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② 장밋빛 수요 예측…“타당성 검토 부실”

입력 2015.02.24 (21:16) 수정 2015.02.24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정부는 이런 카지노 복합리조트를 올해 2곳 정도 추가 조성할 계획입니다.

계속 늘고 있는 중국인 관광객을 겨냥한 건데, 사업 타당성 연구조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어서 이영섭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추가 조성키로 확정되는 카지노 복합 리조트는 2곳 내외, 투자 규모는 각각 1조원 정도입니다.

오는 2025년엔 수도권에 6곳까지 가능하다는게 정부의 계산입니다.

정부가 4억원을 들인 사업 타당성 연구조사 결과인데 적정 수요 산정 등에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부는 복합리조트가 섬지역에 조성될 경우 2020년의 리조트 방문 내국인 총량을 연간 2천만명으로 잡은 것으로 확인됐는데, 실제 영종도에 2조원대 투자를 추진중인 한 복합리조트는 2023년이 돼도 860만명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외국인 카지노 입장객도 정부는 63만여명인 반면, 인천발전연구원의 중립적 평균예측치는 40만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박홍근(의원/교육문화체육관광위회원) : "정부의 적정 수요 산출이 장미빛 낙관에만 기대어서 너무나 과도하게 비현실적으로 산출됐다 라는 우려가 솔직히 있습니다."

정보 보고서엔 또 카지노 관광에 부정적인 중국의 반부패 정책과 주변국의 카지노 개설 영향 등 위험 요인은 분석되지 않았습니다.

<녹취> 서원석(경희대 복합리조트 게이밍 연구센터장) : "우리나라에 만들어지는 복합리조트 역시도 중국의 정책에 의해서 굉장히 타격을 받을 수도 있는 그런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부는 적정수요 산출은 10% 초.중반의 요구수익률을 맞추기 위한 수치이며 중국 등의 위험 요인은 단기적일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이영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진단] ② 장밋빛 수요 예측…“타당성 검토 부실”
    • 입력 2015-02-24 21:16:57
    • 수정2015-02-24 22:09:49
    뉴스 9
<앵커 멘트>

정부는 이런 카지노 복합리조트를 올해 2곳 정도 추가 조성할 계획입니다.

계속 늘고 있는 중국인 관광객을 겨냥한 건데, 사업 타당성 연구조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어서 이영섭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추가 조성키로 확정되는 카지노 복합 리조트는 2곳 내외, 투자 규모는 각각 1조원 정도입니다.

오는 2025년엔 수도권에 6곳까지 가능하다는게 정부의 계산입니다.

정부가 4억원을 들인 사업 타당성 연구조사 결과인데 적정 수요 산정 등에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부는 복합리조트가 섬지역에 조성될 경우 2020년의 리조트 방문 내국인 총량을 연간 2천만명으로 잡은 것으로 확인됐는데, 실제 영종도에 2조원대 투자를 추진중인 한 복합리조트는 2023년이 돼도 860만명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외국인 카지노 입장객도 정부는 63만여명인 반면, 인천발전연구원의 중립적 평균예측치는 40만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박홍근(의원/교육문화체육관광위회원) : "정부의 적정 수요 산출이 장미빛 낙관에만 기대어서 너무나 과도하게 비현실적으로 산출됐다 라는 우려가 솔직히 있습니다."

정보 보고서엔 또 카지노 관광에 부정적인 중국의 반부패 정책과 주변국의 카지노 개설 영향 등 위험 요인은 분석되지 않았습니다.

<녹취> 서원석(경희대 복합리조트 게이밍 연구센터장) : "우리나라에 만들어지는 복합리조트 역시도 중국의 정책에 의해서 굉장히 타격을 받을 수도 있는 그런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부는 적정수요 산출은 10% 초.중반의 요구수익률을 맞추기 위한 수치이며 중국 등의 위험 요인은 단기적일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이영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