습니다.

이제는 북한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는 점에서 북핵 해결을 위한 대러 외교의 중요성을 외교문서들은 새삼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강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1차 북핵 위기 ‘러시아 압박’ 주효” 문서 발굴
    • 입력 2015-02-17 21:18:01
    • 수정2015-02-17 22:01:44
    뉴스 9
<앵커 멘트>

광복 70주년, 분단 70주년을 맞아 KBS는 미국의 외교·안보 분야 전문연구소인 윌슨 센터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한반도 현대사 관련 사료를 본격적으로 발굴하기 시작했습니다.

KBS는 특히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남북한 관련 외교 사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9시 뉴스와 특집프로그램 등을 통해 집중 보도해드릴 예정입니다.

오늘은 첫 순서로 러시아 외교문서를 소개합니다.

1990년대 1차 북핵 위기 당시, 북한이 핵 포기를 합의할 수 있었던 데는, 러시아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워싱턴 이강덕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991년 9월 손성필 러시아 주재 북한 대사를 만난 쿠나제 러시아 외교부 차관은 북한이 IAEA, 국제원자력기구와 즉각 핵안전 조치 협정을 체결할 것을 요구합니다.

미국 윌슨 센터가 발굴한 당시 러시아 외교문서는 북한이, 한국에 배치된 미국 핵무기 철수나 주한미군 기지 사찰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러시아 정부가 일축했음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쿠나제 차관은 다음달에는 러시아 주재 중국 대사를 만나 북한이 핵안전 조치 협정을 무조건 체결할 수 있도록 중국 정부도 영향력을 행사해달라고 요청했고 마침내 북한은 1992년 1월 협정에 서명합니다.

1993년 북한의 핵확산 방지협약 NPT 탈퇴로 북핵 위기가 고조되자 러시아의 대북한 압박은 더욱 강화됩니다.

러시아 외교부는 북한이 NPT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핵관련 협력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최고회의 위원장에게 보고합니다.

한해전인 92년 한국을 방문한 옐친 대통령이 북한과 맺은 전시 자동개입 조약을 폐기하겠다고 밝힌 데 이은 추가적 압박조치입니다.

당시 외교문서들은 한국이 제공하기로 한 경협 차관 이외에도 북한을 싫어하는 옐친 대통령의 개인 성향이 대북한 압박 외교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습니다.

이제는 북한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는 점에서 북핵 해결을 위한 대러 외교의 중요성을 외교문서들은 새삼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강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